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사/뉴스 '여자축구 리그가 없어진다고?’ 지금처럼 연명해도 문제다
2,032 8
2024.11.21 15:33
2,032 8
기본적인 시스템이 아예 없다. 보통 K리그는 경기 전에 양 팀 감독과 만나는 시간이 의무적으로 정해져 있고 경기 후에는 양 팀 감독 및 수훈선수 인터뷰 시간이 보장돼 있다. 그리고 디테일한 취재를 위해서 선수들이 경기장을 빠져 나가 버스에 탑승하는 동선에서도 인터뷰가 가능하다. 우리의 열악한 WK리그에서 이 정도를 바라는 건 당연히 무리다. 일단 경기 전에 만나서 대화가 가능한 감독은 ‘흡연 감독’ 뿐이다. 선수들이 몸을 풀 때 트랙 한 쪽 구석에서 감독이 담배를 물면 그때 재빨리 다가가 이것저것 물을 수 있다. 아니면 아예 경기 전 감독과의 대화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화천KSPO 강재순 감독님 감사합니다. 담배 좀 줄이세요)


K리그 경기라면 경기 후 양 팀 감독과 선수 인터뷰가 원하는 대로 가능하지만 WK리그는 눈치 게임과 운이 모두 들어 맞아야 인터뷰가 가능하다. 일단 양 팀 감독 중 한 명은 포기해야 한다. 경기 후 바로 싹 다 라커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감독도 바로 들어간다. 이럴 때 이긴 팀 감독과 잠깐 만나 소감도 묻고 승리 요인도 묻는다. 그리고 이날 잘한 선수 한 명과 인터뷰를 하려고 보면 이미 선수들은 다 사라지고 없다. 이미 진 팀 감독과 선수는 싹 다 들어가고 없다. 그래도 이겨서 기분 좋은 감독에게 “여기까지 왔는데 선수 인터뷰 한 명만 부탁드릴게요. XXX 선수 인터뷰 좀 하고 싶습니다”라고 하면 감독이 지나가는 누군가에게 말한다. “야, XXX 좀 나와보라고 해.” 


그래야 선수 인터뷰가 가능하다. K리그처럼 구단 내부의 뒷이야기나 에피소드 같은 건 어디 물어볼 데도 없다. 선수 XXX 인터뷰가 좀 길어지면 다른 선수들이 덜덜 떨며 기다리고 있다. WK리그 경기장 대부분은 샤워 시설이 없기 때문이다. 다같이 목욕탕으로 이동해야 하는데 선수 한 명을 붙들고 이야기하고 있으면 뒤에서 따가운 눈총을 받는다. 다같이 이동해야 하는데 시간을 잡아먹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멀리까지 WK리그 경기 취재를 가 상보 하나, 감독 인터뷰 하나, 선수 인터뷰 하나 쓰면 많이 한 거다. 돌아오는 길에 회의감이 몰려온다. ‘일정은 선수에게 물어보고 선수 명단은 개인 정보라고 못 받았고 담배 피우시는 감독님만 만날 수 있고 경기 후에는 선수 한 명 5분 만나러 내가 왜 이 짓을 하고 있지?’

WK리그는 정말 열악하다. 그런데 안타까운 건 여자축구연맹은 이미 여러 차례 여자축구 붐이 왔어도 WK리그를 개선할 의지조차 없었다는 점이다. 그들은 아직도 ‘골때녀’가 일으킨 여자축구 흥행을 자신들의 역할 덕분이었다고 믿고 있다. 비판하고 계속 문제 제기를 해 개선의 여지가 보인다면 마땅히 그랬을 것이다. 하지만 수년 간 취재해온 여자축구연맹은 그냥 개선을 바라지 않고 다같이 무관심하면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존재가 된 것 같다. 여자축구연맹 직원이 네 명 뿐이라는 것도 핑계가 될 수 없다. 단 하나의 예를 들어 포털사이트에 제대로 된 경기 일정 정리해서 띄워놓는 게 무슨 10명의 직원이 해야할 일도 아니다. 기본적인 대회 운영 시스템이 안 돼 있다.

WK리그는 계속 되어야 한다. 하지만 여자축구연맹이 지금처럼 의지도 없이 연명하는 수준으로 운영할 거면 그냥 대한축구협회가 WK리그 운영을 맡는 게 맞다. 대한축구협회가 운영하는 K3리그와 K4리그는 열악하긴 해도 기본은 한다. 대한축구협회 매뉴얼이 있기 때문이다. 여자축구연맹의 권한은 대폭 축소되어야 하고 대한축구협회가 그 권한을 가지고 가야한다. 대한축구협회 네 명의 직원이 운영해도 지금의 WK리그보다는 훨씬 더 합리적으로 리그를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여자축구연맹은 유소녀 엘리트 대회 개최와 육성에서도 손을 떼는 게 맞다. 이것도 다 대한축구협회로 넘겨야 한다. 그나마 유소녀 대회 개최가 돈이 되니 여자축구연맹은 이것만 하려고 하는데 기본 이하의 여자축구연맹은 그럴 자격이 없다. 

여자축구연맹은 순수 아마추어 동호회 및 2종 클럽 대회 개최 정도만 하는 게 현실적이다. 전국을 돌면서 전문 선수가 아닌 그냥 공 차는 게 좋은 여자 아이들의 추억쌓기 대회 개최 권한 정도면 충분하다. 이번에도 임기를 채울 시 20년간 여자축구 수장을 맡게 되는 여자축구연맹 오규상 회장은 이미 지난 16년 동안 한계를 명확히 보여줬다. 자생력을 키워준다는 명목으로 여자축구연맹에 예산을 투입해 WK리그를 연명(?)하게 하지 말자. 기본조차 안 돼 있는 조직은 과감히 권한을 빼앗아야 한다. WK리그와 유소녀 육성을 더 이상 여자축구연맹에 기대하지 말자. 대한축구협회가 나서야 한다. 

footballavenue@sports-g.com


http://www.sports-g.com/news/articleView.html?idxno=208977



여자축구 팬들이라면 다 공감하는 말들뿐

리그 일정 검색 안되고 선수선발 명단도 안나와서 현장가는 팬들한테 보내달라고 해야하고 선수들한테 물어물어서 경기 보러가는게 현실

목록 스크랩 (0)
댓글 8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톤핏선💗] 자외선차단+3D볼륨광+보습을 한번에💗'젤리듀 글로시 밤' 체험 이벤트 309 02.01 36,552
공지 [공지] 언금 공지 해제 24.12.06 734,002
공지 📢📢【매우중요】 비밀번호❗❗❗❗ 변경❗❗❗ 권장 (현재 팝업 알림중) 24.04.09 5,110,751
공지 공지가 길다면 한번씩 눌러서 읽어주시면 됩니다. 23.11.01 8,636,964
공지 ◤더쿠 이용 규칙◢ [스퀘어 정치글 금지관련 공지 상단 내용 확인] 20.04.29 27,279,403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62 21.08.23 6,010,496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40 20.09.29 4,966,569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475 20.05.17 5,571,211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92 20.04.30 6,001,718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9. 스퀘어 저격판 사용 금지(무통보 차단임)] 1236 18.08.31 10,869,494
모든 공지 확인하기()
2624231 유머 배달하는 사람 도대체 어디 감 1 19:36 198
2624230 이슈 이제 진짜 그리운 새기... 6 19:36 248
2624229 유머 Y2K 서브스턴스 3 19:35 322
2624228 이슈 연휴: 저 이만 가볼게요 12 19:34 519
2624227 이슈 갑자기 유리바닥이 깨진다면? 2 19:32 534
2624226 이슈 세종충남대병원 "성인 응급실 홀수일만 24시간 운영" 5 19:31 784
2624225 이슈 오타쿠들은 아는 사탄이 만든 굿즈 13 19:31 1,119
2624224 이슈 설연휴 끝난 치과 상황 6 19:30 2,004
2624223 기사/뉴스 '뉴스룸' 황석영 작가 "서부지법 폭동과 5.18은 전혀 달라…어딜 감히" 8 19:30 985
2624222 이슈 주량이 소주 두 병 반이라는 투어스 신유 1 19:29 760
2624221 유머 이 강아지가 원하는것은? 11 19:28 519
2624220 기사/뉴스 제로베이스원, 日 오리콘 데일리 앨범 1위 직행 1 19:27 165
2624219 기사/뉴스 러블리즈 프로듀싱했던 윤상, 정예인 정체 못 맞추고 당황(복면가왕) 2 19:27 484
2624218 이슈 연예대상 후 몇시간 뒤 진행한 녹화에서 시민들한테 축하받느라 바쁜 유재석. jpg 4 19:26 1,948
2624217 이슈 비비지 신비 팬 제작 인형 <황쌀알> 5 19:26 1,049
2624216 기사/뉴스 조카 돌반지 사러 갔다가 '동공지진'…순금 한 돈에 세공비 더하니 '60만원' 8 19:26 864
2624215 이슈 1993년 유치원생들의 인기가요 TOP 10 13 19:25 756
2624214 유머 코코아 위에서 유유자적 흘러다니는 머쉬멜로우같음 1 19:25 527
2624213 기사/뉴스 이석훈 "대형 예능에 안경 벗고 나온 것 처음" (런닝맨) 19:24 965
2624212 이슈 @일본 쌀값 1년동안 70.7% 상승 @한국 햇반이 관세를 물고도 일본 즉석밥보다 싸짐… 9 19:24 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