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버부터 대통령까지 ‘증거 넘친다’ 주장
선거 현장 너무 모르고 하는 말” 한탄
한두건 부주의로 당락 바뀐 일 없어”
윤석열 대통령 측이 제기한 ‘부정선거 음모론’과 관련해 중앙선관위 일선 담당자들이 부글부글 끓고 있다. 헌법 기관으로서 절제된 기조로 대응하는 공식 입장과 달리, 정치권 공세를 향한 일선 공무원들의 성토가 들끓고 있는 상황이다.
(중략)
이 관계자는 “중앙선관위의 실질적인 결정권자는 상근 상임위원과 사무총장인데 이들은 선관위 내부 승진자도 아니고 (특히) 사무총장은 대통령과 같은 대학을 나온 동문이라고 한다”며 “이분들이 왜 부정 선거를 하라고 명령하느냐. 선관위가 대통령과 국회의원을 마음대로 뽑는 그렇게 대단한 권력기관이냐”고 반문했다.
또 “투표나 개표에는 전국적으로 수십만명이 동원되고 정당이나 후보자가 보낸 투∙개표 인력이 수만명 참여한다”며 “동원 인력 대다수는 선관위 직원이 아니라 행정안전부가 관리∙감독하는 공무원들인데 지난 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총지휘했던 한덕수 총리님, 이상민 전 행안부 장관님 말씀해보십시오. 새벽부터 밤 늦게까지 몇 푼 안 되는 수당을 받고 일한 지방 공무원들을 부정선거 하라고 동원하셨느냐”고 따져물었다.
이 관계자는 “개표사무를 총괄하는 선관위 직원들은 개표 날 ‘영혼을 갈아넣는다’고 말한다”며 “저 같은 경우 투표일 새벽 4시에 일어나 다음 날 오전 12시까지 32시간을 근무했고, 직원들 대부분이 24시간 근무가 기본이다. 선거를 한 번 치를 때마다 목숨이 단축되는 것 같다”고 밝혔다.
이어 “그나마 ‘투표지 분류기’를 써서 이 정도 (노동강도)“라며 “전○○ 일타 강사님(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한 한국사 스타강사 전한길씨) 명칭부터 알고 (문제제기) 하십시오. 전자개표기가 아니라 투표지 분류기”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 투표지 분류기는 전기만 먹지 인터넷망으로 연결된 장치가 아예 없다. 해커가 들어올 선이 없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우리나라 개표는 노동집약형 가내수공업 형태의 수작업인데, 그나마 도입된 것이 투표지 분류기이고 사람보다 이 기계가 훨씬 정확하다”며 “(인터넷 연결이 안 돼 해커가 들어올 수도 없지만, 만약 그렇다 해도) 후보자별 득표수를 (참관인이 지켜보는 가운데) 전산 입력해 중앙에서 취합하는 방식으로 개표가 이뤄지기 때문에 실물 투표지를 조작하지 않고선 조작이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또 이 관계자는 “부정 선거를 주장하는 유튜버부터 대통령까지 ‘증거가 차고 넘친다’고 하는데 ‘서투름, 실수, 하자, 부주의’가 (일부) 있었더라도 이런 부주의가 절대 당락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표 차이를 보면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22대 국회의원 선거만 해도 선관위 직원이 관리하는 투표용지가 1인당 2만2000명이었다. ‘완벽한 선거 관리’ 문서를 볼 때면 ‘X발 어떻게 완벽하게 관리해’, 이 완벽함에 미치고 팔딱 뛴다”고 호소했다.
이 관계자는 “선거 공보물 발송과 벽보 첩부, 유권자 투표용지 배부, 사인 날인 등에 투입된 모든 사람이 어떻게 실수 한 건 없이 완벽하게 할 수 있단 말이냐. 저희는 완벽이 아니라 최선을 다하고자 할 뿐“이라고 말했다. 이어 “(일부) 지역의 한두 건 사고로 당락이 바뀐 일은 없다”고 강조했다.
이현미 기자 engin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