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사/뉴스 <보그> 천문학자 심채경 화보 + 인터뷰 “멀쩡한 천문학자가 되고 싶다”
3,933 8
2024.03.25 10:04
3,933 8

QCEpxk

maMIzh

tEHTvC

천문학자는 뭔가 신비로워 보인다.

세상과 동떨어진 채 물정 모르고 살아갈 것 같고, 맨날 철학적인 얘기 할 것 같고?(웃음) 미디어에서 만든 그런 이미지가 나쁘진 않다. 그냥 포장된 채 두고 싶다.

그런데 당신은 좀 다르다. 에세이집(<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문학동네)을 출간했고, 소설가 김영하, 방탄소년단 RM 등과 함께 방송 패널로도 출연했다.

김영하 작가의 소설 <살인자의 기억법>에 이런 구절이 있다. “잠이 오지 않아 밖으로 나오니 밤하늘엔 별들이 찬란하다. 다음 생에는 천문학자나 등대지기로 태어나고 싶다.” 천문학자가 이렇게까지 사회와의 접점이 많을 줄은 나도 몰랐다. 그만큼 과학에 대한 대중의 수요가 많다는 뜻이겠지. 더구나 여성 과학자, 거기에 워킹 맘은 소수 중의 소수니까 아무래도 궁금해하는 분이 많은 것 같다.

최근 <킹덤>의 김은희 작가와도 만났다. 여성 물리학자를 주인공으로 한 신작의 자료 수집에 도움을 주었다고 들었다.

나의 대학원 생활에 대해 물으셔서 답해드렸다. 사실 본업이 먼저라 대외 활동에 큰 비중을 두고 있지는 않다. 지난해에는 신문에 연재하던 칼럼을 스스로 중단하기도 했다. 지금은 취직한 지 얼마 안 돼 직장에서 배우고 싶은 게 많다. 그래도 가끔 뜻밖의 랑데부는 즐길 수 있다.

그 연재 칼럼의 제목도 ‘심채경의 랑데부’였다.

좋아하는 말이다. ‘랑데부’는 우주탐사에서 쓰는 용어다. 내가 천문학을 하게 된 것도 일종의 랑데부라고 여긴다. 인생을 살다 우연히 만난 천문학이 내겐 직업으로 연결되지 않았나. 새로운 경험이 또 다른 기회를 만들고 그런 만남이 인생을 즐겁게 하는 것 같다. 이런 사진도 찍고 말이다.

현재 하고 있는 연구는 무엇인가? 당신이 소속된 한국천문연구원 조직도에는 ‘민간 달 착륙선 탑재체 국제 공동 연구-프로젝트 과학’이라고 되어 있다.

달 표면에서 사용할 관측 기기를 국내에서 개발해 해외의 달 착륙선에 실어 달에 보내는 일을 하는 팀이다. 연구원에서 독자 개발하는 것도 있고, 국내 대학과 협업하기도 한다. 요즘 우주탐사 선진국의 흐름은 민간 기업이 많이 참여하는 거다. 정부가 발주하면 민간 기업이 달 착륙선을 만들고 그 임무를 전담하는데, 그런 달 착륙선에 우리나라에서 만든 관측 기기도 실어 보낸다. 지금은 주로 미국 나사(NASA)와 협력하고 있지만 다른 나라와도 협력할 기회를 찾고 있다.

일과가 궁금하다. 천문학자에게 ‘하루’는 어떤 의미일까?

지구가 한 바퀴 자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 지구상의 많은 생명체처럼 나 역시 매일 반복되는 하루를 살고 있다. 요즘은 동사무소를 ‘행정복지센터’라고 하던데 거기랑 비슷하다. 아침에 출근해서 계속 컴퓨터 앞에 앉아 있다가 저녁이면 퇴근하는 보통 직장인의 삶이다. 다만 내가 속한 팀은 해외 연구자들과 회의가 잦아 이른 아침이나 늦은 밤에 집에서 온라인 회의를 하기도 한다.

우리나라 최초의 달 궤도 탐사선 ‘다누리’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2022년 8월 다누리가 성공적으로 발사되면서 우리나라는 세계 일곱 번째 달 탐사국이 되었다. 당시 기분이 어땠나?

발사는 경험이 많은 기업의 발사체를 사용했기 때문에 별로 걱정하지 않았다.

얼마 전 세계 최초의 민간 달 착륙선 ‘오디세우스’가 일론 머스크의 항공 우주 기업 스페이스엑스의 ‘팰컨 9’ 로켓에 실려 발사되었다는 뉴스를 봤다. 다누리도 이 회사의 발사체를 이용한 것으로 안다. 당신도 그 현장에 있었나?

직접 보진 못했다. 전남 고흥에서 달 착륙선이 발사될 때는 아마 가볼 수 있지 않을까? 우리나라는 2032년 달 착륙선 발사를 목표로 준비 중이다. 나도 여기에 조금 관여하고 있지만 아직 초기 설계 단계라 내가 할 일이 많진 않다.

대체 달에 뭐가 있길래? 인류가 달에 첫발을 디딘 지 반세기가 지났지만 달 탐사의 열기는 여전하다.

수천 년 전에도 사람들은 달에 관심이 많았다. 일단 자원이 있고, 냉전 시대에는 과학기술 수준의 우월함을 내보이는 수단이었다. 지금은 달에서 여러 실험이 진행 중이다. 예를 들어 달의 흙으로 벽돌이나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는지 연구한다. 그 얘긴 달에서 건축도 하겠다는 거다. 우주의 천체가 아니라 지구의 확장 같은 느낌이랄까? 국제 우주 정거장이 인류의 활동 영역을 넓힌 것처럼 말이다. 달에 기념품을 보내고 싶어 하는 사람들도 있다. 지난 1월에 간 착륙선에도 타임캡슐 같은 게 여럿 실려 있었다. 비록 실패해 지구로 귀환하긴 했지만 이런 걸 실행하는 기업이 있다.

지금 달과 관련된 가장 활발한 사업이 달에 물건을 보내는 것이란 애길 들었다. 영원히 간직하고 싶은 사랑의 징표, 소중한 사람의 유해, 위대한 고전을 모은 USB… 그야말로 천문학적인 돈과 시간을 투자하는 이유치고는 너무 소소하고 낭만적이지 않나?

쓸데없어 보이지만 때로는 그런 게 살아갈 이유를 주지 않나. 꼭 우주가 아니라도, 사람들은 이름도 읽기 힘든 낯선 지역에 대해 한번 들어본 것만으로도 거기에 큰 의미를 둔다. ‘이타카’ 같은 곳 말이다. 그건 인류의 DNA에 새겨져 있는 것 같다. 낯선 세계에 대한 호기심, 모험심. 선조들이 아프리카에서 기원해 유럽, 아시아를 누비고 꽁꽁 언 바다를 건너 아메리카 대륙으로까지 건너간 것 역시 비슷한 이유일 거다.

천문학자의 입장에서 달은 어떤 매력이 있나?

할 수 있는 일을 할 뿐이다. 다만 달을 연구해서 좋은 건 있다. 가족과 아이들에게 내 연구 대상을 보여줄 수 있다는 것. 천문학자 중에서 그게 가능한 건 달 과학자밖에 없다. 태양은 너무 눈이 부시고 다른 건 맨눈으로 관측이 불가능하다. 그저 밝은 점일 뿐. 그런데 달은 무늬까지 보이지 않나. 천문학자로서는 특별한 경험이다.

달에 직접 가보고 싶다는 생각은?

하하. 전혀. 우주에 간다는 건 너무 위험한 일이다. 탐험은 탐험가에게, 과학은 과학자에게. 우주에서 데이터를 보내오면 과학자들은 지구에서 열심히 연구를 하겠지. 만약 안전과 건강이 보장된다면 달에 가서 지구를 보고 싶긴 하다. 지구는 우리가 여기서 달을 보는 것보다 훨씬 크게 보인다. 그러니까 하늘에 엄청나게 큰 지구가 떠 있는 거다. 파랗고 구름도 있고 하루에 한 바퀴씩 도는 모습을 상상만 해본다.

달에 대해 연구하면서 새롭게 발견한 사실이 있다면?

달은 지역마다 다른 종류의 흙으로 그 구성 성분이 조금씩 다르다. 햇빛을 받는 각도에 따라 색이 바뀌는 것처럼 토양 역시 수십억 년간 빛을 받아온 곳과 그늘진 곳의 성질이 다르다. 또 달은 지구 자기장의 영향권 안에 들어왔다 나갔다 하는데 그때마다 영향을 받는 사면의 위치와 방향에 따라 비슷한 지역에서도 토양의 성질이 조금씩 다른 것을 발견했다. 내겐 그게 좀 재미있었다. 대개 달 과학은 특정 지역을 지질 조사하듯 자세히 관찰하는데, 난 천문학이 베이스이다 보니 달 표면의 구덩이, 크레이터 몇 천 개를 다 통계적으로 본 거다. 전체적인 경향을 보고 흐름을 파악하는 건 천문학자들이 잘하는 일이다. 원래 달 과학자들은 잘하지 않던 종류의 일인데, 천문학을 하던 사람이 달 과학을 하니 이런 걸 하게 됐다.

어떤 건축가는 흙으로 그림을 그렸다. 해남 땅끝마을의 흙, DMZ 주변의 흙… 저마다 색과 점성이 달라 물감처럼 사용하는 걸 봤다.

물론 지구에 비하면 달은 거의 차이가 없다. 지구는 식물이 자라고 동물이 다니면서 흙이 많이 바뀐다. 아파트도 지어야 한다. 하지만 달은 그 역사 그대로 아무도 건드리지 않은 상태다. 비조차 내리지 않으니 이 상태로 몇 억 년 있었다고 간주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 보니 달에서는 토양의 성질을 보는 게 큰 부분이다. 달의 진화 역사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인간의 시간 개념으로는 상상이 안 된다.

우리는 1억 년 정도 됐다고 하면 굉장히 젊은 지형이라고 본다. 45억 년 전 달이 생기면서 만들어진 흙은 가끔 소행성이 충돌해 마그마가 올라오거나 하는 사건이 있을 때 바뀔 뿐 거의 그대로다. 제주도처럼 달에도 현무암이 많은데 그런 지역이 바로 마그마가 흘러넘치던 곳이다. 이를 통해 큰 충돌 사건의 연대를 추정할 수 있다.

그 흙을 채굴해 기념품을 만들면 비싼 값을 받겠다. 이미 어떤 기업이 추진하고 있겠지?

흙으로 그림을 그리는 얘기를 하니 생각난 건데, 만약 달에도 예술가들이 간다면 그런 일을 하지 않을까? SF 소설을 쓰는 배명훈 작가가 그런 말을 했다. 예술가가 가야 문명이 생긴다고. 우주 비행사나 과학자, 이런 훈련된 사람들이 우주에 가는 건 탐사지, 인간의 영역이 확장된다고 보긴 조금 어려울 수도 있다. 직접적인 생산에 관여하지 않는 사람들, 예술가 같은 사람들이 가야 비로소 문명이 시작된다는 얘기다.

요즘 천문학계의 이슈는 무엇인가?

천문학의 범위가 워낙 넓어 내가 다 알진 못한다. 최근 몇 년간은 블랙홀 관측이 큰 이슈였다. 영화 <인터스텔라>에 블랙홀 영상이 나오는데 개봉 당시만 해도 실제로 관측되지 않은 추정에 불과했다. 그리고 지금은 ‘제임스 웹’이라는 우주 망원경이 인류가 처음 보는 우주 사진을 많이 보내오고 있다. 목성과 토성의 위성에 지하 바다가 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단서가 나타나고 있다. 우리도 미래에 그런 걸 탐사하러 가야 한다. 전 세계에서 이런 도전적인 일을 할 수 있는 나라가 얼마 없다. 우리나라도 그중 하나다.

조금 다른 얘기인데, 우주산업과 관련된 이름은 죄다 서양 신화에서 따왔다. 아폴로 11호, 오디세우스…

나도 그게 불만이다. 다누리 프로젝트를 할 때 이름에 대해 고민했다. 과학자들은 그런 건 잘 모른다. 그래서 워크숍 때 우리의 옛이야기를 연구하는 분을 모신 적도 있다. 달 탐사선 이름으로 붙일 만한 게 옥토끼 말고는 없는데, 옥토끼는 이미 중국에서 선점한 상태였다. 우리는 달의 여신도 없고, 전래 동화나 설화를 떠올려봐도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연오랑과 세오녀’ 정도가 알려진 전부다. 한국 전통문화에 해박한 누군가가 멋있는 한글 이름을 좀 붙여주면 좋을 것 같다.

혹시 별자리가?

처녀자리. 재밌는 게 황도 12궁 중에 처녀자리라는 별자리는 되게 넓다. 별자리마다 차지하는 영역이 동등하지 않다. 어떤 건 작고 또 어떤 건 크다. 이걸 30일씩 균등하게 나누는 게 맞는지 모르겠다. 처녀자리는 한 45일 이상은 돼야 될 것 같은데 말이다. 그게 항상 궁금하긴 했다.

처녀자리인 사람은 신중한 현실주의자라고 한다. 당신이 어떤 일을 결정할 때 가장 큰 동기가 되는 건 무엇인가?

‘그걸 해서 내가 즐거울까?’를 먼저 고려한다. 즐거움의 기준은 사람마다 다르니 누군가는 1등 하는 게 즐거울 수도 있을 것이다. 난 승부욕은 없는 편이다. 때로는 고통스럽더라도 궁극적으로 즐거울 것을 기대하기도 하고, 지금 당장 눈앞의 재미를 찾기도 한다. 일관적이지는 않은데 그렇게 사는 게 좋다.

과학자로서 도달하고 싶은 목표가 있다면?

꿈이나 목표가 별로 없는 사람이다. 그저 오늘 할 수 있는 일을 오늘 하고, 그게 제일 큰 목표다. 지금은 촬영과 인터뷰를 무사히 끝내는 것. 오늘 목표를 거의 다 이뤄서 점점 행복해지고 있는 중이다.

질문을 바꿔보자. 연구자로서, 한 인간으로서 사회에 공헌하고 싶은 것은?

멀쩡한 천문학자가 되는 것이다. 내가 천문학자로 성장하기까지 사회에서 많은 물적, 심적 지지가 있었음을 기억한다. 그 투자가 아깝지 않도록, ‘훌륭한’까지는 아니더라도 멀쩡한 천문학자가 되고 싶고, 내 몫의 할 일을 흘리지 않는 좋은 직업인이 되고 싶다.

천문학 분야에서 경력을 쌓고 싶어 하는 젊은 여성에게 어떤 말을 해주고 싶나?

천문학 분야는 열려 있다. 천문학 전공자가 아니어도 되고 수학을 못해도 된다. 별자리 모르면 어떤가. 내 동료들만 봐도 정말 다양하다. 안 된다고 생각하면 끝도 없다. 나 역시 이과적 성향이 강한 편은 아니다. 유학 갔다 온 것도 아니고 아이도 키우고 있다. 그럼에도 여기 있지 않나. 일단 열려 있다는 걸 믿어야 한다. 그러면 열려 있다는 걸 발견하게 될 것이다.

현재 일하고 있는 팀에 여성의 비율은 얼마나 되나?

천문연구원 전체로 보면 10% 정도다. 우리 세대는 전보다 늘어난 편이다. 천문학자 할머니, 혹시 가늠해본 적 있는가?

할머니 천문학자? 정말 생소하다.

드물긴 하지만 국내에도 그런 분들이 있다. 퇴임하신 후에도 연구를 지속하거나 관련 일을 하고 계신 여성 천문학자들. 그분들이 그 자리에 있는 것만으로도 큰 힘이 된다. 이제는 과학계도 점차 변화하는 추세다. 천문연구원에는 여성협의회가 있다. 천문학회, 우주과학회에서는 학회 기간 동안 아이 돌봄 서비스도 운영하고 있다. 앞으로의 전망은 더 좋을 거라 본다.

https://www.vogue.co.kr/2024/03/25/%ec%8b%ac%ec%b1%84%ea%b2%bd-%eb%a9%80%ec%a9%a1%ed%95%9c-%ec%b2%9c%eb%ac%b8%ed%95%99%ec%9e%90%ea%b0%80-%eb%90%98%ea%b3%a0-%ec%8b%b6%eb%8b%a4/?utm_source=kakaonews&utm_medium=partnership

목록 스크랩 (0)
댓글 8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한율 X 더쿠💛] 8시간 만에 -45% 반쪽모공! 한율 <반쪽모공세럼> 체험 이벤트 ! 586 06.06 41,136
공지 공지접기 기능 개선안내 [📢4월 1일 부로 공지 접힘 기능의 공지 읽음 여부 저장방식이 변경되어서 새로 읽어줘야 접힙니다.📢] 23.11.01 4,224,586
공지 비밀번호 초기화 관련 안내 23.06.25 4,953,704
공지 ◤더쿠 이용 규칙◢ 20.04.29 21,403,308
공지 성별관련 공지 (언급금지단어 필수!! 확인) 16.05.21 22,619,061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47 21.08.23 3,808,212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22 20.09.29 2,684,756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378 20.05.17 3,373,592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63 20.04.30 3,935,240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스퀘어 저격판 사용 무통보 차단 주의) 1236 18.08.31 8,338,296
모든 공지 확인하기()
2427869 유머 결혼 전 여자들의 파티에서 엄마 놀라게 하기 16:42 52
2427868 유머 비건고기를 비웃으면 안되는 이유 9 16:40 763
2427867 이슈 오늘 자 수원 스타필드에서 공개 팬사인회 한 아이돌 16:40 587
2427866 이슈 실시간 헬스장 불 끄고 퇴근한 샤이니 민호 1 16:39 666
2427865 이슈 9년전 오늘 발매된, 멜로디데이 "#LoveMe" 16:39 17
2427864 이슈 신입 환영회 건배사 하랬더니 퇴사 선언함 6 16:39 789
2427863 이슈 트위터에서 1만 알티 넘은 세븐틴 버논 언행.twt 7 16:39 739
2427862 이슈 요즘 신축 오피스텔에서 유행하는 화장실 구조 18 16:37 2,342
2427861 이슈 200위 밖으로 떨어지고있는 투어스 이번노래..... 27 16:34 2,663
2427860 유머 성과급을 고급스러운 단어로 말하면 6 16:33 1,353
2427859 이슈 실시간 <원더랜드> 무대인사 중인 수지.jpg 10 16:32 1,444
2427858 이슈 [KBO] 삼성 이성규 미친 다이빙 수비 25 16:30 833
2427857 이슈 9년전 오늘 발매된, 엠블랙 "거울" 16:29 77
2427856 이슈 알티타는중인 청소년 클럽 직원 모집 기준 32 16:27 3,255
2427855 유머 간식과 후식은 그냥 안 먹으면 되는데 왜 그걸 못 참지? 11 16:26 2,979
2427854 이슈 전업주부로 사는 엄마들의 속마음 + 댓글 추가 46 16:24 3,848
2427853 유머 어린이집에서 보낸 사진 보고 깜놀한 엄마 26 16:22 4,785
2427852 이슈 [릴레이댄스] BADVILLAIN(배드빌런) - BADVILLAIN (4K) 2 16:18 429
2427851 이슈 <선재업고튀어> 이클립스 '소나기' 멜론 일간 추이 18 16:18 922
2427850 이슈 도입부가 데이식스 한 페이지가 될 수 있게랑 진짜 비슷하다는 말 꾸준히 나오는 일본 히트곡...... 158 16:18 14,7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