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theqoo

이슈 [작가 정유정 인터뷰] 개인은 자존감 중독, 사회는 집단 나르시즘...
56,340 287
2023.06.05 23:16
56,340 287
출처 : 여성시대 클레어오
https://naver.me/59j43pf6


PsMhQT.jpg
 

 

‘개인은 자존감 중독, 사회는 집단 나르시시즘….’ 소설 ‘완전한 행복’에서 자기애성 성격장애로 주변을 파멸로 몰고 가는 인물을 그렸던 정유정 작가는 우리 시대의 가장 위험한 징후로 비뚤어진 방식의 ‘행복 강박’을 꼽았다. 개인에게 그것은 무조건 높은 자존감, 항상 충만해야 하는 자기애로 드러나고, 사회적으론 ‘나는 되고 너는 안 된다’ 식으로 편을 가르는 집단적 ‘내로남불’ 현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내가 가장 ‘소중’하기에 빠른 ‘손절’(관계 끊기)이 일상이 된 나르시시즘의 시대. 마음을 지키기 위해, 균형을 잡기 위해 한국인은 무엇을 재설정해야 할까. 서울 마포구의 한 스튜디오에서 최근 정 작가를 만났다. 실체 없는 ‘행복’을 논하기 전에, 불완전한 ‘나’를 끌어안고, 진짜 나를 사랑하는 법을 찾기 위해.




#행복 강요하는 사회, 우리는 모두 자존감에 중독됐다

나르시시스트의 범죄를 그린 근작의 제목이 ‘완전한 행복’이다. 자기애와 행복은 어떤 관련이 있나. 책을 쓰게 된 동기가 궁금하다.

“SNS를 봐도 그렇고, 요즘 너무 이상하지 않나. 온통 ‘행복’을 이야기한다. 거의 강박 수준이다. 행복해야 하고, 자존감이 높아야 하고, 자기애가 충만해야만 하고…. 그게 맞는 걸까. 행복의 가치를 다시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느꼈다.”

행복을 다시 설정한다는 의미는.

“행복은 실체가 없고, 순간의 경험일 뿐이다. 사실 인류는 행복하도록 진화된 게 아니라 생존하도록 진화됐다. 먹고 사는 것에 매달린다는 뜻이 아니라 자기 삶을 충실히 산다는 뜻에서의 ‘생존’이다. 인생을 성실히 수행할 때 자존감이 생기고, 그 과정에서 행복이란 순간이 잠시 찾아온다. 그러니까 절대 행복 자체가 목적이 될 수 없고, 돼서도 안 된다.”

 

행복에 대한 강박이 나르시시즘을 불러오고 있다는 것인가.

“그렇다. 나르시시즘은 비뚤어진 방식으로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다. 뭘 해야 행복할까에 골몰하니 집착과 강박도 생기고…. 사회 전반에 이런 분위기가 감지되는 건 매우 위험한 일이다.”

나를 사랑하는 게 나쁘다? 자존감과 자기애는 높을수록 좋을 것 같은데.

“하루아침에 만들어진 자기애와 자존감은 가짜다. 행복을 강요하는 분위기에 휩쓸려 다들 자기애, 자존감 높이기에 중독된 것 같다. ‘난 소중해’ ‘난 완벽해’ ‘난 세상의 중심이야’라며….”





#‘내로남불’ ‘손절’… 한국은 지금 ‘집단 나르시시즘’

사회 전반에서 나르시시즘을 느낀다고 했는데, 집단적으로도 그러한가.

“나르시시즘이 ‘다이내믹 코리아’와 만나 독특한 풍경을 보여주고 있다. 요즘 우리는 지나치게 분명한 것만 선호한다. 흑과 백 사이를 보려고 노력해야 하는데 회색 지대에 있는 사람을 용인하지 못한다. ‘내 편 아니면 적’으로 간주하는 성향이 강하고, 자기가 속한 집단에 대해 지나치게 확신한다. ‘내로남불’. 그게 바로 집단 나르시시즘이다.”

한국사회의 집단 나르시시즘에서 특히 우려되는 건 무엇인가.

“자기애적 현상은 전 세계에서 감지되지만 우리 사회에서 특히 관찰되는 건 세대 간, 남녀 간, 계층 간 갈등이다. 나와 똑같지 않다고, 반대에 서는 것은 아니다. 토론과 대화를 통해 조금쯤은 같이 묶일 수 있는 방향을 찾아야 하는데, 우린 사람을 자꾸 발라낸다. 대화하면 할수록 갈등이 더 생긴다. 저것이 다르고, 이것이 다르다는 식으로 자꾸 나누니까. ‘완전한 행복’에서 ‘유나’가 ‘행복은 뺄셈’이라 말한, 바로 그것 아닌가.”

소설처럼 행복을 위해 불행의 요소를 제거하는 ‘뺄셈’은 요즘 인간관계를 ‘손절’한다는 표현과 비슷한 것 같다.

“‘손절’이 빠른 세태가 정말 우려된다. 누구랑 말하고 관계 맺기 싫고, 자기 세계 안에 갇혀 갈등 해결의 어떤 실마리도 찾을 수 없다. 전부 ‘섬’처럼 살게 될 것 같다. 손절은 최후의 방식이어야 한다. 조금 불편하다고 사람을 ‘끊는 것’은 거미줄 치우는 데 전기톱을 쓰는 꼴이다. 결국 그게 인생을 허무하게 만들고, 자신을 사회에서 고립시킬 것이다.”

원인이 뭐라고 생각하나.

“변화는 빠른데, 훈련이 부족한 탓일 수도…. 대화하는 법을 모른다. 여전히 목소리 큰 사람이 이기는 사회라는 게 안타깝다. 교육에도 책임이 있다. 어려서부터 ‘너는 특별하다’고 말하며 아이들을 키우는데, 이런 게 꾸준히 마음에 쌓이면 어느 순간 ‘나는 세상의 중심이야’라고, 심해지면 ‘내게 중심을 향하지 않는 건 모두 나빠’라는 인식도 생길 것 같다는 극단적인 생각도 든다.”







#자존감 낮추고 결핍·불운도 인정하라

한국인들의 자존감 중독을 우려했는데, 작가라는 직업도 자존감이 높을 것 같은데.

“작가를 이끄는 건 자존감이 아니라, 글을 쓰겠다는, 이야기를 반드시 완성하겠다는 욕망이다. ‘종의 기원’을 쓸 때 사이코패스 청년을 그려내야 했는데, 그게 생각대로 잘 안 돼서 안달복달했다. 내겐 그 욕망이 있어서 2년이고 3년이고 글을 쓸 수 있다. 이 욕망이 극단으로 치달으면 어떻게 될지 소설로 한번 써보고 싶다. ‘완전한 행복’으로 시작한 ‘욕망 3부작’의 마지막 편이 될 것 같다. 아, 이거 오늘 처음 말하는 거다(웃음).”

자존감과 자기애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일은 어려운 것 같다.

“진정한 자기애는 내가 불완전하다는 걸 인정해야 생긴다. 결점, 단점, 흑역사도 나라는 걸 받아들여야 생긴다. 자존감은 성취가 있어야 한다. 남들은 비웃어도 내가 원하는 것을 위해 한 발 한 발, 성실히 살고 있다는 작은 성취감이다. 인간은 완성형이 아니라, 완성해 나가는 존재고 자기애와 자존감은 그런 ‘과정’에서 생겨나는 거다.”

요즘 자기계발서들은 대부분 자존감을 키우라고 말한다.

“성실히 삶을 꾸리지 않고, 가만히 있어도 괜찮다고 하는 이야기를 듣고, 자존감을 높이려고 하면 비뚤어진 자기애가 된다. 그 전제가 자존감이 높아야 좋고, 낮으면 안 좋다는 것인데, 그건 참 이상한 일이고, 그런 사회는 불편하다.”

그런데 자존감이 낮으면, 좀 의기소침해지지 않을까.

“자신만만하고 눈치 안 보고 누가 비난해도 상처 안 받는 것. 그게 자존감이 높은 거라면 나는 정반대다. 상처 잘 받고, 결핍과 불운도 많다. 낮으면 낮은 대로 장점이 있으니까 시무룩할 이유는 없다. 자존감 낮은 이들 중에 섬세하고 감수성 풍부한 이들이 많다.”

베스트셀러 작가다. 결핍이나 불운은 없어 보이는데.

“잘 알려졌다시피 신춘문예 11번 떨어지고, 12번째 당선됐다. 늘 패배감과 결핍에 시달렸고 지금도 재능이 부족하다고 느낀다. 내가 표현하고자 하는 글이 한 방에 나오는 적 없고 안달복달하면서 겨우 쓴다. ‘아, 나는 세상을 겨우 사는 사람 같아’라는 생각이 들 정도다.”

그런 마음을 어떻게 극복하는지.

“한탄하면 되게 불행해지는데, 그래도 ‘이렇게라도 얻어지는 게 어디야’라고 생각하니 괜찮더라. 애면글면하면 얻어진다는 자신감도 무의식중에 생긴다. 이런 경험으로 극복해 나간다. 글을 쓰는 게 좋으니까. 자기가 좋아하는 부분에 쏟아 넣는 에너지를 통해 자신의 결핍과 불운을 끌어안을 수 있지 않을까.”

 

댓글 287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공지 ☑️𝙉𝙤𝙩𝙞𝙘𝙚 운영알림 기능 추가(알림 리스트) / 게시글 이전 완료 / 스크랩 내역 복구 완료 알림 08.22 414,390
공지 더쿠 GIF 업로드 기능 오픈 및 과거 이미지 복구 관련 안내 07.30 364,499
공지 더쿠 글 이전 및 보안 관련 현재 상황에 대한 알림 07.21 415,265
공지 검색기능 개선 완료 공지 (23/7/9 12:50 시작단어 한번에 검색할 수 있도록 검색옵션 개선, ^옵션 삭제) 07.08 338,630
공지 공지접기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07.03 223,073
공지 더쿠 재오픈 및 현재 보안 관련 진행 상황에 대한 공지 06.25 724,392
공지 비밀번호 초기화 관련 안내 06.25 779,720
공지 더쿠 이용 규칙 20.04.29 16,947,266
공지 성별관련 공지 16.05.21 17,826,906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23 21.08.23 2,195,490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184 20.09.29 882,325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196 20.05.17 1,742,839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30 20.04.30 2,307,170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23/7/9 의도적으로 "티저, 뮤비, 캐스팅기사 등" 중요 정보성글을 선점 후 삭제하는 행위 금지 추가) 1236 18.08.31 6,396,274
모든 공지 확인하기()
2241379 유머 진짜 나를 알아봐주는 상사 7 13:11 526
2241378 이슈 아파트 리모델링 과정.JPG 3 13:11 744
2241377 이슈 전 나사엔지니어가 택배도둑에게 빡치면 벌어지는 일 1 13:09 604
2241376 이슈 자신이 돌봤던 판다가 중국으로 돌아가 낳은 아기를 직접 안아보는 일본 사육사 6 13:09 628
2241375 기사/뉴스 [POP이슈]"K팝 축제를 왜 해외에서?"..한국 떠나 일본 향하는 국내 가요 시상식 5 13:09 178
2241374 이슈 항저우 아시안게임 개막식 대한민국🇰🇷 기수 1 13:07 1,075
2241373 이슈 현지화 된 미국김치 11 13:05 1,559
2241372 이슈 단소 살인마의 실체.jpg (수정) 9 13:04 1,155
2241371 이슈 정치적 올바름에 휘말려 논란 된 기업들 16 13:02 1,354
2241370 이슈 키는 유전이 99.99999...% 후천적 영향은 0.00000....1% 32 13:01 1,245
2241369 기사/뉴스 “나가줘야겠다” 통보 받은 과학도들… “의대 갈 걸 후회한다” 12 12:59 1,376
2241368 이슈 샌프란시스코에서는 도둑질해도 당당하고 다들 가만히 구경만하는 이유 12:59 843
2241367 유머 이병헌 유니버스 12:58 410
2241366 이슈 찐정성쩌는 역조공템 또 역조공해 준 방탄 뷔 최근 열린 이벤트 17 12:57 1,297
2241365 이슈 토스 머니스토리 공모전 DRAFT 2023 수상작 <비혼주의자의 축의금> 2 12:57 537
2241364 유머 출국사진 좀 웃기게 찍힌 최강창민 ㅋㅋㅋㅋ 13 12:55 1,853
2241363 이슈 최근 고향인 수원에 내 집 마련 성공 했다는 비투비 이창섭.jpg 14 12:55 1,785
2241362 기사/뉴스 정혁, 전 여친 환승이별→연애 흑역사 뭐길래..졀친 폭로에 진땀 (‘살림남’) 12:54 595
2241361 유머 초등학교가면 일케생긴 남자애들 존나만음 13 12:51 3,573
2241360 정보 귀여운 케이스가 많은 영국 케이스 브랜드 스키니딥 7 12:50 1,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