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사/뉴스 [단독]기후질병의 습격…'제2의 에이즈' 라임병 역대최대
5,449 8
2024.03.25 11:44
5,449 8

2011년 첫 확진자 라임병, 2건→48건↑
말라리아 747건 발병…11년만에 최대
"겨울 짧아지면서 번식 환경 좋아진 탓"
기후질병 전용예산 無…"대응전략 필요"

 

한 라임병 환자의 팔에 붉은 반점과 이를 둘러싼 옅은 고리가 나타나있다. 사진=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지구온난화로 한반도 기온이 상승하면서 기후질병이 덩달아 증가하고 있다. 2010년 이전에는 한 번도 발생하지 않았던 라임병이 지난해 역대 가장 많이 발병했고, 퇴치사업으로 감소추세였던 말라리아 환자도 다시 늘어나는 추세다. 한국도 주요 선진국처럼 기후질병 예산을 별도로 갖추고 대응체계를 꾸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5일 아시아경제가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입수한 ‘인수공통감염병 발병 건수 추이’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라임병은 48건 발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년 22건과 비교하면 1년 만에 2배 넘게 증가했다. 한국은 2010년까지만 해도 라임병 발병이 없었지만, 2011년 2건을 시작으로 매년 라임병이 발생하고 있다.

 

라임병이란 진드기가 사람을 물며 발생하는 감염질환이다. 미국 북동부 지역의 풍토병인데 주로 사슴에서 많이 발견된다. 매독을 유발하는 ‘시피로헤타 팔리다균’과 동종인 ‘보렐리아균’에 속해 있어서 ‘제2의 에이즈’로 불린다. 초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뇌염이나 부정맥을 일으키고, 안면마비나 기억상실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매년 2억~3억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키는 말라리아의 국내 발병 건수도 다시 증가하기 시작했다. 애초 말라리아는 정부의 적극적인 예방·퇴치 사업으로 줄어드는 추세였다. 2010년 1777건에 달하던 발병 건수도 400~500명대로 줄었다. 2021년에는 294건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지만, 다음 해 420건으로 늘더니 지난해 747건으로 급증했다. 이는 1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라임병과 말라리아의 증가 원인으로 기후변화가 거론된다. 기온이 따뜻할수록 매개체가 활동하는 기간이 늘어나고 서식지도 넓어지기 때문이다. 질병청 관계자는 “발병 원인을 한 가지 이유만으로 볼 수는 없다”면서도 “겨울이 짧아지면서 진드기와 모기가 번식하기 좋아지는 등 기후변화의 영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기후질병' 비상걸린 국제사회…전용예산 없는 한국

 


이런 현상은 해외에서도 관측되고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미국에서 확인된 라임병 사례는 1999년부터 2019년까지 44% 증가했다. 2022년 중국 쿤밍약학대학 연구진은 전 세계 인구 14%가 라임병에 걸린 적이 있다며 ‘기후변화에 따라 여름이 더 길어지고 건조해진 게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유럽질병관리예방센터(ECDC) 역시 감염병 중 하나인 웨스트나일열 감염이 2022년 1112건으로, 2021년 159건에서 6배 넘게 급증했다고 밝혔다.

 

국제 보건의료 전문가들은 기후위기가 가속화하면 관련 질병이 더 횡행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마리아 게바라 국경없는의사회 의료활동 총책임자는 지난해 성명을 내고 “기후위기 악화에 따라 (기후질병의) 발병률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우려스럽다”면서 “향후 말라리아 연간 사례가 1500만 건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생략

 

한국은 기후질병에 별도 예산을 투입하지 않고 있다. 기후변화 방지나 개별 질병에만 예산이 배정되고 있다. 올해 질병청의 상시·신종감염병 예산은 각각 1조1608억원, 1108억원이다. 이 가운데 모기 매개 감염병 예방 예산이 9억원에서 15억원으로 늘었지만, 신종감염병 예산의 경우 기후변화와 관련된 언급이 전혀 없었다.
 

-생략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396722?sid=102

목록 스크랩 (0)
댓글 8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한율 X 더쿠💛] 8시간 만에 -45% 반쪽모공! 한율 <반쪽모공세럼> 체험 이벤트 ! 593 06.06 42,845
공지 공지접기 기능 개선안내 [📢4월 1일 부로 공지 접힘 기능의 공지 읽음 여부 저장방식이 변경되어서 새로 읽어줘야 접힙니다.📢] 23.11.01 4,226,251
공지 비밀번호 초기화 관련 안내 23.06.25 4,955,408
공지 ◤더쿠 이용 규칙◢ 20.04.29 21,403,973
공지 성별관련 공지 (언급금지단어 필수!! 확인) 16.05.21 22,620,741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47 21.08.23 3,810,996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22 20.09.29 2,684,756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378 20.05.17 3,373,592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63 20.04.30 3,936,243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스퀘어 저격판 사용 무통보 차단 주의) 1236 18.08.31 8,341,377
모든 공지 확인하기()
2427708 기사/뉴스 ytn 12일 푸바오 취재 예정 19:56 10
2427707 이슈 2014년 전세계 클럽을 조진 신드롬 수준의 노래.twt 19:56 26
2427706 이슈 가출한 강아지를 찾은곳 19:56 69
2427705 이슈 고양이 그림 vs 사진 1 19:55 119
2427704 이슈 이해하면 무서운 이야기 3 19:54 305
2427703 이슈 개인적으로 레전드 중 하나같은 하시모토 칸나 시구날.gif 2 19:54 523
2427702 이슈 에이티즈 산× 투어스 지훈 WORK 챌린지 1 19:54 57
2427701 이슈 작년 비펑샤에서 일본팬들과 하이파이브하며 우에노시절 장꾸로 돌아왔던 샹샹🐼 5 19:53 506
2427700 유머 선재 업고 튀어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 차이 3 19:52 802
2427699 기사/뉴스 [단독] “더 오면 뛴다”…자살시도 20대 구한 경찰의 기지 2 19:52 606
2427698 이슈 1박 2일 복불복 최강자 뉴진스 해린 10 19:51 958
2427697 유머 진심 아름답다는 말이 저절로 나오는 백공작 19:50 323
2427696 이슈 난 아직 덤보를 본 적이 없는데 토비 블루스의 이 일러스트를 보고 이미 오열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평생 볼 일 없을 것.twt 11 19:49 838
2427695 유머 일렬로 모여서 자는 흰머리오목눈이 4 19:49 489
2427694 이슈 소방관 2600명 밀린 임금 지급하라.jpg 35 19:49 1,836
2427693 유머 우산 쓰고 걷다가 주저 앉아서 오열했다... 13 19:49 2,122
2427692 이슈 몸이 건강할수록 쉽다는 간헐적 단식 25 19:48 1,767
2427691 유머 역대 영부인 초상화 걸려있는 곳임.jpg 9 19:48 1,130
2427690 이슈 2010년에 빌보드 3주 1위 한 팝송 안다 vs 모른다 17 19:48 417
2427689 이슈 이제 ‘공룡’ 발음 된다는 츠키ㅋㅋㅋㅋ 9 19:48 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