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0시 기준 서울시 코로나19 확진자가 262명으로, 하루 확진 기준으로 사상 최다를 기록했다. 지난 1·2차 대유행과 달리 소규모 집단감염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방역당국이 골머리를 앓고 있는데, ‘설마 나 하나쯤은’이라는 방심이 상황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이날 서울시 자료를 보면, ‘서초구사우나 1’과 ‘서초구 사우나 2’의 누적 감염자 수는 각각 71명, 75명이다. 고급 아파트 단지에 만들어진 입주민 전용 사우나를 통해 코로나19가 퍼진 경우다.
‘서초구 사우나 2’에 방문했던 적이 있는 ㄱ씨는 지난달 24일 보건소에서 진단검사를 받으라는 문자메시지를 받았다. 하지만 밀접접촉자로 분류되지는 않았던 ㄱ씨는 ‘증상이 없다’며 검사를 미뤘고, 사흘 뒤인 28일에야 아내와 함께 검사 받고 다음날 확진 판정을 받았다. 그사이 따로 살지만 왕래가 잦은 경기도에 사는 자녀와 손주, 2명도 잇따라 확진 판정을 받았다.
같은 아파트 단지에 사는 ㄴ씨도 집단감염이 발생한 사우나 방문 이력이 확인돼 지난달 21일 진단검사를 받으라는 휴대전화 메시지를 받았다. 하지만 함께 사우나를 찾았던 아들이 음성 판정을 받자, ‘괜찮겠지’란 생각에 검사를 받지 않았다. 결국 문자 수신 8일 뒤인 지난달 29일에야 진단검사를 받고, 이튿날 확진됐다.
3일 기준 75명의 누적확진자가 나온 ‘서초구 사우나2’에서는 최초 확진자 발생 이후 보름 동안 확진자 발생이 끊이지 않고 있지만, ㄱ씨나 ㄴ씨처럼 검사를 미루는 입주민들로 인해 사우나 방문자 검사를 끝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서초구보건소는 시간대별 사우나 방문자를 확인해 3000세대가 넘는 이 아파트단지 입주민 가운데 4차례에 걸쳐 1529명에게 검사를 받도록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안내했지만, 호응이 적어 서울시 제안에 따라 지난달 28~29일 아파트 안에 현장 선별진료소를 설치했다.
서초구청 관계자는 “현재까지 검사를 받지 않은 분들이 있어, 아파트 동별로 검사하도록 안내문을 붙이고 방송을 하고 있다”며 “세대별로 검사 여부를 확인한 뒤 검사를 받지 않았다면 가족 모두가 검사받도록 조처 중”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