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사/뉴스 손석희, JTBC 떠나다
3,453 11
2023.10.13 09:58
3,453 11

[단독 인터뷰]
향후 계획 "물 흘러가듯 순리대로 따라가면 된다"
JTBC에서 하고 싶었으나 못한 것은 "미디어 비평"
尹정부 언론자유 퇴행 우려엔 "모두가 예상했던 바"



ktxQDL

▲손석희 전 JTBC '뉴스룸' 앵커. ⓒJTBC





[미디어오늘 정철운 기자]



2013년 5월, 언론계를 떠들썩하게 했던 JTBC와의 만남을 떠올려보면 헤어짐은 꽤 조용한 편이다. 그는 JTBC를 떠났다.


12일 서울에서 손석희를 만났다. 그는 다시 일본으로 떠난다. 아래는 일문일답.



-JTBC와 계약이 완전히 끝났다. 앞으로 뭘 할 생각인가.


“글쎄...뭘 하겠다고 특별히 생각한 건 없다. 무얼 해야 한다는 의무에서 방금 벗어났는데 또 뭘 할 거냐고 묻다니...(웃음)”



-여전히 가장 '영향력 있는 언론인'이다. 그럼에도 '저널리스트'로서는 마침표를 찍는 건가.


“뭐 산속으로 들어가 자연인이 되는 것도 아니니 마침표를 딱 찍을 수야 없을 것 같다. 현직에선 물러나지만 현업에는 있는 셈이다. 그렇다고 무슨 미련이 남아있는 것도 아니다. 무엇을 어떤 식으로 할지는 아직 모르겠다. 안 해도 그만이고...물 흘러가듯 순리대로 따라가면 된다.”



-MBC에서 '손석희 복귀' 목소리가 있던데, MBC 프로그램을 맡을 계획은 없나.


“감사한 일이긴 하나 저 때문에 오히려 MBC 후배들에게 부담이 돼선 곤란하다는 생각이다. 아시다시피 MBC는 지금 폭풍전야다. 제가 안에 있는 사람이라면 뭐든 하려 했겠지만, 밖에 있는 상황에선 뭐든 조심스럽다.”



-유튜브 등 플랫폼을 바꿔 저널리즘을 실현할 생각은 안 해봤나.


“그런 제안도 있긴 하다. 아마도 매스미디어에서 막히니까 다른 길을 뚫어보자는 의미에서인 것 같다. 하지만 아직 그런 생각을 해본 적은 없다.”



-지난 2년 가까이 일본에서 순회특파원으로 지냈다. 현직의 마무리를 현장에서 한 셈이다.


“마지막 몇 달을 빼놓고는 나름 분주하게 지냈다. 가서 얼마 안 있어서 문재인 당시 대통령과의 '대담' 인터뷰를 제작했고, 그 이후에는 '세 개의 전쟁'이라는 세 편의 장기 기획물에 매달려 거의 1년을 보냈다. 말 그대로 순회를 한 셈이었다. 저널리스트로서 그런 마무리를 할 수 있었다는 건 복 받은 일이라고 생각한다. 나이 예순일곱에 전쟁 중인 나라에도 들어갔고, 북극해에서는 타고 가던 배가 암초에 부딪혀 가라앉을 뻔했다. 고생도 하고 보람도 느끼고 했던 것 같다.”



-2013년 5월 JTBC로 갈 때 1년도 버티지 못할 것이란 비관적 전망이 많았다. 하지만 10년 넘게 JTBC와 함께했다. 처음 JTBC 출근할 때 어느 정도의 기간을 예상하고 갔었나.


“1년은 아니고, 그래도 대개 3년 정도는 버틸 거라고들 얘기했는데?(웃음) 갈 때부터 기간을 예상할 수는 없었다. 다만, 언제든 떠날 수는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JTBC 후배들에겐 '나는 몸과 마음이 가볍다'고 늘 얘기했다. 그 소리를 듣기 싫어해서 나중엔 안했지만...그런데 원래 어느 자리에 가든 그런 생각은 하고 살았다.”



-JTBC를 떠나는 소회가 남달랐을 것 같다.


“나는 뭐든 끝낼 때 생각보다 덤덤한 편이다. JTBC도 최대한 조용히 떠났다. 후배들하고도 따로 인사하지 않았다. 아마 이 인터뷰 보고 내가 떠난 걸 알게 된 후배도 있을 거다.(웃음)”



-홍석현 회장은 영입 당시 보도에 대한 '전권'을 주겠다고 약속했다. 약속은 끝까지 지켜졌나.


“지켜졌다고 본다. 그렇지 않았다면 내가 떠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홍 회장도 외부 압력 때문에 곤란한 상황이 많았던 걸 잘 알고 있다. 그런 일이 있을 때면 '그냥 제가 말을 들어 먹지 않아서 그렇다고 저한테 다 넘기시라'고 했는데, 홍 회장이 내 말대로 했을 리 없다. 조직의 수장으로서 누구에게 책임을 돌리겠는가.”



-<뉴스룸>은 한 때 한국 사회에서 가장 긴 메인뉴스였다. '어젠다 키핑'이란 개념을 정착시켰고, 팩트체크를 일상화했다. 손석희의 <뉴스룸>이 무엇을 남겼는지 자평해본다면.


“제일 길었지만 하다보면 늘 시간이 모자랐다. 그래서 남들 다 하는 날씨 코너도 없었으니까. 글쎄...코너로 치자면 '앵커브리핑', '팩트체크', '문화초대석' 등등이 모두 방송 뉴스에는 없던 것들이었다.


좀 거창하게 얘기해 보자면, '인본주의'와 '민주주의'를 뉴스가 실천할 수도 있다는 믿음을 가졌던 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세월호 참사나 국정농단, 미투 등등 우리가 '어젠다 키핑'으로 지켜내려 했던 모든 뉴스들의 본질은 거기에 해당한다고 생각한다. 진영에 따라 '뉴스룸'이 남긴 것에 대한 평가는 다를 수 있는데, 다른 자리에서도 얘기했듯이, 세상에는 진영만 존재하진 않는다.”



-JTBC에서 하고 싶었으나 못한 것이 있다면.


“미디어 비평이다. 과거에 MBC에서도 내가 진행했었고, KBS에서도 형식은 몇 번 바뀌었어도 꽤 오랜 기간 해오긴 했다. 나는 JTBC도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야 명실상부한 언론사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전제가 있다. 자사 비판도 해야 한다. 과거 MBC에서 할 때도 그 부분이 갈등의 요소였고, KBS도 마찬가지였다고 들었다.JTBC의 대표이사가 됐을 때 미디어 비평 프로그램을 염두에 두고 추진하려 했지만, 그 문제 외에 예산·인력 등 제약이 너무 많아 결국 시작도 못해봤다. 나는 언론사의 언론비평이 살아날수록 언론이 당당해진다고 믿는다.”



-JTBC에서 가장 운이 좋았던 순간을 꼽아본다면.


“아마 국정농단 사태를 염두에 두고 질문하는 것 같은데 내 생각엔 운이란 건 없는 것 같다. 더구나 뉴스는 대부분 사건 사고를 다루는 것이고, 그것이 대부분 부정적인 일들인데, 그걸 남보다 일찍 다뤘다고 해서 '운이 좋다'고 표현할 수는 없지 않은가. 그건 굳이 따지자면 운이 아니라, 결과일 뿐이다. 평소에 진심을 가지고 취재하고 방송하면 그 진심을 세상이 알아주고, 우리가 더 잘 할 수 있게 도와준다고 믿는다. 예를 들면 아까 예로 든 세월호 참사, 국정농단 사건, 미투 등은 서로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앞의 보도에서 진심을 다했기 때문에 그 다음의 보도가 가능했던 것이다.”



-언론계를 완전히 떠나더라도 피곤한 삶은 계속될 것 같다. 몇 달 전부턴 '손석희'를 도용한 가짜 광고까지 나왔는데 사라지질 않는다.


“그 가짜 광고는 나도 알고 있다. 어느 대기업 회장도 그렇고, 요즘 보니 유명 정치인도 그런 가짜 광고가 돌아다닌다고 한다. 내가 무슨 자를 해서 돈을 벌었다고 사기를 치고 있던데 그런 엉터리 사기 광고에 넘어갈 사람이 있을까 싶지만, 혹시 모르는 일이라서 법적으로 대응할 방법을 찾고 있다. 말씀하신 대로 피곤한 건 맞다. 세상엔 좋은 사람들이 훨씬 더 많지만, 나쁜 사람들도 있다. 단지 가짜광고 건만 놓고 얘기하는 건 아니다.”



-한 언론 인터뷰에서 “모든 저널리즘의 시작은 질문”이라고 했다. 지금 언론이 놓치고 있는 질문이 있다면 무엇인가.


“언론이 공적영역인가 아닌가를 묻고 싶다. 권력에게도, 시민사회에게도, 그리고 언론 자신에게도 같은 질문을 던지고 싶다.”



-이동관 방통위원장 임명을 기점으로 언론자유가 퇴행하고 있다는 우려가 거세다.


“모두가 예상했던 바다. 누가 봐도 지금은 권력을 가진 쪽에 유리하게 언론 지형을 짜려고 하는 것이다. 아니라고 가리기엔 쏟아져 나오는 말과 상황들이 너무 험하다. 그뿐 아니라 언론을 둘러싼 경제·사회적 환경마저도 빠른 속도로 바뀌고 있으니 언론종사자들에겐 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한두 번 겪은 일도 아니다. 경험이 많다 보니 얻은 결론도 있다. 결국 언론은 완전히 길들여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게다가 대안언론의 세상이다. 길들이려 한다면 그건 오히려 손해 보는 장사다.”




[미디어오늘]





https://v.daum.net/v/20231013093318129

목록 스크랩 (0)
댓글 11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한율 X 더쿠💛] 8시간 만에 -45% 반쪽모공! 한율 <반쪽모공세럼> 체험 이벤트 ! 653 06.06 57,164
공지 공지접기 기능 개선안내 [📢4월 1일 부로 공지 접힘 기능의 공지 읽음 여부 저장방식이 변경되어서 새로 읽어줘야 접힙니다.📢] 23.11.01 4,244,063
공지 비밀번호 초기화 관련 안내 23.06.25 4,974,191
공지 ◤더쿠 이용 규칙◢ 20.04.29 21,428,580
공지 성별관련 공지 (언급금지단어 필수!! 확인) 16.05.21 22,645,507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47 21.08.23 3,816,129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22 20.09.29 2,700,548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378 20.05.17 3,381,126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63 20.04.30 3,943,897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스퀘어 저격판 사용 무통보 차단 주의) 1236 18.08.31 8,353,130
모든 공지 확인하기()
2428866 유머 팬싸가 처음이라 떠는 팬을 만난 카리나 반응.x 4 23:12 423
2428865 유머 설거지하다가 이홍기 노래 부르길래 얘 오랜만에 테레비 나오네 하면서 쳐다보니깐 7 23:12 685
2428864 유머 오타쿠들 빵터진 트윗 '제가 2009년도 JLPT로 자격증을 땄는데요 그때 청해에 무슨 문제가 나왔냐면요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아스카가 몇호기 에바에 탔는지 맞추는 문제였고요 교실의 1/3정도가 차마 소리는 못내고 입을 틀어막은 채 혼신의 어깨춤을 췄던 걸로 기억합니다'.twt 2 23:11 460
2428863 유머 초등학생이 쓴 장애인의 날 5행시 3 23:11 263
2428862 정보 🌤️내일(11日) 전국 최고기온 예보🌤️ 7 23:10 943
2428861 이슈 충격... 이과들이 말하는 월요일의 중요성...jpg 6 23:09 679
2428860 이슈 계약 이슈 관련 오늘자 백현 콘서트 멘트.jpg 50 23:08 3,047
2428859 이슈 (약공포주의) 싱크로율 대박이라고 화제됐던 이토준지 토미에 코스프레.jpg 3 23:08 892
2428858 유머 와씨 이건 사람 불러야겠는데???.gif 7 23:06 1,183
2428857 유머 셀고 남편과 사는 한혜진.insta 5 23:06 1,704
2428856 유머 24세 여동생, "전 직접 가져다먹어라" 선언... '충격' 8 23:06 1,840
2428855 팁/유용/추천 캐시워크 방탄커피 1 23:05 81
2428854 유머 11시 핫백 차트 3위까지 올라온 에스파 아마겟돈.jpg 31 23:04 1,177
2428853 유머 약 없이는 잠들수 없는 계절이 옴 3 23:04 1,486
2428852 이슈 23시 멜론 TOP 100 탑텐 19 23:03 1,025
2428851 이슈 여성관중을 모시려고 안간힘 쓰는 일본 스포츠계 17 23:03 1,641
2428850 유머 방탄 정국과 세븐틴 에스쿱스가 씨름하는데 기억에 남는건 부승관임 10 23:03 1,074
2428849 유머 아 못 먹는다고 1 23:03 167
2428848 유머 너네도 웬만하면 서울 올라와서 문화생활 누려.jpg 11 23:02 2,120
2428847 이슈 대한민국 탑모델 장윤주가 직접 밝힌 모델이 말라야 하는 이유 5 23:02 2,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