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공개된 국회 공보를 보면, 주 의원과 가족 명의로 신고된 재산은 70억원으로 △부동산 40억원 △예금 및 증권 31억원 등이다. 17년 간 검사로 일한 주 의원이 공직자 월급만으로 재산을 증식했다고 보긴 어렵다는 게 박 의원의 주장이다. 박 의원은 “도대체 검사 월급이 얼마나 된다고, 생활부에 다 쓰고 남으면 뭘 저금할 게 있다고 70억원의 재산을 모을 수 있느냐”고 주장했다.
특히 주 의원의 2005년생 아들이 예금으로 7억8000만원을 신고했다는 점이 집중 표적이 됐다. 검사를 그만두고 변호사로 활동던 주 의원은 대통령실 법률비서관으로 재직하던 지난 2022년에도 10대 아들 명의로 7억원이 넘는 예금을 신고했는데, 2년 만에 액수가 4000만원이 늘었다. 주 의원은 당시 아들의 예금은 조부로부터 증여받은 것으로 증여세를 모두 완납했다고 밝힌 바 있다.
강득구 민주당 의원은 17일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증여했다면 세무신고 자료를 공개하라”고 압박했다. 박 의원은 “(아들의 재산은) 조부의 증여에 의해서 형성된 것 아니냐”며 “주 의원이 김 후보자에게 조롱하는 용어를 빌려 쓴다면, 할아버지가 스폰서냐”고 했다. 앞서 주 의원은 김 후보자에게 돈을 빌려준 인사들을 ‘스폰서’라고 빗댄 바 있다.
조 의원 아들의 예금이 10개 저축은행을 비롯한 15개 금융기관에 분산 예치된 것을 두고도 이례적이란 반응이 나온다. 박 의원은 18일 유튜브 방송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과 인터뷰에서 해당 사실을 거론하며 “이런 건 처음 본다”고 말했다.
주 의원이 수십억원의 자산가임에도 2억원에 가까운 사인 간 채무가 있다는 점도 도마 위에 올랐다. 주 의원이 신고한 사인 간 채무는 배우자 명의 1억8000만원이다. 주 의원도 1억원의 사인 간 채무가 있었으나 지난해 전액 상환했다. 박 의원은 “현금성 자산이 그렇게 많은데 왜 빌렸고, 그런데도 여전히 갚지 않은 돈은 왜 이렇게 많냐”며 “정치적 도덕성을 말하라면 스스로의 거울부터 먼저 들여다보라”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751540?sid=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