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스퀘어 코인 알고보면 쓸모있는 정보 - 6월 25일 오늘의 저녁 뉴스
195 0
2021.06.25 20:10
195 0

오늘의 저녁 뉴스


1. [블록원, 계약업체에 8.3만 EOS 이체]


EOSIO 개발사 블록원이 트위터를 통해 계약업체에 8.3만 EOS를 이체했다고 전했다.


2. [보스아고라, ‘메타캠퍼스 시티 부산’ 구축을 위한 교류 협력 협약 체결]


메타시티포럼의 상임대표를 맡고 있는 보스아고라가 부산혁신공정교육포럼,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과 ‘메타캠퍼스 시티 부산’ 구축을 위한 교류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메타캠퍼스 시티 부산’은 메타버스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혁신적인 교육 서비스와 공정한 학습기회를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인 부산시 내에서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부산혁신공정교육포럼,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타시티포럼, 블록체인리서치인스티튜트 코리아(BRI Korea) 총 4개의 기관이 참여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메타에듀 콘텐츠 개발, 메타캠퍼스 투어 개발, 메타아고라 구축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3. [디파이 프로토콜 임퍼맥스, 폴리곤에 배치]


25일 오데일리에 따르면 디파이 프로토콜 임퍼맥스(Impermax·IMX)가 폴리곤에 배치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퀵스왑 유동성 공급자(LP)들의 비영구적 손실을 방지하고 채굴 수익의 최대 50배까지 레버리지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IMX는 현재 16.42% 오른 0.13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4. [갤럭시 디지털 공동책임자 "비트코인, 잘하면 연말 7만 달러 간다"]


25일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암호화폐 금융 서비스 및 투자운용사 갤럭시 디지털의 제이슨 어반 공동책임자가 "비트코인에 대한 퍼드(FUD)가 올 가을까지 사라지면 사상 최고가를 기록할 것"이라며 "연말까지 7만 달러를 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암호화폐의 제도적 도입은 초기 단계"라며 "규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다수 기관이 암호화폐 시장에 진입하길 꺼려했으나 일단 진입하면 비트코인의 제한된 공급 대비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 사상 최고치에 도달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5. [애널리스트 "파나소닉, 테슬라 주식 매각... 암호화폐 가격 상승 영향"]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일본 파나소닉이 지난 3월 말 기준 보유하고 있던 테슬라 주식을 모두 매각했다. 매각 대금은 4000억 엔(약 4조702억 원) 규모로 추정된다. 히데키 야스다 에이스 리서치 애널리스트는 "암호화폐 가격 급등으로 테슬라 주가가 동반 상승하면서 파나소닉이 적절한 매도 타이밍을 잡은 것 같다"고 분석했다. 


6. [빗썸, GOM2 투자유의종목 지정 해제.. SOC 지정 연장]


빗썸이 고머니2(GOM2) 투자유의종목 지정을 해제하고, 소다코인(SOC) 지정을 연장한다고 공지했다. GOM2 입금은 15시 재개됐다. 


7. [전날 이더리움 가스비 급감]


토큰뷰에 따르면 전날(6/24) 이더리움 가스비(수수료) 총합이 1909.7 ETH(약 366.78만달러)를 기록, 이틀 전 대비 71% 급감했다. 트랜잭션당 평균 가스비는 약 0.00158 ETH로, 이틀 전 대비 68.4% 감소했다.


8. [남아공, 암호화폐 금융상품으로 인정 검토]


25일 남아공 매체 IOL에 따르면 남아공 금융행위감독기구(FSCA)가 암호화폐를 금융 상품으로 간주할 것인지 대해 검토 중이다. 최근 남아공에서 발생한 암호화폐 관련 사기 범죄 처벌을 위함이다. 앞서 2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은 남아공에서 쌍둥이 형제가 ‘아프리크립트’(Africrypt)라는 가상자산 펀드회사를 설립해 고객들로부터 36억 달러 규모의 비트코인을 갈취한 의혹이 있다고 보도했다. 남아공 금융 당국도 해당 사건을 인지하고 있으나 암호화폐가 금융 상품으로 간주되지 않기 때문에 공식 조사에는 착수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FSCA는 "암호화폐를 금융 상품으로 볼 것인지 대해 잠재적 우려가 남아있다"고 언급하며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 


9. [미러 프로토콜, V2 메인넷 출시] 


합성자산 프로토콜 미러 프로토콜(MIR)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V2 메인넷을 출시했다고 공지했다. △Pre-IPO 자산 △거버넌스 참여 보상 △거버넌스 투표 정족수 △신규 담보물 옵션 △Mint/Short LP 토큰 등 업데이트가 이뤄졌다.


10. [美 SEC, 리플 측 '전 SEC 직원' 증인 요청 기각 신청]


25일 크립토뉴스플래시에 따르면 리플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소송에서 현지 법원에 증인으로 신청한 '전 SEC 직원'이 빌 힌먼 전 SEC 재무국장인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리플은 이번 사건의 증인 중 한 명으로 전 SEC 직원을 세울 것을 법원에 요청했다. 하지만 SEC 측은 빌 힌먼의 증인 신청을 기각해 달라고 법원에 신청한 상태다. 빌 힌먼은 과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증권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에 SEC는 "이는 그의 개인적 입장을 표명한 것일뿐 SEC의 공식 입장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은 바 있다.


11. [팬케이크버니, 폴리곤 프리 론칭 유동성 이벤트 조기 종료]


8btc에 따르면 BSC(바이낸스스마트체인) 기반 디파이 수익 애그리게이터 팬케이크버니가 폴리곤 프리 론칭 유동성 이벤트가 6월 23일부터 시작됐으며, ETH 프리 론칭 유동성 목표에 빠르게 가까워지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목표한 유동성이 초과되지 않기 위해 기존 종료일보다 앞당겨 유동성 이벤트를 종료한다고 밝혔다. 공급된 총 유동성이 3000 ETH에 도달하거나 6월 27일 9시가 되면 유동성 이벤트가 종료된다. 이후 폴리곤 팬케이크버니 풀 리스트는 6월 29일 11시에 오픈되고, polyBUNNY-ETH 풀 파밍은 7월 1일 9시~11시 사이 시작될 예정이다.


12. [팬케이크스왑 거래량 폭증, 고액 재정거래 영향]


Debank 데이터에 따르면 오늘 팬케이크스왑 거래량이 14.66억 달러를 기록하며 탈중앙 거래소(DEX) 총 거래량의 85.99%를 점유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팬케이크스왑에서 발생한 2건의 고액 아비트리지(재정거래)로 인해 거래량이 폭증했다"고 설명했다.


13. [콜롬비아 보고타, 3조원 규모 블록체인 투자 프로젝트 착수]


25일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콜롬비아 수도 보고타 정부가 28억 달러(약 3조 원) 규모의 블록체인 투자 프로젝트 '허브 블록체인 보고타'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 스타트업 100여 곳에 각각 1000~5000만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클라우디아 로페즈 시장은 "이번 프로젝트는 보고타를 스마트 시티로 육성하기 위한 대형 이니셔티브의 일부"라고 설명했다.


14.  [김은혜 국민의힘 의원 “코인 규제? 코인 인정부터 하라”]


25일 서울경제에 따르면 김은혜 국민의힘 의원이 정부·여당의 암호화폐 거래소 ‘등록·인가제’ 전환 논의와 관련해 “코인을 규제하려면 인정부터 하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이날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정부·여당은) 가상화폐 시장에 손 놓고 있다가 뒤늦게 매부터 들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규제란 인정의 다른 말”이라며 “코인을 인정해야 코인 시장 규제도 말이 된다는 뜻”이라 적었다.


15. [피터 브랜트 "XRP, 헤드앤숄더 패턴 따라 하락 가능성"]


유투데이에 따르면, 2018년 암호화폐 약세장을 예견한 미국의 베테랑 암호화폐 트레이더 피터 브랜트(Peter Brandt)가 최근 트위터를 통해 "XRP/BTC 추세는 헤드앤숄더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 XRP 가격은 역대 최저 수준으로 하락할 수 있다"고 말했다.


16. [MEXC, 28일 'MX DeFi' 세션 66번째 프로젝트 TON 상장]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MEXC가 방금 전 공식 사이트를 통해 한국시간 기준 28일 19시 'MX DeFi' 세션의 66번째 프로젝트로 톤크리스탈(TON)을 USDT 마켓에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또 사용자는 25일 21시부터 28일까지 MX, TRX, USDT 등을 마이닝 풀에 스테이킹해 TON을 채굴할 수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TON은 현재 2.14% 내린 0.501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17. [우크라이나 중앙은행, 정부에 암호화폐 규제법 시행 촉구]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뉴스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중앙은행 관리위원회가 최근 정부에 암호화폐 규제법 시행을 서둘러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와 관련 우크라이나 중앙은행 관리위원회는 "암호화폐 거래가 뚜렷하게 증가하면서,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금융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규제법 시행이 시급하다. 또 중앙은행 이사회는 암호화폐가 통화 정책, 금융 안정성, 결제 기술 개발, 규제 등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조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8. [퍼포즈 비트코인 ETF, 최근 1개월 일평균 86.15 BTC 매입]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캐나다 자산운용사 산하 비트코인 ETF가 지난 5월 15일부터 6월 24일까지 일평균 86.15 BTC, 총 3,446 BTC를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퍼포즈 비트코인 ETF는 21,114 BTC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약 7.2억 달러 규모다. 이와 관련 코인텔레그래프는 "퍼포즈 비트코인 ETF는 BTC 가격이 약세 흐름을 타고 하락할 때 일평균 300만 달러 규모의 BTC를 매집했다. BTC 달러 가격이 개당 3만 달러 아래로 떨어진 뒤에도 퍼포즈 비트코인 ETF의 BTC 보유량이 감소하거나 수요가 감소하진 않았다"고 설명했다.


19. [유럽연합 암호화폐 규제안 MiCA, 주요 규제 기관으로 스페인 중앙은행 지정]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유럽연합의 암호화폐 규제안 MiCA(Europe’s Markets in Crypto-Assets Regulation)의 최신 개정안에서 스페인 증권시장위원회(CNMV)와 스페인 중앙은행이 주요 규제기관으로 지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개정안은 "유럽연합 관할 내 암호화폐 서비스 제공사들은 유럽 국가에 기반을 두고 있어야 한다. 다만 이번 규제안에는 NFT가 포함되지 않는다"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20. [펙실드 "임파서블 파이낸스 플래시론 공격자, 일부 도난금 반환"]


블록체인 보안 전문 업체 펙실드(PeckShield)가 25일 공식 채널을 통해 "임파서블 파이낸스(Impossible Finance)에 플래시론 공격을 감행해 자금을 빼돌린 공격자가 도난금 중 일부인 35.7만 달러 규모의 BNB를 반환했다. 도난금 중 10만 달러 규모의 암호화폐는 버그 바운티 보상으로 자신이 갖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전했다. 또 펙실드는 "공격자는 또 자신이 공격한 일레븐 파이낸스에 대해서도 25.9만 달러 규모의 도난금을 반환했으며, 버그 바운티 보상 성격으로 25.1만 달러 규모의 암호화폐를 남겨두겠다고 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펙실드는 디파이 인큐베이팅 플랫폼 임파서블 파이낸스가 플래시론 공격에 노출돼 49.7만 달러 규모의 암호화폐를 도난당했다고 밝힌 바 있다.


21. [넴, 심볼 노드 소프트웨어 1.0.1.0 버전 출시]


넴(XEM, 시총 67위)이 25일 공식 트위터를 통해 산하 네트워크 심볼(XYM, 시총 216위)의 노드 소프트웨어 1.0.1.0 버전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심볼 노드 운영자는 해당 버전 업데이트를 통해 서버 업그레이드를 적용할 수 있다는 게 넴 측의 설명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XYM은 현재 1.98% 오른 0.108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22. [오태림 글루와 대표 ‘넥스트라이즈 2021 서울’ 연사로 참여]


블록체인 기반 핀테크 기업 글루와(Gluwa)가 오는 28일 국내 최대 스타트업 행사 '넥스트라이즈 2021'에서 제3세계의 니즈, 신용평가모델과 개발도상국, 글루와의 비전과 전략 등을 발표한다. 오태림 글루와 대표는 28일 오전에 열리는 ‘얼터너티브 스타트업(Alternative startup)’ 세션에 연사로 참여해 ‘모든 곳에 은행이 있을 수 없기에 블록체인을 만들다’란 주제로 발표를 할 예정이다. 글루와는 낙후된 금융 인프라 때문에 신용기록이 없고, 이 때문에 대출이나 신용카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던 아프리카 사람들에게 대출이나 신용카드 결제 등 생활자금 목적의 소액 단기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오 대표는 강연에서 아프리카, 동남아 등 개발도상국가들을 비즈니스 대상으로 선택하게 된 배경과 ▲제3세계의 니즈 ▲신용기록과 개발도상국 ▲블록체인과 기술혁신에 대해 발표한다. 글루와 주요 사업인 ▲글루와 월렛 ▲크레딧코인 ▲글루와 캐피탈 ▲에코시스템 등 글루와가 지향하는 소셜임팩트의 가치와 비전을 제시할 예정이다.


23. [실시간 암호화폐 자금 흐름] - 저녁 7시기준


-최근 18시간 자금 순유입 TOP 3

1위. BTC(+1.6억 달러)

2위. SOL(+1624.35만 달러)

3위. ETC(+1321.57만 달러)


-최근 18시간 자금 순유출 TOP 3

1위. BNB(-4722.31만 달러)

2위. ETH(-3642.18만 달러)

3위. ADA(-3259.31만 달러)


24. [마블 엔터테인먼트, 자체 NFT 출시]


마블 엔터테인먼트(Marvel Entertainment, LLC)가 24일(현지 시간) 공식 사이트를 통해 자체 NFT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마블 측은 이와 관련 "NFT 발행을 위해 블록체인 기업 오비스 블록체인(Orbis Blockchain Technologies Limited)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마블 팬들은 Veve 플랫폼에서 마블의 공식 NFT 디지털 컬렉션, 3D 조각상, 디지털 만화책 등을 구매하고 거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25. [전날 거래소 유입 스테이블코인 물량, 역대 최고 수치 경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유투데이에 따르면, 암호화폐 투자사 모스코프스키캐피탈(Moskovski Capital)의 최고투자책임자(CIO)인 렉스 모스코프스키(Lex Moskovski)가 24일(현지 시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중앙화 거래소에 유입된 스테이블코인 물량이 170억 달러에 달하며 역대 최고 수치를 기록했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거래소로 유입된 스테이블코인은 BTC 구매에 사용됐을 가능성이 있다. 해당 데이터를 보면 22일 비트코인 가격이 2.8만 달러대까지 하락한 뒤 현재 3.4만 달러까지 빠르게 회복한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26. [금융당국, 빗썸·코인원·코빗 실사 종료…업비트는 여전히 ‘조율 중’]


매일 경제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실명계좌를 확보한 4대 거래소 중 업비트를 제외한 나머지 3곳인 빗썸, 코인원, 코빗 등에 대한 현장 컨설팅을 최근 마쳤다. 3사와 다르게 업비트는 여전히 금융당국과 현장 컨설팅 일정을 조율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3사 관계자들에 따르면 현장 컨설팅에 대한 총평은 문서 형태가 아닌 구두 형태로 전달됐다. 3사 관계자들은 “예상과 다르게 총평에 대한 내용은 문서가 아닌 구두로 정리 받았다”며 “6일간 진행된 컨설팅에 대한 느낀 점을 파트별로 간단히 정리해줬고 이슈가 될만한 큰 내용은 없었다”고 입을 모았다. 한편 업비트는 4대 거래소 중 유일하게 현장 컨설팅을 받지 못한 상황이다. 업비트 관계자는 “현장 컨설팅에 대한 신청은 이전에 했으나 아직 일정을 조율 중”이라며 “4대 거래소 나머지 3곳이 현장 컨설팅을 이미 마친 만큼 후속주자로서 잘 마무리하겠다”고 의견을 밝혔다.


27. [리서치 "체인링크 네트워크 성장률, 지난해 10월 이후 최저 수준"]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이더리움월드뉴스(이하 ENW)가 25일 암호화폐 데이터 분석 업체 샌티멘트 분석 보고서를 인용 "최근 체인링크(LINK, 시총 15위)의 네트워크 성장률이 2020년 10월 이후 최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보고서는 "체인링크 일일 활성 주소 수는 지난 4월 1.3만 개를 기록한 반면, 24일 기준 약 5,000 개를 기록하며 지난해 10월 이후 최저 수치를 기록했다. 암호화폐 거래소로 유입되는 LINK 물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 기술적 분석 관점에서 LINK 가격은 200일 및 50주 이동평균보다 낮은 가격대를 나타내고 있다. 체인링크 네트워크의 활성도가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체인링크와 상호 작용 중인 LINK 주소도 지속적인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LINK는 현재 2.06% 내린 18.0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목록 스크랩 (0)
댓글 0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영화이벤트] 당신의 운명을 뒤집어보시겠습니까? 영화 <타로>예매권 증정 이벤트 196 06.03 23,624
공지 공지접기 기능 개선안내 [📢4월 1일 부로 공지 접힘 기능의 공지 읽음 여부 저장방식이 변경되어서 새로 읽어줘야 접힙니다.📢] 23.11.01 4,158,168
공지 비밀번호 초기화 관련 안내 23.06.25 4,865,163
공지 ◤더쿠 이용 규칙◢ 20.04.29 21,331,567
공지 성별관련 공지 (언급금지단어 필수!! 확인) 16.05.21 22,504,603
공지 알림/결과 주식의 시작 - 증권 계좌 개설하기 33 23.07.25 26,118
공지 알림/결과 주식 처음이라서 매도매수 1도 모르겠는 주린이 들어와봐 주식 사팔하는 법 알랴줌 76 22.01.20 73,545
공지 알림/결과 ★주린이를 위한 LG에너지솔루션 질문/답변★ 190 22.01.14 71,244
공지 스퀘어 📈🔺쥬쥬 슬로건 및 짤모음🔺📈 86 21.02.01 101,752
공지 알림/결과 💍👠👑👸쥬쥬님덜 명단👸👑👠👛 1279 21.01.31 101,232
공지 알림/결과 주식 카테고리 오픈 33 21.01.31 84,688
모든 공지 확인하기()
199 스퀘어 코인 이란 이스라엘 공격 개시 9 04.14 1,535
198 스퀘어 코인 [단독] 가상자산거래소 코인 90% 거래 금지되나..금융위 '증권형코인' 규제 추진 5 22.06.28 989
197 스퀘어 코인 권도형 '테라 부활' 발언…도지코인 개발자 "업계 떠나라" 2 22.05.16 951
196 스퀘어 코인 바이낸스 테라 루나 상장폐지 23 22.05.13 2,924
195 스퀘어 코인 한은, 디지털화폐 갤럭시에 심는다…"아이폰에는 계획 없다" 22.01.24 312
194 스퀘어 코인 그레이스케일 "SEC, 비트코인 현물 ETF 계속 거부하는 건 위법" 21.12.01 167
193 스퀘어 코인 영원한 1등은 없다?…예사롭지 않은 빗썸의 업비트 추격 1 21.11.29 762
192 스퀘어 코인 가상자산 과세 1년 유예·양도세 완화 잠정 합의…오후 기재소위 21.11.29 189
191 스퀘어 코인 카카오의 그라운드X, "NFT-글로벌로 '클레이튼 2.0' 도약" 1 21.11.22 221
190 스퀘어 코인 카카오, 블록체인 개발사 휴먼스케이프 인수…이르면 오늘 계약 2 21.11.18 356
189 스퀘어 코인 클레이냐, 보라냐…카카오 NFT 코인 누가 웃을까? “경쟁과 협력 관계” 맞나? 1 21.11.05 485
188 스퀘어 코인 하이브 방시혁 "두나무와 합작법인 통해 팬 대상 NFT 사업 전개" 2 21.11.04 334
187 스퀘어 코인 [단독] 신한은행, 코인빗 계좌 입금정지 "초읽기"…회원 이탈 불가피 3 21.08.24 680
186 스퀘어 코인 알고보면 쓸모있는 정보- 7월 6일 오늘의 아침뉴스 3 21.07.06 424
185 스퀘어 코인 알고보면 쓸모있는 정보 - 7월 5일 오늘의 마감 뉴스 2 21.07.05 402
184 스퀘어 코인 알고보면 쓸모있는 정보 - 7월 5일 오늘의 저녁 뉴스 2 21.07.05 322
183 스퀘어 코인 알고보면 쓸모있는 정보 - 7월 5일 오늘의 정오 조금 지난 뉴스 3 21.07.05 393
182 스퀘어 코인 알고보면 쓸모있는 정보- 7월 5일 오늘의 아침뉴스 1 21.07.05 224
181 스퀘어 코인 알고보면 쓸모있는 정보 - 7월 3일 오늘의 마감 뉴스 6 21.07.03 461
180 스퀘어 코인 알고보면 쓸모있는 정보 - 7월 3일 오늘의 아침뉴스 2 21.07.03 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