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사/뉴스 "이자카야 안 가요".. '일본 문화'도 불매하는 사람들
4,808 73
2019.07.11 22:37
4,808 73

지난 9일 서울 마포구 합정역 인근에 위치한 한 일본식 선술집(이자카야) 앞에 사람들이 모여드는 모습. /사진=김경은 기자

지난 9일 서울 마포구 합정역 인근에 위치한 한 일본식 선술집(이자카야) 앞에 사람들이 모여드는 모습. /사진=김경은 기자

일본 정부가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 조치를 단행하면서 국내 소비자들이 맞대응에 나섰다. 소비자들은 일본산‧일본기업 제품을 구매하지 않고 일본여행을 취소하는 등 불매운동에 돌입했다.

온라인상에는 일본 불매운동 포스터와 불매 기업 리스트에 이어 ‘안 가고, 안 먹고, 안 입고, 안 타고, 안 사고, 안 보고, 안 듣는다’는 내용의 7가지 행동 강령이 돌고 있다.

반일 여론이 확산되면서 ‘일본 문화’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도 퍼지고 있다. 일본 음식, 일본어 등 일본 문화는 이미 한국인의 일상에 깊숙이 자리하고 있다. 최근 몇년간 일본을 방문한 한국인이 늘면서 자연스럽게 일본 현지음식, 브랜드 등이 국내에 스며들었다. 일본과 정치·사회적 이슈가 끊임없이 이어졌지만 그들의 문화는 오히려 확대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연출된 것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일본 문화까지 근절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홍대가 ‘롯폰기’라고요?… 곳곳 일본 문화

지난 9일 저녁 서울 마포구 합정역 인근에는 일본식 선술집(이자카야), 초밥집, 라멘집, 일본 가정식집 등이 일제히 불을 밝혔다. 합정역부터 홍익대학교 방향으로 이어지는 거리에는 한집 건너 한집이 일본어 간판을 내걸었다. 3층 건물을 통째로 일본풍으로 꾸민 한 일본식 선술집에는 ‘롯폰기’라는 일본 도쿄 유흥가 지명이 붙었다. 또 한 라멘집에서는 한국인 직원이 “이랏샤이마세(어서오세요)”라며 인사를 건넸다. 

서울 홍대 인근에 위치한 일본식 선술집. /사진=김경은 기자

서울 홍대 인근에 위치한 일본식 선술집. /사진=김경은 기자

홍대를 비롯해 종로, 강남 등 주요 상권에서는 이 같은 풍경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일본 문화를 소비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일본풍 업소는 점점 대중화, 다양화되는 추세다.

대표적인 분야가 외식업이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일식 브랜드 수는 2015년 89개에서 2017년 154개로 73% 증가했다. 일식으로 분류되는 가맹점 수도 2017년 4700여개로 2013년 대비 40% 이상 늘었다.

디저트시장도 일본 바람이 거세다. 특히 주요 백화점 식품관은 일본산 치즈케이크, 롤케이크, 애플파이, 생초콜릿 등이 장악하고 있다. 불과 3~4년 전만 해도 백화점 내 일본 디저트 브랜드는 전체의 20%에 불과했으나 현재는 40~50%로 확대됐다.

문제는 이 같은 식당과 음식의 일본화가 지나친 수준이라는 점이다. 과거에는 일식집, 회전초밥집, 돈가스집 등 한국화된 일식이 주를 이뤘지만 최근에는 오마카세(일식 코스 요리), 텐동(튀김덮밥)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메뉴판에 일본어를 그대로 가져다 쓰는 식당과 카페도 부지기수다. 

대체 가능한 우리말이 있어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모찌(찹쌀떡) ▲산도(샌드위치) ▲맛차(가루녹차) ▲코히(커피) ▲앙버터(팥버터빵=앙꼬+버터의 준말) 등이 대표적이다. 이런 단어들은 가게 메뉴판을 넘어 대중들의 말과 글에도 쉽게 오르내린다. 인스타그램에서 ‘모찌’와 ‘모찌롤’은 각각 39만6000건과 2만1000건의 해시태그가 검색된다. 또 ‘타마고산도(달걀 샌드위치)’가 5만9000건, ‘코히’가 3만건에 달한다. 
일본어로 된 제품도 늘었다. 외식·편의점업계에서는 ‘모찌롤’, ‘타마고 산도’, ‘가츠 산도’(돈가스 샌드위치) 등 일본식 명칭이 붙은 음식과 디저트를 출시했다. 심지어 CJ제일제당이 지난 2017년 출시한 ‘얼큰 우동’은 지난해 ‘키라이 우동’으로 이름을 바꿨다. 당시 소비자들의 질타가 이어지자 사측은 제품 차별화를 위해 일본식 표현을 사용했다고 해명했다. 

편의점 세븐일레븐의 '가츠산도', '타마고산도'(왼쪽)와 CU의 '모찌롤'. /사진=각사 제공

편의점 세븐일레븐의 '가츠산도', '타마고산도'(왼쪽)와 CU의 '모찌롤'. /사진=각사 제공

◆“이자카야 안 가요” vs “반일정서 지나쳐”

일본 문화는 한국인의 일상에 파고들었다. 이참에 한국 내에 불고 있는 일본풍을 몰아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이유다. 한편에서는 일본 불매운동과 반일 여론의 영향으로 일본 문화 소비를 꺼리게 된다는 의견도 나온다. 

직장인 이지수씨(28)는 “일본에 대한 거부감이 크게 일고 사회 전반적으로 불매운동에 나선 상황인데 굳이 일본 문화를 소비하고 싶지 않다”며 “문화 자체를 거부하는 차원에서 일본 식당에도 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직장인 최은영씨(30)는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방사능 우려 때문에 일본 제품을 불매해 왔다”며 “과거사 문제나 혐한(한국 혐오) 논란이 계속되는데 일본 제품을 쓴다는 게 상식적으로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전에는 내가 예민하다는 소리를 들었는데 이제는 다같이 동참해서 좋다”며 “일본 제품을 불매할수록 보다 안전하고 건강한 국산 제품이 시중에 나오지 않겠나”라며 기대감을 표했다.

주부 신경숙씨(52)는 “올해부터 취미로 일본어를 배우기 시작했는데 최근에는 괜히 밖에서 일본어를 쓰는 게 겁이 난다”며 “일본 불매 운동에 동참하는 마음으로 일본어 사용을 자제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 마포구 합정역 인근에 일본식 선술집 두 곳이 마주하고 있다. /사진=김경은 기자

서울 마포구 합정역 인근에 일본식 선술집 두 곳이 마주하고 있다. /사진=김경은 기자

반면 일본 문화까지 거부하는 건 지나치다는 주장도 있다. 문화 불매 운동은 일본에 경제적 피해를 주지 않으며 오히려 국내 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또 무조건적으로 배척하는 태도는 시대착오적이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홍대 인근의 한 일본식 선술집에서 만난 대학생 송모씨(22)는 “SNS에서 유명세를 탄 곳이라 와봤다. 일본 분위기가 잘 느껴진다”며 “불매운동은 일본 제품에 대해 하는 거지 국내 술집 이용과는 상관없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직장인 김모씨(40)도 “일본식당에 간다고 해서 일본에 돈이 들어가는 건 아니지 않느냐”며 “일본 불매 운동을 한다는 사람들도 유니클로가 폭탄 세일을 하면 다 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홍대 인근 선술집 6곳을 돌아본 결과 불매운동 체감지수는 낮은 편이었다. 평일임에도 선술집 좌석은 절반 이상이 들어차 있었다. 선술집 직원들 “역시 불매 운동이 일어나기 전후 매출이나 고객 수에 변화가 거의 없다”고 전했다.

이와 달리 피해를 호소하는 업주도 있었다. 한 선술집 사장 A씨는 “이자카야를 오픈하면 무조건 성공한다고 해서 창업한지 1년도 되지 않았다. 인테리어에 돈도 많이 쏟았다”며 “불매운동이다 뭐다 해서 장사가 안 된다. 자영업자가 괜한 불똥을 맞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한편 향후 불매운동 전개 방향에 대해서는 엇갈린 의견이 나온다. 업계에서는 불매운동이 당장 매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서도 갈등이 장기화될 경우 브랜드 이미지에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우려한다. 반면 소비자들이 가격과 품질을 우선시하기 때문에 영향이 적을 거라는 분석도 있다.  

김경은 기자 silver@mt.co.kr

목록 스크랩 (0)
댓글 73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아멜리X더쿠🩷] 구워만든 베이크드파우더, 새로운 컬러가 나왔어요. 핑크 파우더 #라이트핑크 체험 이벤트 529 06.02 22,718
공지 공지접기 기능 개선안내 [📢4월 1일 부로 공지 접힘 기능의 공지 읽음 여부 저장방식이 변경되어서 새로 읽어줘야 접힙니다.📢] 23.11.01 4,138,224
공지 비밀번호 초기화 관련 안내 23.06.25 4,841,823
공지 ◤더쿠 이용 규칙◢ 20.04.29 21,307,999
공지 성별관련 공지 (언급금지단어 필수!! 확인) 16.05.21 22,491,534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46 21.08.23 3,770,900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21 20.09.29 2,630,894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377 20.05.17 3,337,369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62 20.04.30 3,903,937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스퀘어 저격판 사용 무통보 차단 주의) 1236 18.08.31 8,287,361
모든 공지 확인하기()
2425601 이슈 @ : 낭만 느끼고 싶어서 눌렀는데 너무잘춰서 압도당하고 나옴.twt 5 05:03 1,001
2425600 이슈 일본에서 평가하는 농발거미.jpg 12 04:59 1,132
2425599 유머 여자친구가 공무원인데 프로포즈 반지도 김영란법 위반인가요? 11 04:52 1,652
2425598 유머 새벽에 보면 엄청 시원해지는 괴담 및 소름돋는 썰 모음 34편 2 04:44 317
2425597 이슈 샤워할 때 누가 설거지하면 급 물 수압이 약해지잖아 20 04:09 3,119
2425596 이슈 킬리안 음바페 인스타그램 업뎃 (레알 마드리드 이적 오피셜) 5 04:04 1,195
2425595 기사/뉴스 국민연금, 민희진 가처분신청 인용 이튿날 하이브 주식 877억 매각 [엔터주IS] 5 03:50 1,807
2425594 유머 골프 처음 쳐보는 마동석🐥 9 03:36 1,529
2425593 이슈 작년 중국으로 반환된 성이🐼를 만나러간 말레이시아 사육사.gif 12 03:32 1,869
2425592 이슈 남친이 여친의 갑질을 다 받아줬던 이유 83 03:29 7,415
2425591 이슈 레알 마드리드 세대교체 근황 4 03:13 1,812
2425590 이슈 얼마 전에 사수한테 들은 대박 충격적인 말… 32 03:11 3,775
2425589 이슈 영화 원더랜드 시사회에서 만난 도플갱어.jpg 6 03:03 2,069
2425588 이슈 만원의 행복 최초 응급실 간 연예인ㅋㅋㅋㅋㅋ.jpg 15 03:01 4,205
2425587 유머 주인 목소리에만 대답하는 고양이 6 03:00 1,540
2425586 유머 이 정도 독해야 그래미 타나 싶은 달리면서 고음 연습하는 마일리 3 03:00 1,594
2425585 이슈 어차피 한번 사는 인생 변우석이랑 연애 한번 해보고 싶다 22 02:52 2,877
2425584 유머 명곡 타율이 개끼는 도자 캣 + 여가수 듀엣 조합 02:49 1,020
2425583 이슈 [해외축구] 오피셜- 레알 마드리드, 킬리안 음바페 영입 33 02:34 2,839
2425582 유머 생각없이 듣다가 '어?'한다는 씨스타 - Hush 13 02:28 2,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