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sisa&no=733708
오늘 어린이날을 맞아
프랑스가 세계에서 제일 가는 민주주의 국가라는 걸 증명하는
한때 화재가 되었던 프랑스고등학교 졸업시험문제들을 공개하고자 합니다.
1장 인간(Human)
질문1-스스로 의식하지 못하는 행복이 가능한가?
질문2-꿈은 필요한가?
질문3-과거에서 벗어날 수 있다면 우리는 자유로운 존재가 될 수 있을까?
질문4-지금의 나는 내 과거의 총합인가?
질문5-관용의 정신에도 비관용이 내포되어 있는가?
질문6-사랑이 의무일 수 있는가?
질문7-행복은 단지 한순간 스치고 지나가는 것인가?
질문8-타인을 존경한다는 것은 일체의 열정을 배제한다는 것을 뜻하는가?
질문9-죽음은 인간에게서 일체의 존재 의미를 박탈해 가는가?
질문10-우리는 자기 자신에게 거짓말을 할 수 있나?
질문11-행복은 인간에게 도달 불가능한 것인가?
2장 인문학(Humanities)
질문1-우리가 하고 있는 말에는 우리 자신이 의식하고있는 것만이 담기는가?
질문2-철학이 세상을 바꿀 수 있는가?
질문3-철학자는 과학자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가?
질문4-역사가는 객관적일 수 있는가?
질문5-역사학자가 기억력만 의존해도 좋은가?
질문6-역사는 인간에게 오는 것인가 아니면 인간에 의해 오는 것인가?
3장 예술(Arts)
Q1-예술 작품은 반드시 아름다운가?
Q2-예술없이 아름다움에 대하여 말할 수 있는가?
Q3-예술 작품의 복재는 그 작품에 해를 끼치는 일인가?
4-예술 작품은 모두 인간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는가?
Q5-예술이 인간과 현실과의 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가?
4장 과학(Sciences)
Q1-생물학적 지식은 일체의 유기체를 기계로만 여기기를 요구하는가?
Q2-우리는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만을 진리로 받아들여야 하는가?
Q3-계산, 그것은 사유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인가?
Q4-무의식에 대한 과학은 가능한가?
Q5-오류는 진리를 발견하는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Q6-이론의 가치는 실제적 효용가치에 따라 가늠되는가?
Q7-과학의 용도는 어디에 있는가?
Q8-현실이 수학적 법칙에 따른다고 할 수 있는가?
Q9-기술이 인간조건을 바꿀 수 있는가?
Q10-지식은 종교적인 것이든 비종교적인 것이든 일체의 믿음을 배제하는가?
Q11-자연을 모델로 삼는 것이 어느 분야에서 가장 적합한가?
5장 정치와 권리(Politics&Rights)
Q1-권리를 수호한다는 것과 이익을 옹호한다는 것은 같은 뜻인가?
Q2-자유는 주어지는 것인가 아니면 싸워서 획득해야 하는 것인가?
Q3-법에 복종하지 않는 행동도 이성적인 행동일 수 있을까?
Q4-여론이 정권을 이끌 수 있는가?
Q5-의무를 다하지 않고도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가?
Q6-노동은 욕구 충족의 수단에 불구한가?
Q7- 정의의 요구와 자유의 요구는 구별될 수 있는가?
Q8-노동은 도덕적 가치를 지니는가?
Q9-자유를 두려워해야 하나?
Q10-유토피아는 한낱 꿈일 뿐인가?
Q11-국가는 개인의 적인가?
Q12-어디에서 정신의 자유를 알아차릴 수 있나?
Q13-권력 남용은 불가피한 것인가?
Q14-다름은 곧 불평등을 의미하는 것인가?
Q15-노동은 종속적일 따름인가?
Q16-평화와 불의가 함께 갈 수 있나?
6장 윤리(Ethics)
Q1-도덕적으로 행동한다는 것은 반드시 자신의 욕망과 싸운다는 것을 뜻하는가?
Q2-우리는 좋다고 하는 것만을 바라는가?
Q3-의무를 다하는 것만으로 충분한가?
Q4-무엇을 비인간적인 행위라고 하는가?
Q5-일시적이고 순간적인 것에도 가치가 존재하는가?
Q6-무엇이 내 안에서 어떤 행동을 해야 할 지를 말해 주는가?
Q7-우리는 정념을 찬양할 수 있는가?
Q8-종교적 믿음을 가지는 것은 이성을 포기한다는 것을 뜻하는가?
Q9-정열은 우리의 의무 이행을 방해하는가?
Q10-진실에 저항할 수 있는가?
Q11-진리가 우리 마음을 불편하게 할 때 진리 대신 우리에게 위안을 주는 환상을 좇아도 좋은가?
여러분들은 지금의 본인의 나이에 이런 시험을 치른다면 어떠시겠어요??
이 프랑스고등학교 졸업시험문제들은 한때 포털에서 유명했던 시험문제들입니다.
이 내용을 프랑스룸메에게 보여줬더니 자기 졸업할 때 일주일동안 이렇게 시험을 본답니다.
(참고로 저는 홍대에서 외국인들과 살고 있는 홍대순이입니다.)
저 졸업시험문제들은 철학과 졸업시험문제들...
저 문제들을 다 보는 건 아니고 저 "장"중에 하나씩 골라 하루에 4시간씩 본답니다.
(빈 A4용지 4장을 채워야 한다는...)
그래서 일주일 걸린다고...
여기서 낙제를 하면 졸업을 못한다 하네요..
왜 프랑스 같은 유럽국가에서 이런 졸업시험문제가 존재하나???
확장해서 생각해보면
왜 그들이 복지가 잘된 민주주의국가의 국민들인가를 아래의 사진들을 보면 아시게 될 거예요..

이 영화는 "가장 따뜻한 색, 블루" Blue is the warmest color이라는 제목의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최우수상)을 수상한 프랑스영화의 첫부분입니다.
프랑스고등학교의 국어시간의 한장면이구요..
소설의 한부분을 읽으며 "가슴에 구멍이 뚫린다는 게 뭘까, 길가다 누군가와 눈이 마주치는 것, 운명적 인연.."에 대해
수업 한시간을 학생들과 토론하는 이 장면...
김춘수의 "꽃"을 공부하며 "이름이 가진 철학적 의미"보다는 시험에 많이 나오니 밑줄긋고 별5개..
이런 걸 공부하는 대한민국의 국어시간과 너무 대조되어 한참을 봤습니다. 부러웠습니다.
생각하는 힘 즉 사고를 할수 있게 하는 교육을 하는 프랑스와
생각을 거세하는 주입식 교육을 가르치는 대한민국...
위의 질문.. 왜 프랑스 같은 유럽국가에는 저런 졸업시험문제들이 존재하나에 대한 해답입니다.
저 프랑스고등학교 졸업시험이 출제되는 시기에는 신문에 저 시험문제가 공개되며
많은 국민들이 국가적 이슈처럼 이 시험문제를 함께 푼다고 하죠...
저런 고등학교 졸업시험의 룰을 바꾼다고 정부가 공지할 때
고등학생들이 등교거부를 했다죠...
정말 대단한 나라가 아닐수가 없네요..
그래서 세계 최고의 민주주의 국가가 아닌가 합니다.
생각거세의 최정점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하네 마네를 얘기하는 우리나라가 부끄럽군요..
민주주의의 역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