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이뉴스24 정지원 기자] '스토브리그' 애청자라면 도저히 싫어할 수 없는 캐릭터가 있다. 드라마 애청자도, 야구 애호가도 모두가 소리 높여 '최고'라고 외치는 무결점 야구선수 강두기가 그것. 완벽한 실력, 팀을 향한 충성심, 선수들을 아우르는 리더십, 부당함과 싸우는 정의로움까지. 강두기는 누구나 한 번 쯤 '내 팀에 이런 선수가 있었으면' 하고 꿈 꾸게 되는 인물이다.
'드림즈' 강두기 역을 맡은 하도권은 이번 작품을 통해 팀명대로 꿈을 펼칠 수 있게 됐다. "날 세상 밖으로 나오게 해준 작품"이라는 말 대로, 하도권은 시즌2를 향한 열망을 가슴에 담은 채 또 다른 세상으로 비상할 준비 마쳤다. 다음은 강두기 역 하도권과의 일문일답.
◆'스토브리그' 이신화 작가와도 끈끈한 사이가 됐을 것 같다.
-전지훈련 가는 길에 비행기 옆 자리였다. 정말 착한 사람이고 소박하더라. 전지훈련 전 날이 생일이었는데, 그 사실을 말하며 한층 릴렉스된 모습을 보면서 참 좋았다. 종방연 때도 작가님과 눈이 마주쳤는데,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부둥켜 안고 엉엉 울었다. 난 작가님에게 너무나도 고마운 마음이 있었는데, 작가님도 비슷한 감정을 느꼈던 것 같다. 서로 얼마나 고생했는지를 느꼈다.
◆하도권에게 '스토브리그'란 어떤 의미인가.
-드림즈는 내가 꿈을 품게 해준 작품이다. 내 꿈을 좀 더 현실화시킬 수 있게 힘을 준 작품이다. 결코 잊을 수 없다.
◆광고 요청도 많을 것 같다.
-감사하게도 다방면에서 광고 제의가 들어왔다. 조만간 재밌게 보실 수 있을 것이다.
◆'의사요한', '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 '황후의 품격', '스토브리그'까지 유독 SBS와 연이 깊다.
-딱히 의도한 건 아니지만, 한 방송국에서 신뢰를 주고 나 역시 작품을 할 수 있는 건 기분 좋은 일이다. 사실 '스토브리그' 이후 SBS와 함께 키움 히어로즈의 대만 전지훈련에 함께 가서 다양한 촬영을 진행하려 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다소 변동이 생겼다. 언젠가 달라진 방식과 아이템으로 만나보지 않을까 한다.
◆남궁민이 소속된 935엔터테인먼트와 계약을 앞두고 있다.
-참 재밌는게, 기사 자체가 스포츠 이적 기사처럼 내가 단장님 품으로 간다고 제목이 떴더라. 나와 가장 잘 맞고, 나를 신뢰하고 지지해줄 회사라고 생각해 계약을 준비했다.
◆서울대 성악과 출신의 인재다. 배우를 결심한 계기는 무엇인가.
-성악을 할 땐 이태리어 영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등을 해야하는데 언어적 문제에서 한계를 느꼈다. 아무리 공부해도 그들의 문화와 정서를 제대로 전달 못하겠더라. 아는 척 해야하는게 오글거렸다. 그러다가 뮤지컬에 도전했고, 내가 느낀 정서를 제대로 전달할 수 있다는 확신이 생겼다. 이후 배우로 활동을 이어갔다.
◆성악을 통해 다듬어진 강하고 굵은 목소리가 강두기와 잘 어울렸다.
-좋은 목소리라는 말은 곧 일반적이지 않다는 뜻이다. 강두기 같은 특별한 캐릭터를 연기할 땐 유용하게 사용되지만 소소한 삶을 그릴 땐 방해요소가 될 수도 있다. 발성은 내게 양날의 검 같은 존재다.
◆차기작 행보는 어떻게 되나.
-3월부터 '리멤버' 촬영이 있고, 4월부터 '펜트하우스' 촬영이 예정돼 있다. 역할에 맞춰 수염을 기르고 있는데 차분하게 잘 준비하려 한다. '메모리스트'에도 특별 출연 했는데, 태어나서 처음으로 얄미운 양아치 역할에 도전했다. 배우로 많은 사랑을 받는 이런 삶을 꿈 꿔 왔다. 정말 '드림즈'가 된 기분이다.
◆강두기가 뽑는 '강두기의 최고의 장면'은?
-당연히 드림즈 복귀 기자회견이 아닐까. 그 장면 하나로 시청자의 관심을 받았다. 처음에는 소리를 지른 뒤 등판만 보여주는 방식으로 촬영을 하다가, 손가락을 쫙 뻗으면서 다양한 카메라 액션이 생겼다. 감독님과 같이 만들어가는 그 현장 상황도 너무 좋았고 결과물도 참 좋았다.
◆하도권이자 강두기로서, '스토브리그' 애청자에게 하고 싶은 말은?
-드림즈를 사랑해주셔서 감사하다. 팬들이 사랑해주면서 좋은 결과를 만들 수 있었다. 이 작품을 통해 배우 하도권 역시 빛을 못 보다가 세상으로 나왔다. 정말 감사하다.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인터뷰를 많이 진행했지만, 감독님과 작가님께 고맙다는 말을 많이 못 했다. 정말 감사하다는 마음 다시 한 번 전하고 싶다. 이 글이 꼭 전달됐으면 좋겠다.
http://www.joynews24.com/view/1247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