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과 출산 의향을 묻는 설문조사에서 남성은 '경제적 불안'을, 여성은 '혼자 사는 것이 더 행복'하다는 이유로 결혼 생각이 없다고 답했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한미연)은 리서치 업체 엠브레인과 20~49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식 조사 결과를 1일 발표했다.
미혼남녀(1164명)의 절반인 53.2%가 '결혼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결혼 의향이 없다'는 응답이 27.4%에 달했고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9.4%였다.
'결혼 의향이 없다'는 응답 비중은 여성(34.6%)이 남성(21.5%)보다 높았다. 비혼 의향은 40대가 35.3%로 가장 높은 등 고연령대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30대와 20대가 각각 30.5%, 22.2%였다.
결혼을 기피하는 이유로 남성은 ▲'경제적 불안' 20.1% ▲'혼자 사는 것이 더 행복' 18.9% ▲'결혼 조건을 맞추기 어려워서' 15.8% 순으로 답이 많았다.반면 여성은 ▲'혼자 사는 것이 더 행복' 17.6% ▲'가부장제 및 양성 불평등 문화' 16.2% ▲'결혼하고 싶은 인연을 못 만날 것 같아서' 12.4% 순이었다.
결혼 의향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 중 38.6%는 정부 정책과 기업 지원이 확대되면 결혼 의향을 바꿀 수 있다고 답했다. 반면 61.4%는 정책·지원과 무관하게 비혼 입장을 고수했다.
출산에 대한 인식을 보면 42.6%가 출산 의향이 없었고 37.8%는 출산 의향이 있었다. 출산 의향이 없는 응답자는 여성(52.9%)이 남성(33.1%)보다 많았다.
여성이 출산을 원하지 않는 이유로는 13.9%가 아이를 낳을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이어 ▲'자녀를 돌봄·양육할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12.7%) ▲'자녀 교육에 막대한 비용이 들어서'(10.7%) 순이었다.
남성의 경우 ▲'고용 상태·직업이 불안정해서' 17.9% ▲'자녀를 돌봄·양육할 경제적 이유가 없어서' 16% ▲'아이를 낳을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 10.5% 순으로 답이 많았다.
출산 의향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 중 44.1%는 정부 정책과 기업 지원이 확대되면 출산 의향을 바꿀 수 있다고 답했다. 반면 55.9%는 정책·지원과 무관하게 비혼 입장을 고수했다.
특히 출산 의향이 없다고 답한 유자녀 기혼자의 경우 55.3%는 정책과 지원 제도를 통해 출산 의향이 있는 유동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혼 출산에 대한 찬성도는 31.2%였고 반대는 35.5%였다.
유혜정 한미연 선임연구위원은 "이번 조사는 저출산 대응을 위한 정부정책과 기업지원의 방향과 규모를 결정하는데 단서를 제공하는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며 "결혼출산에 대한 유동층의 규모와 인식수준에 따른 선호정책을 파악한 만큼 정부와 기업이 효과적으로 문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면밀한 정책 수요자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한미연)은 리서치 업체 엠브레인과 20~49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식 조사 결과를 1일 발표했다.
미혼남녀(1164명)의 절반인 53.2%가 '결혼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결혼 의향이 없다'는 응답이 27.4%에 달했고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9.4%였다.
'결혼 의향이 없다'는 응답 비중은 여성(34.6%)이 남성(21.5%)보다 높았다. 비혼 의향은 40대가 35.3%로 가장 높은 등 고연령대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30대와 20대가 각각 30.5%, 22.2%였다.
결혼을 기피하는 이유로 남성은 ▲'경제적 불안' 20.1% ▲'혼자 사는 것이 더 행복' 18.9% ▲'결혼 조건을 맞추기 어려워서' 15.8% 순으로 답이 많았다.반면 여성은 ▲'혼자 사는 것이 더 행복' 17.6% ▲'가부장제 및 양성 불평등 문화' 16.2% ▲'결혼하고 싶은 인연을 못 만날 것 같아서' 12.4% 순이었다.
결혼 의향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 중 38.6%는 정부 정책과 기업 지원이 확대되면 결혼 의향을 바꿀 수 있다고 답했다. 반면 61.4%는 정책·지원과 무관하게 비혼 입장을 고수했다.
출산에 대한 인식을 보면 42.6%가 출산 의향이 없었고 37.8%는 출산 의향이 있었다. 출산 의향이 없는 응답자는 여성(52.9%)이 남성(33.1%)보다 많았다.
여성이 출산을 원하지 않는 이유로는 13.9%가 아이를 낳을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이어 ▲'자녀를 돌봄·양육할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12.7%) ▲'자녀 교육에 막대한 비용이 들어서'(10.7%) 순이었다.
남성의 경우 ▲'고용 상태·직업이 불안정해서' 17.9% ▲'자녀를 돌봄·양육할 경제적 이유가 없어서' 16% ▲'아이를 낳을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 10.5% 순으로 답이 많았다.
출산 의향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 중 44.1%는 정부 정책과 기업 지원이 확대되면 출산 의향을 바꿀 수 있다고 답했다. 반면 55.9%는 정책·지원과 무관하게 비혼 입장을 고수했다.
특히 출산 의향이 없다고 답한 유자녀 기혼자의 경우 55.3%는 정책과 지원 제도를 통해 출산 의향이 있는 유동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혼 출산에 대한 찬성도는 31.2%였고 반대는 35.5%였다.
유혜정 한미연 선임연구위원은 "이번 조사는 저출산 대응을 위한 정부정책과 기업지원의 방향과 규모를 결정하는데 단서를 제공하는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며 "결혼출산에 대한 유동층의 규모와 인식수준에 따른 선호정책을 파악한 만큼 정부와 기업이 효과적으로 문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면밀한 정책 수요자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17/0001024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