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사/뉴스 기자가 말하는 무안공항에서 겪은 기자의 행태 ‘아직 부족하지만, 분명 나아진 점이 있다'.TXT
3,515 13
2025.01.10 18:00
3,515 13

https://x.com/newstapa/status/1877619492832030908

 

https://newstapa.org/article/3M2Rx

 

꼭 전문 읽어보기를 추천 

뉴스타파 기자가 말하는 제주항공 참사를 취재하는 언론들을 모습에서

‘아직 부족하지만, 분명 나아진 점이 있다'고 평가했다는거에 인상깊어서 퍼옴 

 

qTUlra
 

 

요약 

1. 유가족 대표단이 "취재기자 풀단" 요청하여 꾸려저서 기자들의 경쟁적이고 반복된 취재가 방지됨 

2. 유가족 대표단이 직접 브리핑을 진행함

3. 자기들끼리만 공유하려는 풀단 카르텔이 깨지면서 경쟁적 취재 분위기가 잦아듬 

 

1. 유가족 대표단이 "취재기자 풀단" 요청하여 꾸려짐

 풀단 = 유가족에게 취재할 수 있는 정해진 기자단

 

"예컨대 재난참사 현장에서 피해자를 상대로 '당시 상황이 어땠나요?'라는 질문은 당연히 나올 수 있다. 그런데 10명의 기자가 똑같이 물어본다면 어떨까. 참사 당시에 대한 반복적인 회상이 트라우마를 악화시킬 수 있지 않을까. 그냥 풀단을 꾸리고 대표 기자 한두 명을 정해 질문하게 한 뒤 답변 내용을 모두 공유하면 되지 않을까."

 

'풀단 꾸려 취재하라' 모두 수긍했다
12월 30일, 제주항공 참사 유가족들은 참사 하루 만에 '유가족 대표단'(현 유가족 비상대책위원회)을 구성했다. 대표단은 유가족들의 요구 사항을 정부 측에 전달하고, 희생자 수습과 신원 확인, 추모 시설 설치 등과 관련해 당국과 수시로 논의하는 역할을 맡았다.
대표단은 기자들에게 '취재기자 풀단'을 만들라고도 요청했다. 여러 기자가 계속 대표단을 찾아와 취재를 시도하면, 대표단의 본 업무에 지장이 생길 수 있다는 이유였다. 유가족이 기자들에게 풀 취재단을 만들라고 제안한 건 처음 본 광경이었다. 바로 풀 취재단 단체 대화방이 만들어졌고, 대표단에서 정한 언론 담당 유가족 1명이 대화방에 들어왔다. 이에 따라 언론 담당 유가족을 통한 취재만 가능했고, 별도로 대표단이나 여타 유가족을 접촉하지 말자는 규칙이 세워졌다. 거의 모든 기자들은 유가족의 요구와 규칙을 지켰다. 풀단 밖에서 독단적으로 대표단을 취재하려는 기자는 없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아직 희생자 신원 확인이 진행 중인데, 유가족 부담을 늘리는 과도한 취재는 서로 하지 말자는 암묵적인 합의가 이뤄진 것 같았다. 또 기자들은 유가족이 머무는 텐트 주변으로 가지 않았고, 바로 옆에서 유가족들이 얘기하고 있어도 말을 걸지 않았다. 유가족들의 대화 중에는 분명 기자의 궁금증을 자아내는 소재도 적지 않았다. 하지만 기자들은 유가족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으려 노력했다.

 

유가족 항의에 대한 반응과 수용도 빨랐다. 단체 대화방에서 언론 담당 유가족이 기사의 오류를 지적하면, 기자들은 바로 사과하고 기사를 수정했다. 취재 방식에 의문을 제기할 때도 충분히 설명했다. '무언가 다르다'고 느꼈다.

 

 

2. 유가족 대표단이 직접 브리핑을 진행함

유가족들이 직접 브리핑을 진행할 수 있도록  주최자가 됨 ㅇㅇ 

그래서 미리 질문을 받았고 오히려 이 덕분에 유가족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고 함 

 

유가족이 브리핑을 통해 취재를 조율하다 
대표단을 찾아 브리핑을 정기로 진행하는 건 어떤지 제안했다. 그래야 기자들로서는 더 준비된 상태에서 브리핑 취재에 임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대표단은 이를 수용했고, 오전·오후 한 번씩 국토교통부·경찰 등과 합동 정기 브리핑을 하기로 했다. 또 만약 급하게 브리핑을 해야 할 일이 생긴다면, 사전에 풀 취재단에 공지하기로 했다. 
다른 일도 있었다. 여러 브리핑이 진행되는 동안 기자들은 거의 질문을 할 수 없었다. 브리핑은 '유가족 대상'이었기 때문에 질문은 유가족만 하는 식이었다. 기자들로서도 분명 대표단에 따로 묻고 싶은 것이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대표단에 기자회견을 하는 것이 어떻겠냐고 물었고, 그 취지 또한 설명했다. 대표단은 고심 끝에 기자회견을 승낙했다. 다만 모든 기자의 질문을 다 받긴 어렵다고 했고, 최대 10개 질문을 뽑아주길 원했다. 당장 본 업무를 하기도 바쁜 대표단의 특성상 오래 기자회견을 할 수 없었을 테니, 당연한 요구였다. 대표단 사무실도 협소했기 때문에 영상취재, 사진, 취재기자의 수도 각각 서너 명 정도로 제한했다. 
이후 풀 취재단에서 기자회견에 들어갈 대표 기자를 뽑았고, 질문도 취합해 10개로 추렸다. 이 과정에서 의문을 제기하거나 '질문 수가 너무 적다', '자신의 질문을 꼭 넣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내는 기자는 없었다. 그렇게 1월 2일 기자회견이 차질 없이 진행됐고, 회견 내용은 곳곳에 보도됐다.
그동안 재난 현장에서 유가족은 '취재 대상'으로만 여겨졌다. 언론이 관찰하고, 물어보고, 촬영하는 객체였다. 그러나 무안공항에서는 달랐다. 어떻게 하면 피해자의 권리를 지키며 동시에 보도의 필요성도 충족할 수 있을지, 함께 논의하고 조율하는 '언론 활동의 주체'였다.  

 

3. 풀단 카르텔이 깨짐 

지상파 풀단과, 종편 풀단 2군데에서 촬영하면 다른 독립, 영세 언론에게 영상들을 공유안했는데 이번에 처음으로 깨졌다고 함 

덕분에 경쟁적인 취재가 덜해졌다고 

 

무안공항에서도 지상파·종편 풀단 영상취재기자 각 1명이 분향소를 대표로 촬영하겠다고 손을 들었다. 그런데 만약 이들이 '인터넷 언론과는 영상을 공유하지 않는다'고 했으면 어땠을까. 영상 풀 취재에 회의감을 느낀 언론사들이 독자적으로 취재에 나섰을 수 있다. 아니면 인터넷 언론을 위한 자리도 분향소 내에 따로 만들어 달라고 했을 수 있다. 무엇이든, '경쟁'에 기반한 언론의 취재 관행이 온전한 추모와 애도를 방해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음은 분명하다.
이번 현장은 달랐다. 분향소 촬영을 맡게 된 지상파·종편 풀단 영상취재기자 각 1명은 뉴스타파 등과도 영상을 다 공유하겠다고 했고, 아무도 반대하지 않았다. 지난 이태원 참사 때와는 달라진 취재 환경이었다. 거듭 말하지만 취재 영상이 뉴스타파 등에게까지 폭넓게 공유된 경우는 매우 드물다.  
1월 2일과 6일 열린 유가족 대표단 기자회견 때도 똑같이 영상취재 풀단이 꾸려졌다. 이때도 모든 영상은 공유됐다. 적어도 무안공항에는 취재 영상을 독점하려는 카르텔이 없었다.

 


물론 기사를 보면 아직도 개판인 언론사도 있었다고함

많이 부족하지만 그래도 세월호참사와 이태원 참사 이후로

피해자들을 향한 배려와 정확한 보도를 향한 고민들이 현장에서 조금씩은 이어지고 있다는 이야기 

목록 스크랩 (1)
댓글 13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코랄헤이즈x더쿠✨] 착붙 컬러+광채 코팅💋 봄 틴트 끝판왕🌸 글로우락 젤리 틴트 신 컬러 체험단 모집! 416 04.07 32,908
공지 [공지] 언금 공지 해제 24.12.06 1,611,776
공지 📢📢【매우중요】 비밀번호❗❗❗❗ 변경❗❗❗ 권장 (현재 팝업 알림중) 24.04.09 6,272,813
공지 공지가 길다면 한번씩 눌러서 읽어주시면 됩니다. 23.11.01 9,486,799
공지 ◤더쿠 이용 규칙◢ [스퀘어 정치글 금지관련 공지 상단 내용 확인] 20.04.29 28,601,626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66 21.08.23 6,609,068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43 20.09.29 5,552,546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492 20.05.17 6,273,868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98 20.04.30 6,587,919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9. 스퀘어 저격판 사용 금지(무통보 차단임)] 1236 18.08.31 11,597,765
모든 공지 확인하기()
2680986 기사/뉴스 도미니카공화국 나이트클럽 붕괴 사망자 최소 98명으로 늘어 16:33 27
2680985 유머 신규 여자 공무원 자동차 봐주세요 16 16:31 945
2680984 이슈 오늘 막방인 엠넷 연프 2 16:29 589
2680983 기사/뉴스 임영웅, 부동의 1위…인기 끄떡없다 [스타1픽] 15 16:29 241
2680982 기사/뉴스 탄핵 선고로 재조명된 '어른 김장하', 2년 만에 재개봉 8 16:27 607
2680981 기사/뉴스 레이저 의료기기 탓…개원 안 한 한의원 악플 700개 달려 논란 (2024년 기사) 5 16:27 364
2680980 유머 겁쟁이 고양이의 집사가 심야괴담회 애청자임 14 16:26 865
2680979 이슈 후뢰시맨 레이 네펠.gif 4 16:26 308
2680978 유머 신나서 나가는 밖순이와 열린 문 보고도 외면하는 집순이 그리고 툥바오🐼🐼👨‍🌾 16:26 612
2680977 이슈 우리의꿈 신지 파트 부르는 세븐틴 우지 8 16:25 333
2680976 유머 조용한 회사 점심시간에 철가방 퀴즈하며 긴장감 주는 출판사 편집자들 1 16:24 579
2680975 기사/뉴스 마인크래프트 무비,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누르고 게임 원작 영화 최고 오프닝 기록 7 16:24 235
2680974 정보 사랑니를 뽑아야 하는 이유 중.. 충치도 있..ㅠㅠ 19 16:23 1,473
2680973 기사/뉴스 [단독] 경찰, '중국 간첩 99명 체포 보도' 스카이데일리 압수수색 23 16:21 1,635
2680972 이슈 이제는 챗지피티가 아이돌 조합도 짜주는 시대가 왔다.jpg 3 16:21 1,429
2680971 유머 슈나우저의 역사에 대해 알아보자 23 16:17 1,696
2680970 유머 이목구비 또렷하고 비주얼 좋은 남돌.jpg 1 16:17 1,170
2680969 이슈 유튜브 조회수 천만회 앞두고 있는 카더가든 영상 39 16:16 3,178
2680968 이슈 [웃음벨 주의] 별점테러 의사들이 한의사에게 쓴 사과문들.jpg 18 16:15 2,315
2680967 이슈 트럼프 "아름답고 청정한 석탄" 행정명령…지구온난화? "걱정 마" 19 16:15 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