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마감 뉴스
1. 프랑스 중앙은행, CBDC 기반 증권 결제 테스트 완료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프랑스 중앙은행이 스위스 암호화폐 은행 SEBA와 성공적으로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 테스트를 완료했다고 월요일 발표했다. 이번 테스트에선 CBDC를 사용해 유럽 증권 및 대금 동시결제시스템 T2S 상의 상장 유가증권 결제와 딜리버리를 시뮬레이션했다. SEBA 외에 룩셈부르크에서 가장 오래된 민간은행인 Banque Internationale à Luxembourg, 룩셈부르크 증권중앙예탁기관 LuxCSD가 테스트에 참여했다. 프랑스 금융안정운영 총괄은 이번 CBDC 테스트가 기존 금융 시스템과 탈중앙 시스템의 상호작용 가능성을 입증했다고 말했다.
2. BCA리서치 전략가, 비트코인 적법성 지적
핀볼드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 리서치 및 투자 전략 자문을 제공하는 BCA 리서치 최고글로벌전략가 피터 브레진(Peter Brezin)이 비트코인은 불법 거래에 많이 사용되므로 사기에 가깝다고 킷코 뉴스와 인터뷰에서 말했다. 그는 랜섬웨어 등에서 비트코인의 역할에 대해 투자자들이 우려해야 한다며, 이 같은 단점이 다른 이슈와 맞물려 비트코인을 사라지게 만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환경 문제 또한 비트코인의 최대 단점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3. 中 농업은행, 삭제했던 암호화폐 거래 금지 공지문 재게재
중국 4대 국영은행 중 하나인 농업은행이 오늘 삭제했던 암호화폐 거래 금지 공지문을 다시 게재했다. 해당 성명에서 농업은행은 "농업은행은 암호화폐 관련한 어떤 사업도 전개하거나 참여하고 있지 않으며, 향후 고객 및 자금 거래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 고객의 암호화폐 거래 참여를 엄격 차단할 것"이라며 "만약 조사를 통해 암호화폐 관련 거래 참여 내역이 발견된 고객은 계좌 동결, 관련 부문 신고 등 엄격 조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로써 인민은행이 약담(사전 약속을 잡아 진행하는 조사와 교육)을 진행한 모든 은행, 결제기관은 가상화폐 거래 금지 공지문을 게시했다. 약담 대상은 공상은행, 건설은행, 우정저축은행, 흥업은행, 농업은행, 알리페이다. 오늘 중국 인민은행은 가상화폐 거래, 투기와 연관된 서비스 제공 문제와 관련 일부 은행과 결제기관에 대해 약담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4. 모건스탠리, 블록체인 기업에 첫 투자.. 시큐리타이즈 4800만 달러 시리즈 B 투자유치
유투데이에 따르면 모건스탠리가 블록체인 기업에 처음으로 투자했다. 모건스탠리는 블록체인 캐피털과 함께 증권형 토큰 플랫폼 시큐리타이즈(Securitize)의 시리즈 B 펀딩 라운드를 주도, 4800만 달러를 모금했다. 아바랩스, IDC벤처스, 마이그레이션 캐피털, NFTT 데이터, 미쓰이스미토모 은행 등이 해당 라운드에 참여했다. 모건스탠리, 블록체인 캐피털은 자체적으로 얼마나 투자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모건스탠리 택티컬 밸류 인베스팅(Tactical Value Investing) 공동 책임자 Pedro Teixeira, 블록체인 캐피털 고위임원이 시큐리타이즈 이사회에 합류할 예정이다. 한편 100개사가 넘는 회사들이 시큐리타이즈를 통해 후원자를 찾고 있으며, 30만명 이상의 투자자들이 스타트업 주식을 취득하기 위해 시큐리타이즈 계정을 개설했다.
5. 마이크로스트래티지, 13005 BTC 추가 매수.. 4.89억 달러 상당
마이크로스트래티지 CEO 마이클 세일러가 방금 전 트위터를 통해 4.89억 달러에 13005 BTC를 추가 매수했다고 전했다. 개당 37,617 달러에 비트코인을 매수했다고 설명했다. 이로써 6월 21일 기준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105,085 BTC를 보유 중이다. 평균매수단가는 26,080 달러다.
6. 바이비트 "이더리움 가스비, 6개월래 최저치 기록"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바이비트가 데일리 인사이트를 통해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평균 가스 수수료가 6개월 만에 최저치인 3.95달러에 도달했다고 전했다. 이는 지난달 사상 최고치의 10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바이비트는 "수수료 하락의 원인은 최근 몇 주간 온체인 거래량이 감소하고 이더의 가격이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바이비트는 또 "DeFi 공간에서의 프로토콜들은 전반적으로 하락 기조로 돌아섰고 NFT 시장의 열기도 식어가고 있다"고 진단했다.
7. CNBC 기자 "중국에서 미국으로 3000kg 상당 비트코인 채굴기 운송"
CNBC 기자 Eunice Yoon이 트위터를 통해 중국 광저우 소재 물류회사가 3000kg 상당 비트코인 채굴기를 미국 메릴랜드주로 옮기고 있다고 전했다. kg당 운송비는 최저 9.37달러로 알려졌다. 지난 5월 21일 류허 중국 부총리 주재로 열린 국무원 금융안정발전위원회 51차 회의에서 비트코인 채굴, 거래를 타격하겠다는 강경 원칙이 천명된 바 있으며, 이후 네이멍구, 칭하이성, 신장위구르자치구, 윈난성, 쓰촨성이 암호화폐 채굴장 폐쇄에 나섰다.
8. Whale Fall, 팬케이크스왑 첫 상장 후 48시간 내 시가총액 최대 500억원 기록
BSCSCAN에 따르면, 커뮤니티 거버넌스 프로젝트 Whale Fall이 팬케이크스왑에 처음으로 상장한 후 48시간 내 시가총액이 최대 약 500억원을 달성했다. 현재 WHALE 보유 주소는 9294개를 기록하고 있다. Whale Fall은 실험의 일환으로 상장 후 첫 24시간 이내 최고가 매수자 3명에게 총 2430억 WHALE을 지급했다고 밝혔으며, 글로벌 커뮤니티 모집 방안에 대한 커뮤니티 사용자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 BSC 주소와 함께 Whale Fall 공식 트위터에 댓글 형태로 아이디어를 남기면 당첨된 1명에게 1,000억 WHALE을 지급한다고 공지한 바 있다.
9. 페이스북 결제시스템 총괄 "中 채굴 금지, 비트코인에 훌륭한 발전 기회 제공"
페이팔 사장 출신의 페이스북 결제시스템(페이스북 파이낸셜) 총괄 데이비드 마커스가 중국의 비트코인 채굴 금지 결정이 비트코인에 훌륭한 발전 기회를 가져다줄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오늘 저녁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 마이닝 파워가 미국, 서구로 이동하는 것이 나쁜가? 중국의 채굴 금지는 비트코인에 훌륭한 발전 토대를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10. 스와이프 팀, 비너스 운영에서 손 떼
비토크에 따르면 BSC(바이낸스스마트체인) 기반 렌딩 플랫폼 비너스(Venus)가 5월 자금부족(Shortfall) 사태 이후 스와이프(Swipe) 팀이 비너스 운영에서 손을 뗐다고 전했다. 비너스는 프로젝트 개발, 운영, 커뮤니티 업무 추진을 위한 새로운 워킹그룹을 조성했다. 6월 24일 이전 V3 로드맵 초안이 공개될 예정이다. 비너스는 지난 5월 대규모 청산으로 인해 1억 달러의 악성 부채가 발생했다.
11. 中 채굴업체 BTCM, 카자흐스탄으로 채굴기 옮겨
8btc에 따르면 중국계 비트코인 채굴기업 BTCM(比特矿业)이 채굴기 320대를 카자흐스탄으로 옮겼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한 해시레이트는 약 18.2 PH/S다. 6월 27일부터 채굴기가 가동될 것으로 전망된다. 7월 1일 전까지 채굴기 2600대가 카자흐스탄에 추가로 옮겨질 예정이다. BTCM은 중국 쓰촨성 간쯔 전력 공급업체의 전력 공급 중단 통지를 받고 6월 19일 이 지역에 소재한 암호화폐 채굴장 운영을 중단한 상태다. 5월 기준 쓰촨 채굴장에서 발생한 매출은 BTCM 전체 매출의 3%를 차지했다.
12. 그레이스케일 모기업, 최대 5000만 달러 ETC신탁 주식 매입 계획 발표
그레이스케일 모회사 DCG(디지털커런시그룹)이 최대 5000만 달러 어치 그레이스케일 이더리움클래식 신탁(OTCQX: ETCG) 주식 매입 계획을 발표했다. DCG는 현금으로 공개시장에서 ETCG를 매입할 계획이다. 다만 특정 기간동안 특정 수량의 주식을 취득할 의무는 없으며, 언제든지 규모 확대, 기간 연장 또는 중단될 수 있다.
13. 오늘의 롱 vs 숏 - 오늘 11시 20분 기준
4시간
24시간
14. 지금 내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