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김영철 기자] 휴대폰 기능에 탑재된 기본 이모티콘을 이해하는 데에서 세대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Z세대(1997년~2006년 태어난 세대)들 사이에선 기본 이모티콘을 상대에 대한 조롱이나 비웃음 등 공격적인 의미로 사용하는 것을 넘어, 마약을 지칭하는 은어로도 사용하고 있다고 미 뉴욕포스트가 지난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가족 지원 단체 지원 사이트 ‘포 워킹 페런트(For Working Parents)’의 창립자 아밋 칼리는 심지어 기본 이모티콘이 10대들 사이에선 혐오 표현이나 마약을 지칭하는 은어로도 사용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10대들이 인스타그램 등 소셜미디어에서 흔하게 사용되는 기본 이모티콘들이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뜻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때 따뜻함과 기쁨의 상징이었던 기본 이모티콘이 Z세대에겐 다른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기성세대에겐 친근하게 보일 수 있는 이모티콘이 Z세대에겐 가식적이거나 날카롭게 느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뉴욕포스트는 “노란색의 웃는 얼굴을 한 이모티콘은 이제 30세 이하에겐 완전히 다른 의미로 받아들여진다”며 “상대를 무시하거나 노골적으로 비꼬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어 상대에게 해당 이모티콘을 보내면 기분을 상하게 할 수도 있다”고 짚었다.
미 월스트리트저널(WSJ) 역시 젊은 층 사이에서 기본 이모티콘을 사용하는 용도가 다른 연령층과 다르다고 전했다. 30대층에선 기본 이모티콘을 행복하다는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하는 반면 10대와 20대 초반의 연령대 사이에선 해당 이모티콘이 상대가 자신을 가르치려 드는 듯한 공격적인 의미로 해석한다는 것이다.
미국 브루클린의 한 미디어 업체에서 일하는 하피자트 비시(21)는 입사 당시 동료들로부터 웃는 표정의 기본 이모티콘을 받고 당황했었다고 WSJ에 설명했다.
그는 “무시당하는 느낌이었다. 진심 어린 미소가 아니라, 곁눈질하는 듯한 의미로 보였다”며 “상대 동료들이 나이가 많다는 걸 감안해야 했다. 나는 이 이모티콘을 비꼬는 의미로 나이 많다는 걸 상기해야 했어요. 저는 이 이모지를 비꼬는 의미로 쓴다”고 말했다.
https://news.nate.com/view/20250518n12698?mid=n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