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뉴비들~!
드디어 가이드의 마지막편이야.
여기까지 오느라 수고 많았어^오^
저번 2편까진 너무 복잡하고 어려운 내용들을 설명했지?
오늘은 사진도 많고 편하게 볼 수 있는 부분이니까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하렴
1. LCK, House of Legends
LCK란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의 약자로, 리그오브레전드 대한민국 리그의 이름이야.
축구를 K리그, 야구를 KBO리그로 부르는 것과 같아.
LCK는 총 10개의 팀이 참가하며, 승강제가 없는 프랜차이즈 형태로 리그가 이루어져있어.
경기 시청은 유튜브, 네이버, 아프리카 등에서 가능해.
먼저 참가팀들을 소개해줄게.(24서머 최종순위 순서)
▼LCK 공식 채널
1-1. 한화생명 E스포츠(HLE)
제우스(탑), 피넛(정글), 제카(미드), 바이퍼(원딜), 딜라이트(서포터)
딜라이트, 바이퍼, 제카, 피넛, 제우스
▼한화 공식 채널
1-2. 젠지 이스포츠(GEN)
캐니언(정글), 듀로(서포터), 쵸비(미드), 룰러(원딜), 기인(탑)
기인, 캐니언, 쵸비, 룰러, 듀로
▼젠지 공식 채널
1-3. 디플러스 기아(DK)
시우(탑), 루시드(정글), 쇼메이커(미드), 에이밍(원딜), 베릴(서포터)
에이밍, 쇼메이커, 베릴, 시우, 루시드
▼디플러스 기아 공식 채널
1-4. T1
도란(탑), 오너(정글), 페이커(미드), 구마유시(원딜), 케리아(서포터)
케리아, 구마유시, 페이커, 오너, 도란
▼티원 공식 채널
1-5. KT 롤스터(KT)
커즈(정글), 퍼펙트(탑), 덕담(원딜), 비디디(미드), 웨이(서포터)
커즈, 퍼펙트, 덕담, 웨이, 비디디
▼KT 공식 채널
1-6. BNK 피어엑스(FOX)
클리어(탑), 랩터(정글), 빅라(미드), 디아블(원딜), 켈린(서포터)
랩터, 켈린, 빅라, 디아블, 클리어
▼피어엑스 공식 채널
1-7. DN 프릭스(DNF)
두두(탑), 표식(정글), 불독(미드), 버서커(원딜), 라이프(서포터)
두두, 라이프, 버서커, 표식, 불독
▼프릭스 공식 채널
1-8. 농심 레드포스(NS)
킹겐(탑), 기드온(정글), 피셔(미드), 지우(원딜), 리헨즈(서포터)
피셔, 킹겐, 실비, 리헨즈, 지우
▼농심 공식 채널
1-9. DRX
스폰지(정글), 유칼(미드), 리치(탑), 안딜(서포터), 테디(원딜)
리치, 스폰지, 유칼, 테디, 안딜
▼DRX 공식 채널
1-10. OK저축은행 브리온(BRO)
(윗줄) 함박(정글), 클로저(미드), 하이프(원딜)
(아랫줄) 폴루(서포터), 모건(탑), 불(원딜)
모건, 함박, 클로저, 불, 하이프, 폴루
▼브리온 공식 채널
번외) LCK 직관이 가고 싶다면?
인터파크 티켓 어플에서 스포츠-e스포츠-LCK 항목에 들어가면 예매할 수 있어.
여기를 눌러도 예매페이지로 연결돼. (PC한정)
시즌이 시작되면 경기는 수요일부터 일요일까지 매일 두경기씩 치러지고, 각 팀은 일주일에 두번씩 경기해.
경기장이 하나라 홈구장 개념은 없고, 서울 종각역의 롤파크에서 대부분의 경기가 이루어져.
인터파크에서는 원하는 경기의 48시간 전에 예매가 시작되고 대부분 꽤나 치열하기 때문에 시간맞춰 예매에 도전하길 바라.
또한 일부 구역은 우리은행 어플(우리WON뱅킹)에서도 예매할 수 있으니 참고해서 롤파크의 현장감을 느껴보자!
심화) 해외 리그
LCK를 포함한 5대 메이저리그를 소개해 줄게.
중국 - LPL(League of legends Pro League)
2024 서머 우승팀 비리비리게이밍
유럽, 중동, 아프리카 - LEC(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2024 시즌파이널 우승팀 G2 이스포츠(사진은 23)
아메리카 - LTA(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of the Americas)
2024 챔피언십 우승팀 플라이 퀘스트
베트남, 대만, 일본, 오세아니아 등 - LCP(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Pacific)
원래는 한국/중국/유럽/북미 이렇게 4대리그가 메이저로 불렸는데, 한국과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 리그가 통합되면서 5대 메이저리그로 정리되었어.
월즈에서도 다크호스로서 매서운 모습을 때로 보여줬던 팀들이 포진해있으니 LCP리그의 활약을 지켜보는 것도 재밌을거야.
2. 롤덬들의 1년 스케줄
LCK의 1년은 이렇게 돌아가.
LCK컵 → FST → 정규시즌 전반부(가이드 임의 호칭) → MSI → 정규시즌 후반부(임의 호칭) → 월드 챔피언십
2025년부터 크게 바뀐 형식이라 아직 다들 적응중이니 함께 즐겨보도록 하자^ㅡ^
2-1. LCK컵
LCK컵은 5팀 씩 팀 장로 / 팀 바론으로 나뉘어서 서로 대결하는 방식이야.
5팀의 승패를 합산해 더 많은 승을 낸 팀이 승자조, 적은 승을 낸 팀이 패자조가 되어 플레이오프를 진행해.
위에 나온 것처럼 승자조 3위까지는 플레이오프 확정, 승자조 4, 5위와 패자조 4위까지는 플레이인을 진행하고, 패자조 5위팀은 탈락이야.
그만큼 한 배를 탄 팀들이 얼마나 잘해주냐도 중요한 대회방식인데, 25시즌 LCK컵의 조편성은 아래와 같아.
2-2. LCK 정규시즌
2024 서머 우승팀 한화생명 이스포츠
LCK 리그는 2025년부터 스프링 서머가 아닌 통합시즌으로 진행돼.
원래는 스프링과 서머로 나눠 진행했지만 2025시즌부터 통합 시즌으로 변경됐어.
전반부인 1, 2라운드를 진행한 후에 MSI 선발전을 진행하고, 순위에 따라 MSI 이후 상위 5개팀과 하위 5개팀이 나뉘어져 그 안에서 경쟁이 이루어져.
그 후 상위조 5위와 하위조 1-3위가 플레이인을 진행하고, 그중 두 팀이 살아남아 상위 4팀과 플레이오프를 진행해.
2-3. First Stand Tournament
약칭 FST. 2025년에 신설된 국제대회야.
LCK컵이 끝난 후 진행되고, 첫 개최는 한국으로 결정됐어.
진행방식은 아래 영상을 참고해줘!
2-4. MSI
2024 MSI 우승팀 젠지
리그 전반부가 끝나고 나면 MSI라는 국제대회가 열려.
MSI는 Mid Season Invitational로, 전반기 시즌과 후반기 시즌 사이에 열리는 대회야.
2024년 MSI에는 스프링 우승팀 젠지와 준우승팀 티원이 출전했어.
나중에 설명할 월즈만큼의 위상은 아니지만, 그래도 국제대회인만큼 MSI 우승컵도 대단한 커리어야.
우승하게 되면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짓게 돼.
2-5.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23, 2024 월즈 우승팀 T1
msi가 지나고 시즌 후반부까지 마치면 월드 챔피언십, 다른말로는 월즈, 또 다른 말로는 롤드컵이 열려. 보통 10월쯤에 진행돼.
사실상 시즌의 가장 최종 목표가 되는 가장 중요한 국제대회야.
물론 리그 우승도 충분히 중요하고 가치있지만, 한시즌 유종의 미를 거두기 위해서 모두 월즈 우승을 향해 달리지.
월즈는 세계 곳곳에서 돌아가며 개최되는데 2025년에는 중국에서 열려.
롤드컵에 대해서는 좀 자세히 설명해주도록 할게.
3. 월드 챔피언십
3-1. 진출 자격
5개의 메이저 리그에서 각 3팀씩 진출하게 되고, MSI 우승팀과 그 다음으로 성적이 좋은 리그에 한 장의 진출권을 더 부여해.
따라서 LCK에서도 정규시즌 결과에 따라 상위 3팀이 진출하게 되고, MSI결과에 따라 한 팀이 더 진출할 수도 있어.
아래는 2024 월즈 진출팀들 리스트야.
2024년 LCK에서는 한화생명, 젠지, 디플러스기아, 티원 이렇게 4팀이 진출했어.
3-2. 진행 방식
우선 하위팀들이 플레이인 스테이지를 치른 후 다음 라운드에 진출해.
스위스 스테이지에서는 각 팀들이 단판제+3판2선제로 겨루며 3승에 선착하면 8강에 진출할 수 있어.
그 다음은 녹아웃 스테이지로 모두가 아는 토너먼트 방식이야. 8강-4강을 거쳐 결승까지 가면 모든 여정이 끝나지.
24년까지의 진행방식이 궁금하다면 위의 영상을 참고하면 돼.
2025년에는 또 변화가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확정되는대로 추가할게!
기나긴 가이드가 드디어 끝났다!
지금까지 읽은 뉴비들 정말정말 고생 많았어~
이제 리그오브레전드의 세계에 대해 감이 좀 잡혔길 바라.
롤방은 뉴비에게 늘 열려있으니 언제든 궁금한건 물어보고!
그럼 안뇽~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