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님이 되고자 하면 젊었을 때 출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용감하게 결심하고 출가해야 합니다. 가족들을 설득하려고 애쓸 필요는 없습니다. 처음에는 가족들이 반대하더라도 나중에는 다 이해하게 됩니다. 출가한 뒤 5년쯤 지나야 가족들의 애착이 떨어지게 됩니다.
1. 출가의 조건
출가하려면 아래 조건을 갖추어야 합니다.
(1) 가족에 대한 애착을 버려야 합니다.
(2) 성욕을 버려야 합니다.
기혼자는 이혼하고 6개월이 지나야 출가할 수 있습니다.
(3) 재물을 버려야 합니다.
(4) 자존심을 버려야 합니다. (행자생활)
(5) 남자는 군을 제대해야 합니다.
(6) 나이가 50세 이하라야 합니다.
2. 출가절차
위와 같은 조건이 되어 있다면 먼저 은사스님을 정해야 합니다. 계율을 청정하게 지키는 스님, 겸손하고 부끄러움을 아는 스님, 자비심이 넘치는 스님을 찾아 은사로 모십니다.
(1) 은사스님을 정합니다.
(2) 은사스님 밑에서 6개월 이상 행자생활을 합니다. 보통 10명이 행자생활을 하면 8명은 못 견디고 떠나고, 2명 정도 남습니다.
(3) 은사스님을 통해 사미계 접수를 합니다.
(4) 약 2주간 사미계 수계교육을 받고 나서 사미계 수계를 받습니다. 이 때 사미스님이 됩니다. 오후불식과 삼천배 정진을 하기 때문에 수계교육 동안에 못 견디고 떠나는 사람도 있습니다.
(5) 4년간 동국대 불교대학, 중앙승가대, 사찰 승가대학 등에서 승려기본교육을 받습니다.
(6) 이후 4급 승가고시를 통과하면 구족계를 수지하고 종단의 정식 스님인 비구, 비구니가 됩니다.
3. 스님들의 생활
스님들도 일반인과 같이 음식을 먹고, 잠을 자고, 용변을 보고, 몸을 씻고, 빨래하고, 청소하는 등 보통의 일상생활은 같습니다. 스님과 일반인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머리 깎고 법복을 입었으니 외모가 일반인과 다릅니다.
(2) 술을 마시지 않고 고기와 오신채(파, 마늘, 달래, 부추, 흥거)를 먹지 않습니다. 남방불교(스리랑카, 미얀마, 태국 등)에서는 탁발할 때 고기, 오신채를 가리지 않고 받습니다. 단, 죽이는 것을 본 고기, 죽이는 소리를 들은 고기, 방금 죽인 것으로 의심되는 고기는 계율에 어긋납니다.
(3) 매일 예불을 합니다. 아침예불과 저녁예불이 있습니다.
(4) 수행을 합니다. 보통 4가지 수행을 합니다.
① 참선(參禪)
몸을 단정히 하고 생각을 하나의 대상에 묶어서 집중하는 것입니다. 간화선에서는 하나의 화두를 의심하여 몰입합니다.
② 염불(念佛)
입으로는 부처님의 명호를 외우고 마음으로는 부처님의 공덕을 생각하여 집중하는 것입니다. 염불도 참선의 일종입니다.
③ 간경(看經)
경을 배우고 탐구하며 또한 경을 읽거나 외우는 것입니다.
④ 주력(呪力)
진언(다라니)를 외웁니다. 진언은 집중력을 키웁니다.
(5) 절의 소임을 맡습니다.
신도들을 접대하고 절의 행사를 관리하는 등 각자 맡은 소임이 있습니다. 참선을 할 때도 각자 맡은 소임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절의 소임
① 회주(會主)스님: 법회를 주관하는 법사스님.
② 법주(法主)스님: 불사나 회상의 높은 어른으로 추대된 스님.
③ 조실(祖室)스님: 선(禪)을 지도하는 큰 스님.
④ 방장(方丈)스님: 총림(선원과 강원을 갖춘 큰 절)의 조실스님.
⑤ 도감(都監)스님: 돈이나 곡식 같은 것을 맡아보는 스님.
⑥ 부전(副殿)스님: 예식、불공 등의 의식을 집전하는 스님.
⑦ 지전(知殿)스님: 불전의 청결, 향, 등 등의 일체를 맡은 스님.
⑧ 노전(盧殿)스님: 대웅전이나 다른 법당을 맡은 스님.
⑨ 주지(住持)스님: 사찰의 전권을 행사하는 총책임자 스님.
⑩ 원주(院主)스님: 사찰의 사무와 살림살이를 맡는 스님.
⑪ 강사(講師)스님: 강원에서 경론(經論)을 가르치는 스님.
⑫ 칠직(七職)스님: 7가지 직책의 스님 = 포교, 기획, 호법, 총무, 재무, 교무, 사회 각 국장스님
선원(禪院)에서 안거(安居)하며 참선수행시 맡는 소임
① 유나(維那) 스님 : 총림의 모든 규율、규칙을 총괄하는 스님.
② 선덕(禪德) 스님 : 대중스님들 중 연세 많고 덕 높으신 스님.
③ 선현(禪賢) 스님 : 포교하다 선원에 들어오신 연세 많은 스님.
④ 열중(悅衆) 스님 : 결재 대중을 통솔하는 소임을 맡은 스님.
⑤ 한주(閒主) 스님 : 결재 대중의 모범이 되는 스님.
⑥ 청중(淸衆) 스님 : 열중스님을 보필하는 스님.
⑦ 지전(知殿) 스님 : 대중스님의 큰방을 정리 정돈하는 스님.
⑧ 지객(知客) 스님 : 모든 객을 대접하고 안내하는 스님.
⑨ 명등(明燈) 스님 : 선원의 전기를 관리하는 스님.
⑩ 마호(磨糊) 스님 : 대중스님들의 풀을 끓이는 스님.
⑪ 야순(夜巡) 스님 : 밤중에 순시를 책임지는 스님.
⑫ 소지(掃地) 스님 : 선원밖에 청소를 담당하는 스님.
⑬ 간병(看病) 스님 : 대중스님들의 건강을 돌보는 스님.
⑭ 욕두(浴頭) 스님 : 대중스님들의 목욕물을 책임지는 스님.
⑮ 수두(水頭) 스님 : 대중스님들의 세면장을 책임지는 스님.
⑯ 화대(火臺) 스님 : 선원 방 온도를 조절하는 스님.
⑰ 정통(淨桶) 스님 : 선원 화장실 청결을 책임지는 스님.
⑱ 시자(侍者) 스님 : 어른스님들을 옆에서 받들어 모시는 스님.
⑲ 다각(茶角) 스님 : 차(茶)를 끓이고 공양하는 스님.
⑳ 종두(鐘頭) 스님 : 종을 치는 소임을 맡은 스님.
㉑ 법고(法鼓) 스님 : 북을 치는 소임을 맡은 스님.
㉒ 별좌(別座) 스님 : 좌구、침구、음식을 마련하는 스님.
㉓ 공양주(供養主) 스님 : 밥을 짓는 소임을 맡은 스님.
㉔ 채공(菜供) 스님 : 반찬을 마련하는 소임을 맡은 스님.
㉕ 갱두(羹頭) 스님 : 국을 마련하는 소임을 맡은 스님.
㉖ 화주(化主) 스님 : 사찰에서 사용할 비용을 마련하는 스님.
㉗ 부목(負木) 스님 : 땔감을 마련하는 소임을 맡은 스님.
ㅊㅊ 불교백팔 문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