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충 찍은 셀카 한장 받자고 4500원 낸 거냐”
지난달 13일 팬 플랫폼 ‘디어유 버블’에서 보이그룹 엔시티(NCT) 재현을 구독하는 팬들 사이에서는 작은 소동이 벌어졌다. 버블은 월 4500원을 내면 아이돌 멤버가 개인 메시지를 보내주는 구독 서비스다. 이날 재현은 무덤덤한 셀카 한 장을 올렸다. 3월 26일 미용실 거울 앞에서 머리를 하면서 올린 사진에 이어 19일 만이었다. 이 사진에 대해 팬들은 “성의 없다”, “돈값 하라”는 불만을 쏟아냈다. 걸그룹 레드벨벳의 조이도 지난해 한 달간 메시지를 보내지 않자 그를 구독하는 팬들로부터 “팬들에게 버블 할 시간이 그렇게 없냐”는 소리를 들어야 했다.
때로는 팬들 사이 불필요한 갈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현재 팬들 사이에서는 ‘버블 줄 세우기’ 논쟁이 한창이다. 한 달간 보내는 버블 횟수를 근거로 어떤 멤버가 팬을 가장 아끼는지 정량적으로 평가하겠다는 얘기다. 메시지 빈도와 애정이 정비례하는지는 당연히 알 수가 없어 결론 없는 논쟁만 계속되고 있다.

NCT 팬인 A씨는 “한 달에 많아야 두세 번 문자를 받으니, 서운한 마음이 들어 구독을 해지했다”며 “돈을 냈는데도, 언제 버블이 올지 목 빠지게 기다려야 하나 싶다”고 말했다. 팬 B씨는 “내가 구독하는 아티스트는 메시지를 성실하게 보내는데, 그렇지 않은 멤버와 수익을 똑같이 나눠 갖는 건 말이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SM 자회사 디어유 관계자는 버블 논란에 대해 “아티스트에게 주 1회 버블 사용을 권하고 있지만, 자발적이고 자유로운 팬들과의 대화에 방점을 둔 서비스이기 때문에, 일일이 내용과 횟수까지 관여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또 “구독자에 대한 수익은 멤버 개별 수익이라 열심히 할 동기가 있다”며 “각 선택에 따라 메시지를 보낼지 말지를 결정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이돌의 디지털 소통의 중요성은 BTS 성공이 남긴 교훈이다. BTS의 글로벌 인기 요인에 대해 많은 전문가는 멤버의 적극적인 소셜미디어 활용을 꼽는다. 미국 경제매체 CNBC는 BTS를 “소셜미디어의 왕”이라고 평가했다.
그런데 이 ‘소통’에 얼마의 값을 매겨야 적당할지는 모호하다. 음원 앨범, 공연 티켓, 티셔츠 굿즈 등 원가와 마진을 계산할 수 있는 상품과 다르게 소통의 적정 가격에 대한 공감대는 아직 형성 전이기 때문이다. 어떤 방식의 소통이 바람직한지를 판단하기도 어렵다.
아티스트마다 성향이 다른데 모두에게 같은 방식의 소통을 강요하는 점도 문제다. 타고나길 말이 많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팬덤에 대한 고마움이 있어도 표현에 서툴고 과묵한 사람도 있다. 소녀시대 멤버 태연은 팬들과 라이브 방송 도중 버블에 관해 설명하며 “나만 열심히 하면 된다”며 부담감을 내비치기도 했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시대를 지나면서 아이돌 노동 강도가 세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K팝 아이돌이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 유튜브·틱톡의 자체 제작 콘텐트 등 디지털 소통을 강화했기 때문이다. 관리 플랫폼이 늘어나면 그만큼 공급하는 콘텐트도 늘어나 결국 노동시간 연장으로 연결된다.
김헌식 대중문화 평론가는 “팬의 입장에서는 좋을 수 있지만, 바쁜 스케줄을 소화하고 버블도 자주 보내야 하는 아이돌 입장에서는 엄청난 감정노동”이라고 말했다. 또 “어느 스타가 몇 번 보내고 말고를 비판할 게 아니라 애초에 왜 친밀감이라는 감정이 유료화된 건지 성찰할 필요가 있다”며 “소통이 돈이 개입되는 순간 의무화된다면, 과연 진정한 소통일지, 유료화될 수 있는 서비스와 없는 서비스의 차이는 무엇인지 생각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배정원기자bae.jungwon@joongang.co.kr,
중앙데일리=양현주기자yang.hyunjoo@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