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사/뉴스 [단독] 아이 셋이면 고속도로 전용차선...다자녀 혜택 확대해 저출산 막는다
24,627 242
2023.11.03 16:28
24,627 242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저고위)가 3명 이상 자녀를 둔 가정이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할 수 있는 ‘다자녀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이용’ 정책 도입을 검토중이다. 다자녀 가정은 공용주차장을 우선 이용할 수 있는 ‘다자녀 배려 주차장’을 설치하고 영유아를 둔 가정이 국공립 박물관 등 인파가 몰리는 장소에서 우선 입장할 수 있는 ‘패스트트랙’제도를 신설하는 정책 역시 기대효과 등을 따지며 도입을 논의 중이다. ‘아이 하나만 있는 가정’이 합계출산율 0.78명이라는 초저출산의 주요 원인중 하나라는 분석 아래 ‘다자녀 혜택’을 대폭 확대해 저출산을 극복하겠다는 취지다.



“다자녀 가정 혜택 늘려 0.78명 합계 출산율 반전 필요”


3일 매일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저고위는 ‘다자녀 혜택’을 늘리는 방안으로 이같은 정책 도입을 검토하며 관계부처들과 논의를 하고 있다. 향후 저출산 예산 재구조화를 포함해 내년 초 ‘다자녀 혜택’을 포함한 추가적 저출산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저고위는 대규모 예산과 까다로운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서 시민들에게 즉각적인 혜택을 줄 수 있는 생활밀착형 저출산 대응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다자녀 가정이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할 수 있는 정책이다. 현행법상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는 ‘9인상 이상으로 6명 이상 승차한 차량’만 통행할 수 있다. 여기에 3명 이상 자녀를 둔 가정이 구입시 취득세 감면 혜택을 받은 차량도 버스전용차로를 통행을 허용하는 것이다.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이용과 더불어 ‘다자녀 우대 주차장’과 ‘어린이 패스트트랙’도 핵심 정책중 하나다..

‘다자녀 우대 주차장’은 서울시가 지난 7월부터 시행중인 ‘가족배려주차장’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정책이다. 서울시는 ‘여성우선주차장’을 ‘가족배려주차장’으로 전환해 임산부와 영유아, 노약자와 이를 동반한 시민이 우선 이용할 수 있도록 적용했는데, 이를 다자녀 가정까지 확대해 중앙정부 차원에서 시행한다는 취지다.

‘어린이 패스트트랙’은 이웃 일본에서 시행중인 정책이다. 국립박물관 등 문화시설이나 공항, 관공서 등을 이용할 때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이나 임산부들은 기존 대기자보다 먼저 입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도다. 저고위는 앞서 열린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국가 운영 박물관 등에 대한 ‘어린이 패스트트랙’ 정책을 보고하고 패스트트랙 대상과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을 고려중이다.

이밖에 3자녀 이상만 받을 수 있는 자동차 취득세 감면 혜택을 2자녀 가정에게 확대하는 방안과 아동수당 지급 범위를 다자녀 가정에 한해서 확대하는 방안도 논의 테이블에 올라와 있다. 현재 아동수당은 만 8세 미만 아이를 둔 가정이 받을 수 있는데 수급 가능 아동 연령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민간을 중심으로 제기돼왔다. 다만 이같은 정책들은 투입 재원 등을 감안하면 부처간 충분한 조율과 논의가 필요하다는게 저고위의 입장이다. 저고위는 다양한 다자녀 지원 정책중 옥석을 가려 내년 저출산 추가대책 발표에 포함할 예정이다.



‘2자녀 자동차 취득세 감면’, ‘다자녀가정 아동수당 확대’ 등도 도입되나



저고위가 다자녀 가정 혜택 확대에 초점을 둔 것은 첫째 아이를 둔 가정중 둘째 이상을 출산하는 비중이 점점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출생아 24만9000명중 첫째아이는 15만6000명으로 전체의 62.7%에 달했다. 둘째 이상 아이가 10명중 4명도 안된다는 뜻이다. 첫째아이 비중은 2012년 51.5%에서 매년 꾸준히 상승하다 2021년엔 56.9%를 기록하더니 작년 한해 동안 5.9%포인트 대폭 상승했다. 첫째아 출생이 전년보다 8000명 늘어난 반면 둘째아는 1만5000명 줄고, 셋째 이상도 4000명 줄었기 때문이다. 첫째아 비중이 60%를 넘어선 것은 1981년 통계 작성 이후 처음이다.


인구가 증감하지 않고 고령화도 피할 수 있는 이른바 ‘안정인구’를 보유하기 위해서는 합계출산율이 인구대체수준인 2.1명을 유지해야 한다. 부부가 2명 이상 아이를 갖는 것이 저출산 극복을 위한 장기적인 목표인 셈이다. 이에 첫째아 출산과 더불어 이미 아이를 가진 가정의 추가 출산을 유도하는 투트랙 대응을 한다는 것이다.

특히 둘째 이상 아이를 출산하는 데엔 첫째아 출생과는 다른 방식의 접근이 필요하다는게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이재림 서울대 아동가족학과 교수는 지난달 한 심포지엄에서 “둘째 이상 출산 지원은 양육자의 부담을 경감하고 양육자가 존중받는 사회환경과 문화를 구성하는 데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자녀가 없는 가정이 출생을 희망하는 것과 1명 있는 가정이 둘째를 가지려고 하는 것은 다르게 작용한다는 분석 아래 첫째 출생 지원과 둘째 이상 출생 지원 정책을 구분해야 한다는 취지다.




저출산 예산 50조 붓고도 출산율 세계 최저..내년 저출산 예산 옥석 가린 ‘재구조화’ 결과 발표



저고위는 이처럼 저출산 예산을 시민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분야에 투입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중이다. 연말까지 그동안 쓰였던 예산이 실제 저출산과 관련됐는지 따져보는 재구조화 작업을 마칠 예정이다. 국회예산정책처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저출산 예산은 2006년 2조1000억원에서 2016년 21조4000억원, 지난해 51조7000억원으로 늘었지만, 가족지원 예산(아동수당·육아휴직 및 보육 지원 등 예산)은 국내총생산(GDP)대비 1.65%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2.29%보다 현격히 낮았다. 이에 저출산 예산 범위를 재설정해 저출산 대응을 효과를 키워야한다고 제언한 바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209438?sid=101

목록 스크랩 (0)
댓글 242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리더스코스메틱x더쿠💟] 치열한 PDRN 시장에 리더스의 등장이라…⭐PDRN 앰플&패드 100명 체험 이벤트 723 03.28 60,915
공지 [공지] 언금 공지 해제 24.12.06 1,526,188
공지 📢📢【매우중요】 비밀번호❗❗❗❗ 변경❗❗❗ 권장 (현재 팝업 알림중) 24.04.09 6,137,031
공지 공지가 길다면 한번씩 눌러서 읽어주시면 됩니다. 23.11.01 9,417,606
공지 ◤더쿠 이용 규칙◢ [스퀘어 정치글 금지관련 공지 상단 내용 확인] 20.04.29 28,455,033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66 21.08.23 6,552,056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42 20.09.29 5,506,409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488 20.05.17 6,203,451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98 20.04.30 6,526,319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9. 스퀘어 저격판 사용 금지(무통보 차단임)] 1236 18.08.31 11,536,237
모든 공지 확인하기()
2673499 이슈 미국의 괴랄한 문화.jpg 1 21:33 187
2673498 이슈 1년전 오늘 발매된, 이무진 "청혼하지 않을 이유를 못 찾았어" 21:32 26
2673497 이슈 서빙할 때 실수로 국물 흘림.. 3 21:32 317
2673496 이슈 수업 중 여자의 인생은 아이를 낳지 않으면 가치가 없으니 몸이 싱싱한 20대에 낳으라고 한 목동고 김영수 교사가 학생들에게 ‘이름과 학번’이 적힌 설문지를 제출하라고 함 5 21:31 440
2673495 기사/뉴스 파면 확신하는 조갑제·정규재‥"여당 스스로 문 닫아야 보수 재건" 2 21:31 108
2673494 이슈 담배 버리면 어떻게 되는 거지.jpg 1 21:31 176
2673493 이슈 손열음이 말아주는 En avril, à Paris (4월, 파리에서) 🎹 21:31 49
2673492 유머 [KBO] 기아타이거즈에서 뛰고 있는 용타 메이져시절 최대 타구속도 21:31 116
2673491 이슈 챗GPT '지브리 열풍'에 日 "화풍은 아이디어…AI 저작권 침해 아니다" 6 21:31 317
2673490 유머 🌶️매운 음식과 같이 먹어야 할 메뉴 원픽은?🌶️ 15 21:30 321
2673489 이슈 이러면 이 새끼 J야 소리 들을 수 있음 1 21:30 328
2673488 이슈 한마디로 그냥 좆됐다 3 21:30 805
2673487 이슈 나 학교 다니기 싫다.txt 1 21:29 640
2673486 기사/뉴스 서울 강동구서 소규모 땅꺼짐‥다친 사람 없어 5 21:28 509
2673485 이슈 커플들 전동킥보드 타고 다니는거 3 21:28 578
2673484 유머 싸가지없는 로봇 청소기 1 21:27 156
2673483 이슈 <폭싹 속았수다> 1,2,3,4막 중 내가 가장 재밌게 봤던 막 골라보는 글 🍊 29 21:27 534
2673482 유머 🐼 임오 쟘깐만 루야 하부지한테 할말이 이써💜 4 21:25 997
2673481 이슈 네이버 라인 야후 분쟁사태에 대한 정리글 3 21:24 818
2673480 기사/뉴스 윤석열, 절대 승복 안 한다 (제목이 자극적인데 승복안한다는 확신x 계속 승복 압박해야한다는 내용) 102 21:24 6,0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