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슈 예상외로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이 세계적으로 먹힐 수 있었던 이유.txt
91,566 559
2021.09.25 21:38
91,566 559



* 그냥 장르 영화 좋아하는 원덬의 개인적인 의견이니 재미로 봐줘, 반박 시 니말이 맞음
(직접적인 스포는 없지만 간접적인 스포는 있을 수 있음)





yBucw.png



1. 생각보다 덜 잔인하다


: [오징어 게임은] '데스게임'이라는 장르인데 말 그대로 인간의 목숨이 걸린 게임을 하는 것이 주요 설정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잔인할 수 밖에 없음. 나름 여러 작품이 나오면서 이 장르는 점점 캐릭터가 얼마나 잔인하고 기발하게 죽는가를 연출하는데 몰두해왔음.

그에 비해 [오징어 게임]은 죽는 방법에 대한 묘사가 자세하지 않고 게임에 의해 얼마나 많이 죽었는가를 숫자로 보여주는데 그침. 이 장르의 매니아들 입장에서는 상당히 시시하게 느껴지지만, 처음 접하거나 익숙하지 않은 대중들 입장에선 충분히 잔인하다고 느낄 정도의 수위임.이 장르가 매니악한 이유 중 하나가 '잔인한 장면' 때문인데 [오징어 게임] 정도의 묘사는 일반 대중들도 참고 볼 정도라는 것. '데스게임' 장르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성공한 '헝거게임' 시리즈의 수위를 생각해보면 이해하기 쉬울 듯.










Acnxq.jpg



2. 있을법한 현실성을 그리고 있다


: '데스게임'의 장르적 특성상 대부분의 작품들은 현실성이 극히 결여되어있음. 게임에 개연성을 부여하기 시작하면 스토리가 산으로 가기 쉬움. 그래서 현실과 다른 공간을 그리거나 게임의 주최자가 인간이 아닌 초자연적인 힘이 작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그렇기 때문에 게임을 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도 없고, 게임을 참가하는 이들 역시 생존 외에 다른 서사가 부여되는 경우가 잘 없음.
 
[오징어 게임]도 저게 말이 되나? 싶은 설정들이 꽤 존재하지만, 다른 작품들에 비하면 훨씬 현실에 기반하고 있음. 유사성 논란 있는 [신이 말하는 대로] 같은 경우에 제목처럼 '신'이 개입하고, 인간이 죽는 방법도 초자연적인 힘이 작용함. 그렇지만 [오징어 게임]은 대부분의 게임이 인간이나 기계 등을 활용하고 죽는 방법도 진행요원들이 직접 '총'으로 쏴 죽임. 이러한 현실적인 설정이 최근 나온 다른 '데스게임' 장르에 비해 오히려 신선하게 다가 왔거나 설득력이 있었다는 얘기.

'데스게임' 장르의 시초 격이자 많은 영향을 끼친 명작 [큐브]와 [배틀로얄] 역시, 게임의 진행이나 죽는 방식이 '현실에서 가능한 수준'을 벗어나지 않았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오징어 게임]은 오히려 이런 장르적 원형을 잘 지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음. 또, [큐브]와 [배틀로얄] 역시 게임을 참가하게 된 이유나 인물들의 서사를 자세히 다루지 않는데 [오징어 게임]은 비교적 이런 스토리텔링이 충실함. 전체적으로 보면 아쉬울 수 있지만 장르적으로 보면 개연성을 상당히 챙겼음.










uxUNg.jpg



3. 게임이 단순하고 쉽다


: 이 장르는 '나 였으면 어땠을까?' 하는 상상을 불러 일으켜야 몰입도를 높일 수가 있음. 그러나 기발하면서 재밌는 게임들은 이미 너무 많은 작품들에서 다뤘기 때문에 최근작들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해왔음 1)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로 집중도를 높이는 두뇌회전형 게임. 2) 상상도 못할 기발하고 잔인한 잔혹형 게임.

'데스게임' 매니아들은 다음 레벨에서 어떤 게임이 나올지, 주인공이 어떤 지략과 처세술로 난관을 극복할지를 기대하면서 감상함. 그런 면에서 [오징어 게임]의 게임들은 높은 수준의 공략법이 필요하지 않고 대부분의 참가자들이 눈에 띄는 활약을 하기 보다는 '운'에 의존함. 그래서 장르 매니아들한테는 초반 불호반응이 컸다고 생각함.

그러나 이 장르가 익숙하지 않은 대중들은 평소에 굳이 저런 비현실적인(그리고 어려운) 상황을 어떻게 극복할지 고민하지 않음. 그에 비해 [오징어 게임]을 보면서 '나였으면 끝까지 못하고 죽었을 듯', '이 게임은 이렇게 하면 되겠다!' 하고 쉽게 이입할 수가 있음. '어느 날 갑자기 집 앞에 좀비가 나타난다면?' 이라고 하면 나는 그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 할까? 하고 바로 생각 할 수 있지만, '이 세상에 T-바이러스가 존재하는데 항체가 어떤 지하 연구실에 있고 암호는 수학 기호로 풀어야 하는데....' 이런 설정이라면 이미 이입하기 전에 생각해야 할게 너무 많음. 또 언어적, 문화적 차이가 있기 때문에 '아이들이 하는 단순한 게임'이라는 룰이 전세계 시청자들에게 골고루 먹힐 수 있었던 듯.










+ 번외



wQwGj.png


번외 1) '오징어 게임(SQUID GAME)' 이라는 심히 어그로성 있는 제목도 한 몫 했다고 봄. 제목만 봐도 궁금해짐 ㄹㅇ







HCpZS.jpg


번외 2) 심플하면서 따라하기 좋은 진행요원 ○△□ 코스튬







SHhQy.jpg


번외 3) 컬러풀하고 이해하기 쉬운 세트 공간



* 출처 : theqoo.net






목록 스크랩 (0)
댓글 559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AHC☀] 올 여름을 위해 폭삭 쟁였수다😎 선케어 맛집 AHC의 ‘블랙 선크림’ 체험 이벤트 🖤 388 01:30 13,570
공지 [공지] 언금 공지 해제 24.12.06 1,628,764
공지 📢📢【매우중요】 비밀번호❗❗❗❗ 변경❗❗❗ 권장 (현재 팝업 알림중) 24.04.09 6,300,593
공지 공지가 길다면 한번씩 눌러서 읽어주시면 됩니다. 23.11.01 9,501,140
공지 ◤더쿠 이용 규칙◢ [스퀘어 정치글 금지관련 공지 상단 내용 확인] 20.04.29 28,634,756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66 21.08.23 6,617,987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43 20.09.29 5,565,277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492 20.05.17 6,284,664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98 20.04.30 6,598,518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9. 스퀘어 저격판 사용 금지(무통보 차단임)] 1236 18.08.31 11,610,022
모든 공지 확인하기()
2682408 기사/뉴스 [단독] 경호처 "14일 尹 지하로 가게 해달라" 요청‥법원 고심 중 4 20:25 182
2682407 기사/뉴스 '정치 투쟁' 일삼는 고위 공직자, 이진숙은 뭘 노리나 20:23 145
2682406 유머 문이 얼마나 오래됐으면 8 20:21 715
2682405 기사/뉴스 선관위 찾아가며 "적진에 침투"‥김민전이 데려간 부정선거론자들 2 20:20 188
2682404 이슈 조카가 이모 책상에서 찾아낸 거... 27 20:18 3,198
2682403 기사/뉴스 [단독]“트럼프, 한덕수 ‘유력 대선후보’로 소개받고 전화” 45 20:17 1,758
2682402 이슈 진짜 착붙이라는 박보영 삼다수 광고 6 20:17 640
2682401 유머 이 정도는 되어야 미슐랭 3스타 받는구나 9 20:17 1,423
2682400 기사/뉴스 [mbc 단독] 한민고 교사가 학생 상대 성추행, 교장은 교사 두둔 발언 18 20:16 813
2682399 유머 뭔가 이상한 핑구인형 1 20:16 363
2682398 유머 [KBO] 적진에 잠입한 첩자의 최후.gif 7 20:16 1,283
2682397 이슈 [KBO] 한화이글스 한이닝 도루 5개 5 20:15 976
2682396 기사/뉴스 [단독]형사재판 "尹 지하로 가게 해달라"‥법원 판단은? 13 20:15 698
2682395 유머 [여자축구] 리그 라운드 MVP 되면 부모님께 효도 가능한 wk리그 축구선수들 1 20:14 247
2682394 이슈 프랑스어 못하는 한국인이 프랑스인이랑 대화한 방법 10 20:14 1,386
2682393 유머 필라테스 하다가 샹들리에 노래를 부르게 됨 1 20:14 312
2682392 이슈 빵진숙 상대 MBC 모두 승소!!!! [강조, size 72px] 6 20:13 855
2682391 이슈 메가커피 여름 신상 미리보기 41 20:12 3,225
2682390 이슈 일일드라마 KBS <여왕의 집> 포스터 2 20:12 777
2682389 이슈 브랜드 이미지가 완전 바뀐 이니스프리.jpg 261 20:11 14,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