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보 북한의 문화재
10,709 55
2017.10.20 01:08
10,709 55


- 북한의 문화재 - 



평양성(城) - 고구려 동천왕 21년(247) 봄 2월에 환도성이 난리를 겪게 되어 평양성()을 쌓고 백성과 종묘사직을 옮겼고, 고국원왕 12년(342) 2월에 환도성을 수리하고, 또 국내성을 쌓았으며, 가을 8월에 환도성으로 옮겼다. 그 후 장수왕() 15년(427)에 도읍을 평양으로 옮기고, 양원왕() 8년(552) 장안성()을 쌓았으며, 평원왕() 28년(586) 도읍을 장안성으로 옮겼다.


GwxHk

RbPhh


동명왕릉(陵)고구려의 건국시조로 알려진 동명왕릉에 대한 기록은 동명왕에 대한 숭배와 그에 따른 제의()와 함께 전승되어 왔다. 동명왕은 고구려를 건국하고 나서 재위한 지 19년 만에 죽었고, 고구려 수도인 졸본의 용산()에다 장사를 지냈다. 그리고 동명왕의 사당인 동명묘()도 졸본을 비롯하여 국내성과 평양성과 같은 도읍지와 요동성()과 같은 전국의 주요 거점에 세워졌다. 또한 동명왕을 시조로 하는 백제에도 동명묘가 세워졌다. 그런데 졸본에 있어야 할 동명왕의 무덤이 평양에 있다는 설이 생겨나게 되었고, 현재까지도 동명왕의 무덤은 평양에 있는 것으로 인식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인식이 생긴 것은 고구려와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가 멸망한 후 고구려의 건국지인 졸본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상실한 데서 찾을 수 있다. 더구나 고려시대에 들어와서 고구려의 건국지를 평양으로 보려는 주장이 제기된 이후에는 동명왕의 무덤을 평양에서 찾으려 하였고, 동명왕을 용산에 장사지냈다는 기록을 토대로 평양의 용산에 동명왕 무덤이 있다고 보았던 것이다. 그래서 동명왕의 무덤이 압록강 유역의 졸본이 아니라 평양에 있다는 인식이 생겨났고, 이러한 인식은 조선의 세종대에 이르러서는 확고하게 자리를 잡았다. 이후로는 평양에 동명왕의 무덤이 있다는 것이 정설화 되었다.


pptEV

Nlptr

sOUpJ


정릉사(定陵寺) - 고구려 427년 장수왕이 평양으로 수도를 천도하면서 동명왕릉을 함께 옮기고, 동명왕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지은 절로, 동명왕릉 앞에 자리잡고 있다. 오래 전에 폐사되었던 것을 1974년에 발굴, 복원하였다. 발굴 당시 '고구려', '정릉', '능사'라는 글자가 새겨진 그릇조각들이 발견되어, 이 절이 고구려의 동명왕릉을 위한 절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PBgBk

GjgOI



고구려 고분벽화(畵) - 벽화가 그려진 고구려 고분은 지금까지 발견된 것만 90여 개에 이른다. 평양과 대동강 근처에 60여 개, 압록강 근처에 20여 개가 있다. 벽화가 있는 고구려의 무덤은 주로 돌을 쌓아 시체를 보관할 묘실(널방)을 만들고 그 위에 흙을 덮어 만드는 돌방흙무덤인데, 벽화는 주로 무덤 내부에 그려져 있다.



vLUXV

oawjv

jokom

gXZFC



보현사(寺)평안북도 향산군 향암리에 있는 절. 1042년에 창건한 후 1765년까지 여러 차례 고쳐 지었다. 절에는 주불전인 대웅전을 비롯하여 만세루, 관음전, 해장원, 영산전, 명부전, 응향각 등 여러 건물들과 4각9층탑과 8각13층탑 그리고 조계문, 해탈문, 천왕문 등 여러 건축물들이 남북축을 중심으로 좌우에 지세에 맞게 배치되어 있다.



ceZAv


왕건왕릉(陵)황해북도 개풍군 해선리에 있는 옛 무덤. 943년에 축조되었다. 태조현릉() 또는 현릉()이라고도 불렸는데, 고려 태조 왕건의 시신이 안치된 왕릉이다. 이 왕릉에 그의 아내 신혜왕후도 합장되었다고 전한다. 고분 둘레에는 12각으로 병풍석을 돌렸으며 그 밖으로는 돌난간을 설치하였다. 이 왕릉구역은 외적의 파괴와 도굴로 인하여 원상이 많이 훼손되어 있다. 현재 무덤 앞에는 망주석 한 쌍, 상돌 한 개, 문인상 한 쌍, 돌짐승 두 쌍, 석등 한 개 그리고 정자각과 비각이 보존되어 있다.


HTiBq

rroXl



공민왕릉(陵) - 황해북도 개풍군 해선리에 있는 옛 무덤. 고려 31대 공민왕의 왕릉으로 1365~1374년에 축조되었다. 쌍릉형식으로 병립되어 있는데 서쪽에는 공민왕의 현릉이고, 동쪽에는 노국공주(왕비)의 정릉이다. 고분구역은 3개의 단과 맨 아래의 경사단으로 이루어졌다. 맨 윗단의 크기는 동서 약 40m, 남북 약 24m인데 그 중심에 2기의 무덤을 남향으로 나란히 안치했다. 무덤은 석조흙무덤이다.



ztuiV

IvptE

VLeHC


고려 성균관(館) - 북한의 국보 문화유물 제127호로 지정되어 있다. 992년(고려 성종 11)에 세운 국가 최고 교육기관으로, 현재의 건물은 1602~1610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원래는 고려의 별궁()인 대명궁이 있던 곳이었는데 유교 경전에 관한 사무를 보는 숭문전(殿)으로도 사용되었다가, 1089년에 국자감을 이곳으로 옮기면서 교육기관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ZHIaa

RTDsZ


선죽교(橋) - 원래 이름은 선지교()라 하였으며, 다리의 동쪽에 한석봉() 글씨의 비()가 있다. 돌기둥과 노면()이 맞닿는 부분에는 시렁돌을 철도의 침목처럼 올렸으며, 이 돌은 좌우로 거의 튀어나오지 않았다. 돌기둥 위에 마련된 노면에는 양쪽 가에 기다란 난간돌을 놓았고 그 사이를 여러 줄의 판석()으로 깔았다. 선죽교는 고려 말 정몽주()가 이성계()를 문병하고 오다가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인 이방원()이 보낸 조영규() 등 4, 5인의 철퇴에 맞아 피살된 곳으로 유명하다. 돌다리에는 아직도 정몽주의 혈흔이 남아 있다 한다.



HReiR

rvOyc


표훈사(寺) - 금강산 1만 2천 봉에 머무르고 있다는 보살들의 우두머리 법기보살을 주존으로 모신 사찰로, 670년(신라 문무왕 10)에 신라의 승려 능인·신림·표훈이 처음 세우고 신림사라 하였다가 3년 후 표훈사로 이름을 고쳤다. 내금강 만폭동, 내금강 어귀에서 골짜기를 따라 약 4km 거리에 있으며, 금강산 4대 사찰(유점사, 장안사, 신계사, 표훈사) 중 유일하게 남아 있는 사찰이다. 세월이 흐르면서 불에 타버리거나 쇠락한 것을 1682년(숙종 8)과 1778년(정조 2) 두 차례에 걸쳐 복원하였다. 원래 20여 동의 많은 전각이 있었지만 현재 경내에는 반야보전(殿), 명부전, 영산전, 어실각(), 칠성각, 능파루() 등의 전각과 7층석탑이 남아 있다.


eTGSo

wtQFs


함흥본궁(宮) - 이성계()가 왕이 된 뒤 자기 조상들이 살던 집터에 새로 집을 짓고, 거기에 4대조상들의 신주를 차려놓고 제사를 지내게 하던 곳이다. 그리고 왕의 자리에서 물러난 다음에는 이 건물을 본궁이라 부르며 여기에서 오랫동안 살았다. 함흥본궁과 관련하여 ‘함흥차사(使)’라는 말이 있는데, 1398년(태조 7) 권좌를 둘째 아들[]에게 물려주고 함흥본궁에 내려와 살던 이성계가 형과 동생들을 죽이고 권좌에 오른 방원[]에 대한 분풀이로 그가 보낸 사신을 모조리 죽여 버린 데서 ‘심부름을 가서 돌아오지 않거나 아무 소식이 없는 사람’을 일컫게 되었다. 


zVxUi

unaVr


정북사(祠) - 동북 국방을 강화하는 데 공을 세운 고려시대의 윤관()과 조선시대의 김종서()를 비롯한 4명의 장군들을 제향하기 위하여 세운 사당이다. 1437년(세종 19)에 처음으로 세워 노당()으로 불렀으나, 1845년(헌종 11)에 건물을 고쳐 세워 정북사라고 불렀으며, 1904년에 다시 세웠다. 총 9동의 건물로 이루어져 있는데, 앞에 정북루()의 2층 다락채가 있고, 그 안쪽에 양현당()을 중심으로 그뒤에는 정묘(), 그 앞에는 동무()·서무(西) 등이 있다. 


AJlMt

ymXzO

LLEHG


양화사(寺) - 양화사는 발해 때인 872년에 처음 세워졌고, 992년(고려 성종 11)과 1461년(조선 세조 6)에 고쳐 지었다. 이때 원래 주불전이었던 보광전을 대웅전으로 이름을 고쳤다고 한다. 양화사는 서북지방에서는 묘향산의 보현사 다음 가는 큰 가람이었으며 보국사라고도 불렸다. 조선 중기와 후기의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건축물이다.



UaDFo

XghHf



성불사(成寺) - 신라 말기에 도선()이 창건하였고, 1327년(충숙왕 14)에 응진전을 지었으며, 1374년(공민왕 23)에 나옹()이 중창하였다. 나옹은 건물의 중창뿐 아니라 다수의 석물을 새로 조성하였는데, 성불사를 비롯한 산내암자에 15기의 석탑을 안치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대규모의 중창 기록은 없으며, 1569년(선조 2) 설숭()이 중수하였으나 임진왜란으로 소진되었다. 1632년(인조 10)에 외적의 침입에 대처하기 위하여 정방산에 성을 쌓은 이후부터 이 절은 해서지방의 종찰이 되었다.



iknAm

LrrPD



관음사(寺)황해북도 개성시 박연리 천마산 기슭 박연폭포 부근에 있는 절. 970년에 지은 관음사는 1393년에는 크게 확장 되었으며 그 후 여러 차례 보수를 거듭하였다. 현재의 건물은 1646년에 고쳐지은 것이다. 원래 다섯 채의 건물로 이루어진 관음사에는 지금 대웅전과 승방, 7층탑과 관음굴이 남아있다. 



BHqDN

vlthY








출처 :樂 SOCCER

목록 스크랩 (0)
댓글 55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영화이벤트] 아시아 최고 판타스틱 장르 영화제! <제28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예매권 이벤트 137 06.21 13,741
공지 공지접기 기능 개선안내 [📢4월 1일 부로 공지 접힘 기능의 공지 읽음 여부 저장방식이 변경되어서 새로 읽어줘야 접힙니다.📢] 23.11.01 4,407,649
공지 비밀번호 초기화 관련 안내 23.06.25 5,183,461
공지 ◤더쿠 이용 규칙◢ 20.04.29 21,652,931
공지 성별관련 공지 (!!!!!!!!!!!!!!언급금지단어 필수!!!!!!!!!!!!!! 확인) 16.05.21 22,873,034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47 21.08.23 3,887,156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23 20.09.29 2,780,359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381 20.05.17 3,464,482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64 20.04.30 4,042,428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스퀘어 저격판 사용 무통보 차단 주의) 1236 18.08.31 8,472,371
모든 공지 확인하기()
2439188 이슈 오늘자 겁도 없이 블락비 노래 커버한 아이돌 최후 00:56 54
2439187 이슈 틱톡에 올라온 레드벨벳 화음쌓는 과정 2 00:55 112
2439186 유머 [KBO] 이제 내 차례지?? 00:55 136
2439185 이슈 19년 전 오늘 발매♬ YUI 'Tomorrow's way' 00:54 10
2439184 이슈 내가 본 자매들 다 목소리랑 말투 너무 똑같아서 신기함 00:54 153
2439183 유머 리포터 : 두유스피크잉글리쉬?? 00:53 161
2439182 이슈 방금 뜬 비주얼 개낀다는 엔위시 온리유 티저사진 3 00:52 248
2439181 이슈 90년대 한국 카페 정착 초기 모습들.jpg 7 00:51 813
2439180 유머 엔믹스 설윤 실물 느낌.x 6 00:50 546
2439179 이슈 무려 아이돌그룹 비쥬얼 메보였던 배우 조현재 (래퍼 김강우) 5 00:49 595
2439178 기사/뉴스 ‘더현대’ 옛 전방·일신방직 개발사업, 교통영향평가 심의 조건부 통과 00:49 149
2439177 이슈 걸밴드애니인 케이온에게 부실에서 차와 케이크만 먹는 애니라는 오명이 붙은 이유jpg 2 00:45 496
2439176 정보 일본바퀴의 번식력을 알아보자 .ytb(대혐오) 11 00:43 631
2439175 이슈 2년 전 오늘 발매♬ J-JUN(재중) with XIA(준수) '六等星' 2 00:41 113
2439174 기사/뉴스 션, 218억 규모 韓 최초 루게릭요양병원 설립 근황 "12월 완공…꿈은 이뤄진다" 31 00:38 1,355
2439173 이슈 빌리 아일리시 같은 걸그룹을 만들고 싶었다는 방시혁 (feat. 아일릿 어제자 기사) 33 00:38 3,090
2439172 기사/뉴스 [단독]탁재훈은 만류..지원, 성희롱 논란 '노빠꾸' 편집본 공유 "이견 無" [종합] 16 00:34 2,429
2439171 이슈 9년전 오늘 발매된, AOA "심쿵해" 7 00:34 221
2439170 이슈 여름을 대비하는 대구의 버스정류장.jpg 3 00:34 1,157
2439169 유머 인간나락감지기 4 00:31 1,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