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스퀘어 코인 알고보면 쓸모있는 정보 - 7월 2일 오늘의 저녁 뉴스
338 2
2021.07.02 20:13
338 2

오늘의 저녁 뉴스


1. [일론 머스크 "버진갤럭틱·블루오리진 우주여행은 DOGE 결제 가능한가?"]


일론 머스크 테슬라 및 스페이스X 창업자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조스의 우주여행 스타트업 블루오리진과 리처드 브랜슨의 버진갤럭틱의 우주여행 관련 트윗에 "우주여행에 DOGE로 결제할 수 있나?"라고 댓글을 남겼다. 앞서 버진갤럭틱은 올여름 전 좌석을 예약으로 채운 우주선의 첫 비행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으며, 제프베조스의 블루오리진은 우주선을 타고 대기권과 우주공간의 경계까지 비행하는 프로그램을 7월 20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2. [바이비트 "하반기 PC 및 모바일앱 개편 예정...현물 옵션 지원"]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바이비트(Bybit)가 공식 유튜브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해 "올 하반기 바이비트는 최상의 사용자 거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새로운 로고와 함께 PC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 플랫폼 등의 개편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서 바이비트는 "개편 후 바이비트는 기존 현물과 옵션 거래 서비스를 지원할 예정이다. 또 현물 거래 출시와 동시에 출금이 가능한 ‘월렛 2.0’ 서비스도 도입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바이비트에서 주최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암호화폐 트레이딩 대회 ‘WSOT’는 8월 개최될 예정이다.


3. [오늘 2.3억 달러 이더리움 옵션 만기 도래]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가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바이비트에서 2.3억 달러 규모의 이더리움 옵션 계약이 오늘(2일) 만기 도래한다"고 2일 보도했다. 코인텔레그래프는 "콜옵션 중 미결제 약정의 약 30%에 해당하는 3,600만 달러 규모의 포지션이 2,200 달러 이하에서 옵션을 행사할 전망이며, 나머지 70%는 옵션을 행사하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풋옵션은 대다수 행사가가 1,900달러 이하에 설정돼 있으며, 해당 옵션이 행사될 가능성은 적다. 풋옵션 미결제 약정 중 2,100달러 이하의 행사가를 지닌 옵션은 약 2,600만 달러 규모"라고 설명했다. 


4. [데이터 "최근 7일 BTC 평균 블록 생성 속도 15.48분"]


OKLink에 따르면,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해시레이트가 뚜렷한 감소세를 나타내며 최근 7일간 평균 블록 생성 속도가 15.48분(새로운 블록이 채굴되기 까지의 간격)까지 증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OKLink는 "6월 14일 채굴 난이도 조정 이후 블록 생성 간격이 1시간이 넘는 블록은 28 개를 기록했다. 한국시간 기준 3일 16시 경 비트코인 네트워크는 역대 최대폭의 채굴 난이도 조정이 예정되어 있으며, 조정 후 BTC 채굴 난이도는 약 26.6% 하락한 14.63T로 전망된다"고 분석했다.


5. [코인원, 상장·유지심사 관련 세부 절차 공개]


2일 한국경제에 따르면 코인원이 프로젝트 상장과 상장 유지 심사에 관한 세부 절차를 자사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상장과 관련해 코인원은 기존처럼 공식 이메일로만 지원서를 받는다. 일주일간의 예비상장심사를 거쳐, 통과 시 최대 3주 동안 프로젝트와 대면 인터뷰, 실사를 진행한다. 내부 상장심사위원회에서 본 심사가 이어진 후 최종 상장 여부가 결정된다. 상장 심사 기준은 ▲사업의 지속 가능성 ▲지배구조의 투명도 ▲토큰 분배계획 ▲글로벌 시장성 ▲국내 커뮤니티 ▲팀 구성 ▲프로젝트 진척률 등 총 7개 항목이다. 코인원은 상장된 코인에 대해 반기별로 상장 유지심사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유의 종목 사유가 발생할 경우, 프로젝트팀에 개선 기간을 주고 이의 신청을 받는다. 이후 2차 심사를 통해 유의 종목 최종 선정을 발표하고 2주간 개선 기간을 다시 부여하는 식이다. 단 이 과정에서 개선 의지가 보이지 않는 경우 상장 폐지가 결정된다. 해당 종목의 거래 지원 종료 시기는 상폐 공지 2주일 뒤다.


6. [렌 프로토콜-아즈텍 파트너십 유지... BTC 비공개 보유·거래 지원]


크로스 체인 토큰 전송 프로토콜 렌 프로토콜(REN, 시총 115위)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이더리움 프라이버시 보호 솔루션 아즈텍(Aztec)과 파트너십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따라 향후 renBTC를 아즈텍의 프라이버시 롤업(Rollup)에 추가한다는 설명이다. 이용자는 BTC를 RenBridge에 입금하고 zk.money에서 renBTC를 보호하는 방법으로, BTC를 비공개 보유 및 거래할 수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REN은 현재 5.58% 내린 0.340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7. [금융위 "금리상승, 암호화폐·부동산에 상당한 영향"]


2일 뉴시스에 따르면 도규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이날 '제40차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이제 금리상승 리스크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실물경기 회복과 수출 호조에 따른 기업실적 개선 등 견조한 펀더멘털이 뒷받침되고 있는 주식시장과 달리, 가상자산·부동산 시장 등은 글로벌 통화긴축 상황 전개시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실제로 급등하던 가상자산 시장이 최근 급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일부 가상자산은 갑자기 거래가 중단되는 등 매우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원문보기: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702_0001498513&cID=15001&pID=15000


8. [빗썸, CON·CVT 등 투자유의 종목 지정... PCM 상폐]


빗썸이 코넌(CON), 사이버베인(CVT), 더마이다스터치골드(TMTG)를 투자유의 종목으로 지정했다. 동시에 프레시움(PCM)에 대한 거래 지원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PCM에 대한 거래(매수 및 매도)는 오는 19일 15시 중단할 예정이다. 출금은 8월 16일 15시 중단된다.


9. [크로스파이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 기반 Dapp 배치 예정"]


탈중심화 원스톱 크로스체인 대출 플랫폼 크로스파이(CRFI)가 공식 채널을 통해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 기반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을 배치할 예정"이라고 2일 밝혔다. 이날 크로스파이 측은 "1일 기준 크로스파이 내 파일코인(FIL) 예치량은 10만 FIL을 돌파했으며, 대출 규모는 약 68,000 FIL을 기록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국시간 2일 0시 CRFI는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렉스 글로벌 USDT 마켓에 상장된 바 있다.


10. [프레시움 재단, 빗썸 상폐 결정에 "납득할 수 없다"]


빗썸이 프레시움(PCM)을 상장폐지한다는 결정에 프레시움 재단 측이 상폐 사유에 대해 납득할 수 없다며 이의를 제기했다. 재단은 "개선 사항에 명시한 사업 현황에 대해 개선 기간 중 충분히 사업화 및 가시화했으며 개선했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이어 "대면 미팅 요청에 대한 회신도 없이 일방적인 상장폐지 통보는 절차상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며, 법적 소송을 포함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것"이라며 "재단 및 투자자가 납득할 수 있는 기준 공개, 내부 승인 절차 및 관계자 의견 합의 내용 등을 요청하고 개선 기간 연장을 요청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빗썸은 PCM에 대한 거래(매수 및 매도)를 오는 19일 15시 중단하며 출금은 8월 16일 15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11. [블록체인 보안업체 서틱, 폴리곤과 파트너십]


블록체인 보안 업체 서틱(CertiK)이 시스템 보안을 위해 폴리곤(MATIC)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공지했다. 향후 서틱은 보안 보드(Security Leaderboard)를 통해 폴리곤 커뮤니티에 보안 정보 관련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해당 서비스에는 △실시간 커뮤니티 알람 △투명한 감사 결과 및 리소스 △Skynet을 통한 프로젝트 실시간 보안 점수 등이 포함된다는 설명이다. 


12. [LBank, BABYDOGE·RABBIT 상장]


LBank가 7월 1일 22시와 2일 22시 USDT 마켓에 각각 BABYDOGE(Baby Doge Coin), RABBIT(Rabbit Finance)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LBank는 BABYDOGE 온 체인 보상을 지원한다. Rabbit Finance는 교차 체인 레버리지 대출 프로토콜로, 사용자 자금을 최대 9배까지 늘려 이자 및 유동성 농업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13. [인도, 해외 거래소 수익에 18% 세율 적용 가능성 제기]


2일 인도 매체 이코노믹타임스에 따르면 인도 간접세 관련 부처가 해외 암호화폐 거래소에 대한 과세 여부를 검토 중인 가운데, 현지에서 해외 거래소에 18% 세율을 적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라훌 가르크 Asire 컨설팅 LLP 파트너는 "인도의 상품 및 서비스세(GST) 규정에 따라 해외 암호화폐 거래소는 당국에 등록하고 최대 18% 세율이 적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인도의 대다수 거래소는 수익이나 거래 수수료에 대해 18% 세금이 부과되나 해외 거래소에 대해선 해당 조항이 적용되지 않고 있다. 다만, 세율을 결정하는 게 간단한 문제가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아비셱 제인  EY 인도 파트너는 "암호화폐가 자산인지, 증권인지 아니면 화폐인지 아직 불명확하다"고 지적했다. 앞서 지난달 인도에서는 해외 전자상거래 사업자에게 부과되는 이른바 '구글세'를 해외 암호화폐 거래소에도 적용해 2% 세금을 부과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14. [코빗 "대규모 상장폐지 계획 없다"]


2일 아시아투데이에 따르면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코빗이 대규모 상장폐지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코빗 관계자는 "타 거래소 대비 상장된 코인이 비교적 적은편이며 상장폐지나 유의종목 지정을 고려하는 바가 없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코빗 상장된 코인은 45개로 상장 코인 수가 170~180개 이상인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과 비교했을 때 상장 코인 수가 가장 적다. 이 중 '김치코인'으로 불리는 국내 코인은 △메디블록 △아르고 △루나 △클레이튼 4개뿐이다. 코빗에는 테슬라 CEO인 일론 머스크가 띄우며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도지코인도 상장되지 않았다.

원문보기: 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10702010001268


15. [최근 24시간 평균 BTC 해시레이트 100EH/s 상회]


BTC.com에 따르면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지난 24시간 평균 해시레이트가 103.06EH/s를 기록했다. 해시레이트 상위 10개 채굴풀 중 9개가 상승세를 보였다.


16. [데이터 "중앙화 거래소 보유 ETH 물량 지속 감소세"]


암호화폐 데이터 분석 업체 샌티멘트에 따르면, 중앙화 거래소가 보유한 ETH 물량이 지난해 6월 이후 지속적인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2020년 6월 당시 암호화폐 거래소가 보유한 ETH 물량은 총 유통량의 26%에 달했지만, 2021년 6월 해당 수치는 18%까지 떨어졌다. 이는 2018년 11월 이후 최저 수치다.


17. [쿠사마 3차 슬롯 경매 크라우드론 25.45만 KSM 락업]


서브스캔에 따르면 폴카닷 테스트넷격인 쿠사마의 3차 슬롯 경매 크라우드론 락업 규모가 2일 16시 기준 254,453 KSM을 기록했다. 이중 약 13.43만 KSM이 시덴(Shiden)에, 3.74만 KSM이 칼라네트워크(Khala Network)에, 3.28만 KSM이 비트프로스트에 할당됐다. 앞서 29일 쿠사마는 3차 파라체인 슬롯 경매를 시작했다


18. [애널리스트 플랜B "최악의 시나리오, 7월 말 BTC 2.8만 달러 도달"]


유명 비트코인 마켓 분석가 플랜B(PlanB)가 1일 트위터를 통해 "지난 6월 말 비트코인은 3만5037 달러를 기록했다. 2019년 1월 때와 같이 S2F(Stock-to-Flow) 모델의 가격 수준을 한참 밑돈다. 다음 6개월은 다시 S2F 그래프를 따라가거나 돌파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또한 그는 "2019년 하락장이 최근 중국 당국의 채굴업 규제로 인한 하락장보다 더 극심했다"고 평가한 데 이어 "최악의 시나리오는 비트코인이 7월 말 2만8000달러, 8월 말 4만7000달러에 도달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19. [언스트앤영, 이더리움 기반 블록체인 프로토콜 나이트폴 3 출시]


1일(현지시간) 글로벌 회계 법인 언스트 앤 영(E&Y)이 이더리움 기반 블록체인 프로토콜 나이트폴(Nightfall) 3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해당 프로토콜은 ZK-옵티마이스틱 롤업(ZK-Optimistic Rollup) 방식을 통해 거래 효율성을 높인다. 이와 관련 E&Y은 "나이트폴 3은 ERC-20 토큰 전송 비용을 기존의 8분의 1로 낮췄으며 보다 강력한 프라이버시 보호도 가능할 것"이라며 "아울러 개발자들에게 다른 토큰 거래 툴과 유사한 API를 제공해 편의성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20. [中 청두시, 시민에게 1200만 위안 상당 디지털 위안화 지급 계획]


2일 중국 매체 매일경제신문에 따르면 청두 정부가 시민들에게 1200만 위안(약 21억 원) 상당의 디지털 위안화를 지급한다고 밝혔다. 청두는 친환경 여행 패키지를 마련, 지하철이나 버스, 자전거 등을 타고 여행하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디지털 위안화를 받을 수 있는 쿠폰을 지급할 예정이다. 신청은 3일부터 이틀 간 진행되며 당첨 결과는 8일 확인 가능하다. 앞서 지난달 29일 청두는 디지털 위안화를 이용한 대중교통 탑승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용자는 청두 대중교통 APP인 톈푸퉁(天府通)를 통해 디지털 위안화로 교통비를 결제할 수 있다


21. [빗썸·코인원·고팍스 "브로커 통한 상장?…허무맹랑한 소리"]


2일 한국경제의 단독 보도에 따르면 최근 한 국내 매체가 자신을 '거래소 상장 브로커'라고 주장하는 익명의 업체 관계자 발언을 인용, 브로커들이 가상자산(암호화폐) 발행부터 거래소 상장, 시세 조종까지 가능하며, 작업한 코인들이 실제로 거래되고 있다고 보도한 데 대해 빗썸·코인원·고팍스 등 거래소들은  "애당초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반박했다. 가상자산 업계 전문가들은 "실체가 존재하지 않는 프로젝트가 심사를 통과해 상장될 가능성은 없으며, 브로커가 개입할 수 있는 구조도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당국 컨설팅, 은행 실사 등 감독기관의 전방위적인 감시와 조사가 진행중인데 대형거래소들이 상장피를 받고 브로커를 통해 상장을 진행하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라고 말했다.

원문보기: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07022533g


22. [태국 금융당국, 바이낸스에 '무허가 영업' 형사소송 제기]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태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2일 공식 성명을 통해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를 상대로 '무허가 디지털 자산 사업 운영' 혐의로 형사소송을 제기하고 수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태국 SEC는 "바이낸스는 사용자의 주문을 체결시키거나 거래 상대방을 주선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또 바이낸스는 페이스북 등 바이낸스 타이 커뮤니티를 통해 사용자를 유치했다. 이에 따라 지난 4월 바이낸스에 경고문을 발송해 서면 답변서를 제출하도록 요청했지만, 우리는 지정된 기간 내에 답변을 받지 못했다. 태국 현지법에 따라 암호화폐 거래, 교환, 예금, 양도, 인출 또는 관련 서비스는 반드시 라이선스를 취득한 업체만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케이맨 제도 통화당국은 1일(현지 시간) "바이낸스, 바이낸스 그룹 및 바이낸스 홀딩스 등 기업은 케이맨 제도 내에서 암호화폐 거래소를 운영할 수 있는 라이선스 또는 허가가 없다"며 규제 단속을 예고한 바 있다.


23. [바이낸스 "케이맨 등록 법인, 암호화폐 거래 활동 안 해"]


2일 코인게이프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의 대변인이 "바이낸스는 케이맨 제도에서 암호화폐 거래소를 운영하지 않는다"며 "케이맨 제도 법 규정에 따라 등록한 법인은 암호화폐 거래 활동과는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다. 앞서 1일(현지시간) 케이맨 제도 통화당국(CIMA)은 공식 사이트를 통해 "바이낸스, 바이낸스 그룹 및 바이낸스 홀딩스 등 기업은 케이맨 제도 내에서 암호화폐 거래소를 운영할 수 있는 라이선스 또는 허가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 CIMA는 "2020년 개정된 케이맨 제도 기업법에 따라 케이맨 제도 내에서 운영되는 모든 암호화폐 관련 기업은 당국에 등록되거나 라이선스를 획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4. [데이터 "디파이 암호화폐 락업 규모 1,000억 달러 돌파"]


암호화폐 데이터 플랫폼 크립토랭크에 따르면, 6월말 기준 탈중앙화 금융(DeFi) 플랫폼에 예치된 암호화폐 자산 규모가 1,176억 달러를 기록하며 1,000억 달러를 돌파했다. 이는 지난해 6월 7.73억 달러 대비 약 15170% 증가한 수치다. 그중 이더리움 체인에 예치된 자산 규모가 800억 달러를 기록하며 가장 많은 점유율을 나타냈고,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BSC)에 예치된 자산은 약 134억 달러로 나타났다. 


25. [3시간 동안 채굴된 비트코인 블록 수 6개 불과]


비토크가 비티씨닷컴 데이터를 인용, 오늘 오후 2시 50분부터 5시 50분까지 3시간 동안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채굴된 블록 수는 6개에 그쳤다고 전했다. 689,385번 블록~689,386번 블록 간 생성간격은 약 1시간에 달했다.


26. [크립토 메시아 "다음 강세장까지 시간 걸릴 수도"]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유명 암호화폐 고래이자 애널리스트, 트레이더인 크립토 메시아(Crypto Messiah)가 Hxro Labs와 인터뷰에서 "다음 암호화폐 강세장이 시작되기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사람들이 너무 빠르게 흥분했다고 생각한다. 이것이 더블 버블이라면 다시 상승하기까지 몇 개월이 소요될 것 같다"고 말했다. 다만 디파이(탈중앙 금융)에 대해서는 현재 대폭 할인된 것 같다고 진단했다. 그는 "디파이의 흥미로운 점 중 하나는 다른 것들이 없을 때 디파이를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이라며 디파이 분야 최고 프로젝트 중 하나로 아베(AAVE)를 꼽았다.


27. [2Q 비트코인 40% 하락.. 최근 7년 중 최악]


8btc가 스큐 데이터를 인용, 2분기 비트코인이 40.37% 하락하며 2014년 이후 역대 2분기 중 최악의 성적을 냈다고 전했다. 1분기에 비트코인은 102.93% 상승하며 약 7년 동안 모든 1분기 중 최고의 상승률을 기록했었다. 일부 평론가는 "우리는 지금 전례 없는 시장 사이클을 겪고 있다. 과거의 경험은 이제 더 이상 주효하지 않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28. [실시간 암호화폐 자금 흐름] - 저녁 7시기준


-최근 18시간 자금 순유입 TOP 3

1위. DOGE(+ 1537.58만 달러)

2위. BCH(+ 1157.19만 달러)

3위. SUNOLD(+ 923.98만 달러)


-최근 18시간 자금 순유출 TOP 3

1위. BTC(-3.05억 달러)

2위. ETH(-2534.2만 달러)

3위. BNB(-2410.65만 달러)


29. [BIS 보고서 "교육 수준 높을수록 암호화폐 보유 가능성 커진다"]


전세계 중앙은행을 대표하는 국제결제은행(BIS)이 목요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서 "암호화폐는 법정통화나 규제 금융의 대안이 아닌 틈새를 노린 디지털 투기 프로젝트"라고 밝혔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BIS는 보고서에서 미국 내 암호화폐 투자는 주류 금융업계에 대한 불신 때문이 아니라 수익을 추구하기 위한 행위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암호화폐 보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덧붙였다. 교육 기간이 1년씩 늘 때마다 금융시장 참여도가 2% 증가한다는 조사 결과가 있는데, 암호화폐 시장도 이와 마찬가지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한편 XRP, ETH 보유자가 가장 교육 수준이 높으며, LTC 보유자는 교육 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BTC 보유자는 중간 수준이었다. XRP, ETH, XLM 홀더는 가장 부유한 암호화폐 보유자일 가능성이 높다고 미디어는 설명했다. 또한 암호화폐 보유자의 가계소득은 평균치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보고서 제목은 "불신인가 투기인가? 미국 암호화폐 투자의 사회경제적 동기(Distrust or speculation? The socioeconomic drivers of US cryptocurrency investments)다. 


30. [6월 암호화폐 거래소 현물 거래량, 2월 이후 처음으로 1조달러 하회]


더블록 데이터에 따르면 6월 규제 적격 암호화폐 거래소(CEX) 현물 거래량이 9583억달러를 기록하며 5월 대비 56% 감소했다. 올해 2월 CEX 현물 거래량이 1조달러를 돌파한 이후 처음으로 1조달러를 밑돌았다. 시장 점유율은 바이낸스(69.7%), 코인베이스(8%), FTX(4.2%) 순이었다.

목록 스크랩 (0)
댓글 2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아이깨끗해 x 더쿠🩵] 휴가 필수품 어프어프 디자인 보냉백&비치백 굿즈 구성! <아이깨끗해x어프어프 썸머 에디션> 체험 이벤트 680 06.10 77,930
공지 공지접기 기능 개선안내 [📢4월 1일 부로 공지 접힘 기능의 공지 읽음 여부 저장방식이 변경되어서 새로 읽어줘야 접힙니다.📢] 23.11.01 4,319,229
공지 비밀번호 초기화 관련 안내 23.06.25 5,085,801
공지 ◤더쿠 이용 규칙◢ 20.04.29 21,538,462
공지 성별관련 공지 (언급금지단어 필수!! 확인) 16.05.21 22,768,636
공지 알림/결과 주식의 시작 - 증권 계좌 개설하기 34 23.07.25 27,807
공지 알림/결과 주식 처음이라서 매도매수 1도 모르겠는 주린이 들어와봐 주식 사팔하는 법 알랴줌 77 22.01.20 75,499
공지 알림/결과 ★주린이를 위한 LG에너지솔루션 질문/답변★ 190 22.01.14 72,009
공지 스퀘어 📈🔺쥬쥬 슬로건 및 짤모음🔺📈 86 21.02.01 105,367
공지 알림/결과 💍👠👑👸쥬쥬님덜 명단👸👑👠👛 1280 21.01.31 101,232
공지 알림/결과 주식 카테고리 오픈 33 21.01.31 85,800
모든 공지 확인하기()
199 스퀘어 코인 이란 이스라엘 공격 개시 9 04.14 1,535
198 스퀘어 코인 [단독] 가상자산거래소 코인 90% 거래 금지되나..금융위 '증권형코인' 규제 추진 5 22.06.28 989
197 스퀘어 코인 권도형 '테라 부활' 발언…도지코인 개발자 "업계 떠나라" 2 22.05.16 952
196 스퀘어 코인 바이낸스 테라 루나 상장폐지 23 22.05.13 2,924
195 스퀘어 코인 한은, 디지털화폐 갤럭시에 심는다…"아이폰에는 계획 없다" 22.01.24 312
194 스퀘어 코인 그레이스케일 "SEC, 비트코인 현물 ETF 계속 거부하는 건 위법" 21.12.01 167
193 스퀘어 코인 영원한 1등은 없다?…예사롭지 않은 빗썸의 업비트 추격 1 21.11.29 762
192 스퀘어 코인 가상자산 과세 1년 유예·양도세 완화 잠정 합의…오후 기재소위 21.11.29 190
191 스퀘어 코인 카카오의 그라운드X, "NFT-글로벌로 '클레이튼 2.0' 도약" 1 21.11.22 221
190 스퀘어 코인 카카오, 블록체인 개발사 휴먼스케이프 인수…이르면 오늘 계약 2 21.11.18 356
189 스퀘어 코인 클레이냐, 보라냐…카카오 NFT 코인 누가 웃을까? “경쟁과 협력 관계” 맞나? 1 21.11.05 485
188 스퀘어 코인 하이브 방시혁 "두나무와 합작법인 통해 팬 대상 NFT 사업 전개" 2 21.11.04 334
187 스퀘어 코인 [단독] 신한은행, 코인빗 계좌 입금정지 "초읽기"…회원 이탈 불가피 3 21.08.24 680
186 스퀘어 코인 알고보면 쓸모있는 정보- 7월 6일 오늘의 아침뉴스 3 21.07.06 424
185 스퀘어 코인 알고보면 쓸모있는 정보 - 7월 5일 오늘의 마감 뉴스 2 21.07.05 402
184 스퀘어 코인 알고보면 쓸모있는 정보 - 7월 5일 오늘의 저녁 뉴스 2 21.07.05 322
183 스퀘어 코인 알고보면 쓸모있는 정보 - 7월 5일 오늘의 정오 조금 지난 뉴스 3 21.07.05 393
182 스퀘어 코인 알고보면 쓸모있는 정보- 7월 5일 오늘의 아침뉴스 1 21.07.05 224
181 스퀘어 코인 알고보면 쓸모있는 정보 - 7월 3일 오늘의 마감 뉴스 6 21.07.03 461
180 스퀘어 코인 알고보면 쓸모있는 정보 - 7월 3일 오늘의 아침뉴스 2 21.07.03 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