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사/뉴스 [단독] "빚 못 갚겠습니다" 43%가 60세 이상…노인 파산 최대
6,282 5
2025.01.31 08:17
6,282 5

경기도에 사는 A씨(61)는 비디오 대여점, 자판기 사업 등에 손을 댔다가 일이 잘 풀리지 않으면서 생계에 어려움을 겪었다. 일용직으로 근근이 살아가다 2021년 간경화로 간 이식 수술을 받으면서 더는 경제 활동을 할 수 없게 됐다. 1300만원의 카드빚은 이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 3600만원이 됐고, 이를 갚을 길이 없어 지난해 7월 파산 신청을 했다.

 

고금리에 경기 불황이 겹치면서 빚을 감당하기 버거워하는 노년층이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60세 이상 ‘노인 파산’이 역대 최대 기록을 경신했고, 한번 파산한 후 다시 파산을 신청하는 어르신들도 늘고 있다. 사회적으로 노인 부양 부담이 커지면서 경제는 더욱 활력을 잃게 되는 악순환을 끊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영옥 기자

 

30일 법원행정처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국 법원에 접수된 개인 파산 신청자 10명 중 4명 이상(43.4%)이 60세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신청자 3만9993명 중 60세 이상이 1만7370명으로 가장 많았다. 최근 5년간 파산 신청자 중 6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31%에서 35.2%→38.4%→41.3%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저출생ㆍ고령화 흐름을 고려하면 파산자의 절반이 60세 이상인 것도 시간문제라는 분석이 나온다.

 

문제는 고령일수록 한번 경제가 파탄 나면 재기의 발판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과거 개인파산ㆍ면책을 신청한 후 다시 파산을 신청하는 경우도 느는 추세인데 특히 60세 이상 비중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2020년 43.1%에서 꾸준히 증가해 지난해에는 54.3%를 기록했다. 4년 새 11.2%포인트 급증한 것이다. 지난해 10월 발간된 서울회생법원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상반기 기준으로 주된 파산 원인은 사업 실패 혹은 사업 소득 감소(47.4%), 실직 또는 근로 소득 감소(45.9%), 생활비 지출 증가(44.7%) 등이다.
 

김영옥 기자

 

불어난 빚이 노인들의 생계를 위협하고 있다는 신호는 여기저기서 나타나고 있다. 빚내서 빚을 갚는 다중채무자도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급증하는 추세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60세 이상의 다중채무자 대출 잔액은 지난해 3분기 말 80조2000억원으로 2023년 말(72조8000억원) 대비 10.2% 증가했다. 60세 이상 다중채무자 차주 수는 지난 2023년 말 60만2000명에서 지난해 3분기 말 63만4000명으로 5% 이상 늘었다. 연령대별로 대출 잔액이나 차주 수 모두 60세 이상만 늘었다.

 

결국 빚을 못 갚아 채무조정 절차를 밟게 된 서민 규모도 지난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는데, 특히 60세 이상의 채무조정은 4년 새 83%나 증가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강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신용회복위원회 제출 자료)에 따르면 작년 채무조정 확정자 수는 17만4841명이다. 이 중 60세 이상 확정자는 2만5949명으로 2020년 대비 82.6%나 늘었다.

 

고령자들이 빚을 갚지 못하면 결국 대출 부실로 이어져 돈을 빌려준 금융회사들의 건전성도 위협받게 된다. 한은 추정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고령층의 연체가구(직전 1년간 원리금 납부 30일 이상 연체) 비중은 2.8%로 ▶40~59세 중년층(2.7%) ▶40세 미만 청년층(1.6%)의 비중 보다 높다. 한은은 “고령층 차주는 평균 17년 이상 분할상환 등을 통해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을 상환해야 하며, 은퇴 등으로 소득이 감소하는 시기임을 고려할 때 상환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며 “이는 금융기관의 잠재 리스크”라고 짚었다.

 

-생략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417747

목록 스크랩 (0)
댓글 5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아로셀💜 뽀얀쫀광피부를 만들 수 있는 절호찬스!! 100명 체험단 모집 279 02.22 18,600
공지 [공지] 언금 공지 해제 24.12.06 999,068
공지 📢📢【매우중요】 비밀번호❗❗❗❗ 변경❗❗❗ 권장 (현재 팝업 알림중) 24.04.09 5,490,257
공지 공지가 길다면 한번씩 눌러서 읽어주시면 됩니다. 23.11.01 8,957,784
공지 ◤더쿠 이용 규칙◢ [스퀘어 정치글 금지관련 공지 상단 내용 확인] 20.04.29 27,707,205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63 21.08.23 6,207,838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42 20.09.29 5,165,378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480 20.05.17 5,799,692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92 20.04.30 6,207,183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9. 스퀘어 저격판 사용 금지(무통보 차단임)] 1236 18.08.31 11,107,484
모든 공지 확인하기(2)
2642072 이슈 제목 <괴물>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16:10 8
2642071 이슈 문인 줄 알았는데 모두 마스킹 테이프였다ㄷㄷㄷ 1 16:09 453
2642070 이슈 유용하다 vs 필요없다 갈리는 헤일리 비버의 폰케이스 5 16:09 287
2642069 유머 내한 당시 손가락 하트 배우던 로버트 패틴슨 16:08 235
2642068 이슈 직장인이 할수있는 최고의 현실적인 복수ㄷㄷㄷ 2 16:08 433
2642067 이슈 치킨 배달원한테 신고 당한 사람 1 16:08 376
2642066 이슈 달달바삭한 고구마 고룽지 레시피 16:08 189
2642065 이슈 성심당 샌드위치 추천에서 절대 빠지지 않는 메뉴 2 16:08 418
2642064 유머 서울에 숙소 구하시는 분들 ㅇㅇㅇㅇㅇ 추천드립니다 2 16:08 436
2642063 이슈 초등학생 투표 불호 90% 나온 음식.jpg 13 16:07 397
2642062 이슈 사람마다 호불호 확실히 갈리는 카톡 대화스타일.jpg 2 16:07 183
2642061 이슈 코미디 영화 스파이 출연했던 배우 로즈 번 근황...jpg 6 16:03 1,177
2642060 이슈 이낙연 : 거대 야당의 집요한 압박이 윤 대통령의 비상식적 심리 상태를 더욱 악화시켰을 가능성은 있습니다. 53 16:03 821
2642059 이슈 방금 인스타에 사진 업데이트한 방탄소년단 뷔 (생존신고+D107) 25 16:03 861
2642058 이슈 결혼하면 남편한테 친구 비밀 얘기 많이 하나요? 34 16:02 1,567
2642057 유머 ??? : 비밀이야, 아니 비밀이라니까? 15:59 353
2642056 이슈 [2025 LCK CUP 결승전] 1세트의 악마 한화생명이 또다시 1세트를 승리합니다 4 15:59 332
2642055 이슈 이재명 페이스북 35 15:57 1,318
2642054 이슈 생각보다 반응 좋은거같은 경상도 <>강원도 신규 철도노선 jpg 78 15:53 6,474
2642053 유머 숏츠 중독 릴스 중독이면 알아 볼 요즘 알고리즘을 장악하고 있는 만화 18 15:52 1,744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