메뉴 건너뛰기

기사/뉴스 [단독]"전주까진 못 가요"…1140조 굴리는 국민연금 기금운용직 '인기 폭락'
42,148 349
2024.11.26 08:07
42,148 349

2024년 경쟁률 3.47대 1…역대 최저
인력수급 '빨간불'
교육·육아 중요한 3040, '국민연금 패싱'
서울 이전론 꾸준하지만…'정치적 장벽'에 막혀


1140조원을 굴리는 국내 최대 기관투자가인 국민연금의 기금운용직 인력 수급에 '빨간불'이 켜졌다. 기존 인력의 이탈이 계속되는 데다 채용 경쟁률이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금 규모가 1000조원을 돌파하면서 인력 수요가 커지고 있지만 경쟁률은 뒷걸음질 치고 있다.
 

26일 공공기관 경영정보시스템(알리오)에 따르면 국민연금의 올해 1~4차 기금운용직 채용 경쟁률은 평균 3.47대 1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민연금 관계자는 "기금 설립(1988년) 후 올해가 가장 낮다"고 했다. 국민연금의 채용 경쟁률은 2020년 7.22대 1, 2021년 4.38대 1, 2022년 3.83대 1, 2023년 4.06대 1이었다.

 

서울 시절 경쟁률 31대 1→지원자 미달…인기 '폭락'

 

 


국민연금은 올해 총 4차례에 걸쳐 기금운용직 채용을 진행했다. 현재 2024년도 5차 채용 지원을 받고 있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더욱 심각하다. 총 28명을 뽑을 예정이었던 2차 채용에는 총 61명이 지원해 평균 경쟁률 2.18대 1을 기록했다. 2명이 경쟁해 1명을 뽑는 수준이었다. 당시 재무결산 직무의 경우 응시자가 아예 없었다. 지원자가 있었지만 선발하지 못한 직무도 4개(증권리스크관리·세무지원·대체자산관리·기금차세대시스템)나 됐다. 국민연금의 수준에 맞는 적격자가 없었기 때문에 아예 뽑지도 않은 것이다. 결국 채용 예정 인원(28명)의 절반 수준인 16명만 최종 선발했다.

 

과거 국민연금은 투자업계에서 인기가 제법 높았다. 세계적인 '큰손'에서 일한다는 자부심, 연금 커리어를 발판 삼아 이직이 용이하다는 점, 계약직이지만 큰 하자가 없을 경우 계속 근무할 수 있다는 안정성 등 때문이다. 이런 메리트 덕분에 2009년엔 채용 경쟁률이 31대 1을 기록한 적도 있다. 그러나 2016년 서울에서 전주로의 이전이 결정된 이후 분위기가 급변했다. 2015년 이전의 평균 경쟁률은 15대 1이었지만 이전 후에는 10대 1을 넘긴 적도 없다. 현직 국민연금 운용직이 한국투자공사(KIC)로 이직하는 사례도 최근 나오고 있다. KIC는 서울 명동에 사무실이 있다.

 

'국민연금 패싱'의 이유로는 여러 가지가 제기되고 있지만 대체로 전주 근무의 불편함을 꼽는 전문가가 많다. 국민연금 기금운용직 출신인 홍춘욱 프리즘투자자문 대표는 "돈만 보고 들어오는 분들은 아니기 때문에 처우가 민간보다 낮다는 이유만으로는 설명이 안 된다"며 "금융권 중심지인 여의도와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어 금융권 인사와의 네트워킹 기회가 부족하며, 육아와 교육이 중요한 30~40대는 현실적으로 전주 근무를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했다. '취업 남방한계선'이라는 말까지 생겨날 정도로 우리 사회에 만연한 '지방 기피 현상'에 국민연금도 예외가 아니라는 것이다.

 

기존 인력 이탈도…사라지는 '투자의 마술사'

 

 

기존 인력의 부담은 가중되고 있다. 매년 30명가량의 베테랑이 퇴사하고 있다. 국민연금의 기금운용직은 지난 9월 말 370명으로, 정원(426명)보다 56명 적다. 올해 이례적으로 5차례에 걸쳐 채용을 진행하는 이유도 만성적인 결원 때문이다. 국민연금의 운용자산(AUM)은 1140조원이다. 1인당 운용규모가 3조1000억원에 달한다.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내놓은 '기금운용 인프라 개선방안'에 따르면 1인당 운용규모는 캐나다연금투자(CPPI)가 3000억원, 노르웨이국부펀드(GPFG)가 2조7000억원, 네덜란드연기금(ABP)은 7000억원이다. 글로벌 동종업계와 비교해봐도 한국이 가장 높다.

 

국민연금은 그간 해외연수, 경영학석사(MBA) 코스, 해외기관 파견근무 기회 제공과 성과급 최소요건 폐지 등 나름의 해결책을 꾸준히 내놓았지만 결국 '전주 근무'의 한계는 극복하지 못했다. 시장에서는 기금운용본부를 따로 떼서 이전하거나 기금운용본부를 분할해서 서울 사무소를 만들자는 얘기도 꾸준히 나온다. 

 

-생략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505949?sid=101

목록 스크랩 (0)
댓글 349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에뛰드x더쿠💓] 말랑 말랑 젤리 립? 💋 NEW슈가 컬러링 젤리 립밤💋 사전 체험 이벤트 484 03.28 71,396
공지 [공지] 언금 공지 해제 24.12.06 1,535,435
공지 📢📢【매우중요】 비밀번호❗❗❗❗ 변경❗❗❗ 권장 (현재 팝업 알림중) 24.04.09 6,154,021
공지 공지가 길다면 한번씩 눌러서 읽어주시면 됩니다. 23.11.01 9,424,099
공지 ◤더쿠 이용 규칙◢ [스퀘어 정치글 금지관련 공지 상단 내용 확인] 20.04.29 28,473,616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66 21.08.23 6,562,381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42 20.09.29 5,511,973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488 20.05.17 6,218,264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98 20.04.30 6,533,711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9. 스퀘어 저격판 사용 금지(무통보 차단임)] 1236 18.08.31 11,546,799
모든 공지 확인하기()
343479 기사/뉴스 [단독] 불황에 장사없다 … 구찌, 국내 매장 20% 철수 검토 19:58 129
343478 기사/뉴스 정몽규 회장에 바란다, 축구협회 내부 목소리 들어보니…“인사가 만사, 일하는 분위기 만들어달라” 2 19:54 63
343477 기사/뉴스 [단독] 소방호스 끌고오더니…'국회 비상통로 막는' 계엄군 영상 입수 9 19:49 728
343476 기사/뉴스 "안 나가면 테이저건 쏠 수도" 계엄의 밤, 국방부 기자실에서도.. 5 19:45 460
343475 기사/뉴스 외모와 실력 다 갖췄다…2025년은 밴드가 대세 7 19:35 1,103
343474 기사/뉴스 ‘밥 먹고 이쑤시개 쓰는 아빠’에게 꼭 보여드려야 할 기사 4 19:34 1,413
343473 기사/뉴스 ‘당원 매수’ 혐의 홍남표 창원시장 당선무효형 확정 19 19:33 2,061
343472 기사/뉴스 여성단체 “경찰, 장제원 성폭력 사건 수사결과 공개하라” 4 19:32 581
343471 기사/뉴스 황광희·신현지·배인혁·전소미, ‘길바닥 알바’ 어땠나? (길바닥 밥장사) 19:31 343
343470 기사/뉴스 미국 상무장관, '한국 맥도널드 감자' 언급한 이유 7 19:29 2,382
343469 기사/뉴스 "트럼프, 윤 대통령 '탄핵 안 됐으면 이야기하고 싶다' 말해" 50 19:25 3,436
343468 기사/뉴스 제주 사람인 엄마, '폭싹 속았수다' 1화 보고 포기한 이유 26 19:22 4,598
343467 기사/뉴스 ‘대미 협상 총력’ 한덕수…야당 “트럼프와 통화 한 번 못해” 12 19:20 717
343466 기사/뉴스 "연차 쓰고 왔어요" 광화문 메운 시민들…밤샘 집회도 불사 12 19:15 1,945
343465 기사/뉴스 '도이치 공범들' 대법원서 유죄 확정…김 여사 재수사 영향 '촉각' 4 19:11 629
343464 기사/뉴스 병원서 난동부린 국방부 공무원, 반성은 커녕 경찰관 고소 19:09 524
343463 기사/뉴스 자녀 가방에 녹음기 넣어 아동학대 신고…2심 “교사 정직 정당” 18 19:00 1,746
343462 기사/뉴스 "간절히, 간절히, 사형 선고해달라"…'길 가던 여학생 살해' 검사의 읍소 15 18:57 1,754
343461 기사/뉴스 尹 탄핵 촉구 리본 매달린 중앙분리대 파손한 50대 여성 입건 54 18:56 2,506
343460 기사/뉴스 [JTBC 오대영라이브] 오 앵커 한마디 - 도대체 그에게 헌법은 무엇인가? 2 18:54 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