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저녁 뉴스
1. 테더, 6월 들어 이더리움·트론 기반 USDT 신규 발행량 제로
암호화폐 데이터 플랫폼 토큰뷰에 따르면,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T 발행사 테더(USDT, 시총 3위)가 6월 1일 00시 이후 이더리움 및 트론 네트워크서 USDT를 신규 발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USDT 시가총액은 약 627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2. 피카, 업비트 상폐처분 유예 가처분 신청
21일 아시아투데이에 따르면 피카 프로젝트가 법원에 업비트의 상장 폐지 처분을 유예해 달라는 가처분 신청을 냈다. 이번 가처분 신청은 28일 상폐를 앞두고 있어 이번주 심문 기일이 잡힐 것으로 보인다. 피카 관계자는 “가처분 신청이 받아 들여지면 법원에서 강제 집행을 막아 상폐가 연기될 수 있다”고 말했다. 피카는 11일 업비트로부터 유의종목으로 선정된 뒤 일주일 만인 18일 상폐 처분을 통보 받았다.
3. 정부 손 놓은 사이...코인 환치기 22배↑
21일 서울경제가 국민의힘 유의동 의원실이 관세청으로부터 받은 ‘암호화폐를 이용한 환치기 등 외국환거래법 위반행위 단속현황’ 자료를 인용, 올 들어 5월까지 암호화폐 환치기를 하다 적발된 규모가 지난해 전체보다 22배 폭증했다고 전했다. 적발 건수는 7건, 액수로는 4,503억원이었다. 올 연간 규모는 2018년(10건·7,841억원)을 넘어 사상 최대가 될 전망이다. 관세청의 한 관계자는 “암호화폐가 외국환인지, 화폐인지 법상 정확한 정의가 안 돼 있어 적발한 것도 암호화폐가 아닌, 등록 없이 환전업을 한 것에 대해서만 처벌할 수 있다"고 말했다.
4. 美 부동산 거물 프랭크 맥코트, 탈중앙화 SNS '리버티'에 1억 달러 투자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미국 부동산 거물이자 전 LA다저 프로야구팀 구단주 프랭크 맥코트(Frank McCourt)가 최근 탈중앙화 SNS 프로젝트 리버티(Project Liberty)에 1억 달러를 투자한 것으로 전해졌다. 리버티 프로젝트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DSNP(Decentralized Social Networking Protocol)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출범한 프로젝트다. 이와 관련 프랭크 맥코트는 "우리의 SNS는 지속적으로 감시를 받고 있으며, 기존 SNS 플랫폼은 소수의 손에 엄청난 부와 권력이 축적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는 자본주의를 위협하는 행위"라고 말했다.
5. 中 농업은행 "고객 암호화폐 관련 거래 엄격 금지"
중국 현지 미디어에 따르면, 중국 4대 국영 은행 중 하나인 중국농업은행이 21일 공식 성명을 통해 "농업은행은 고객의 암호화폐 관련 거래를 엄격 금지한다"고 밝혔다. 해당 성명에서 중국농업은행은 "농업은행은 암호화폐 관련한 어떤 사업도 전개하거나 참여하고 있지 않으며, 향후 고객 및 자금 거래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 고객의 암호화폐 거래 참여를 엄격 차단할 것"이라며 "만약 조사를 통해 암호화폐 관련 거래 참여 내역이 발견된 고객은 계정동결, 관련 부문 신고 등 엄격 조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6. 그레이스케일 창업자 "위험한 한 주 될 것"
배리 실버트 그레이스케일 창업자가 21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이번주는 위험한 한 주가 될 것"이라는 관측을 내놨다. 앞서 15일 그는 "암호화폐의 99%가 과대평가됐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7. 바이저 파이낸스 "해커, 관리 계정 액세스 권한 확보... TVL 16.7% 탈취"
비인크립토(BeInCrypto)에 따르면 유니스왑 V3 기반 디파이 유동성 프로토콜 바이저 파이낸스(Visor Finance, VISR)가 해커 공격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공격자는 예치총액(TVL, 300만 달러)의 16.7%(약 50만 달러)를 탈취했다. 바이저 파이낸스 측은 "해커가 관리 계정 액세스 권한을 확보, 유동성 공급자 포지션에 배치되지 않은 예금에서 자금을 인출하는 방식으로 자금을 탈취했다"며 "하이퍼바이저(Hypervisor)가 공격을 받아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했다. 다중서명이 아닌 단일 관리자 방식으로 운영한 영향으로, 해당 문제는 이미 해결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해커는 내부 직원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며 "공격 발생에 대한 출금 보호장치(emergency withdrawal safeguards) 이해가 부족해 포지션에 배치되지 않은 예금에서 자금을 빼내는 정도에 그친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피해액은 트레저리(treasury)에서 보충했다는 설명이다. 코인게코 기준 VISR는 현재 22.5% 내린 0.435540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8. 中 농업은행 '고객 암호화폐 거래 금지' 성명 삭제
중국 4대 국영 은행 중 하나인 중국농업은행이 21일 '고객 암호화폐 거래 금지' 내용을 담은 공식 성명을 삭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중국 농업은행 공식 웹사이트에서 해당 성명 페이지 접속시 '소스를 찾을 수 없음'이라는 메세지와 함께 접속이 불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중국농업은행은 공식 성명을 통해 "농업은행은 고객의 암호화폐 관련 거래를 엄격 금지한다"며 "농업은행은 암호화폐 관련한 어떤 사업도 전개하거나 참여하고 있지 않으며, 향후 고객 및 자금 거래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 고객의 암호화폐 거래 참여를 엄격 차단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9. 쓰리애로우 캐피탈 CEO "암호화폐 강세장, 안 끝났다"
21일 크립토글로브에 따르면 쑤주(Su zhu) 쓰리 애로우 캐피탈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팟캐스트에 출연해 "암호화폐 강세장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며 "많은 지표들이 지속 발전의 시그널을 나타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최근 하락장이 잔혹하긴 하지만 시장이 이대로 끝났다는 의미는 아니다"라며 "최근 이더리움 선물 및 옵션 상품 출시를 예고한 골드만삭스의 상당수 고객들은 오히려 이번 하락장이 투자하기에 적합한 시기라고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10. 데이터 "비트코인 해시레이트, 8개월래 최저치"
21일 코인텔레그래프가 비트인포차트 데이터를 인용, 비트코인의 해시레이트가 8개월래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 비트코인 해시레이트는 91.2EH/s로 지난 5월 고점 대비 46% 하락했다. 지난 번 해시레이트가 90EH/s를 밑돌던 때는 지난해 11월 3일이었다. 채굴 수익성도 고점 당시 일평균 TH/s당 0.449달러에서 최근 0.226달러로 절반 가량 줄었다. 이에 대해 매체는 "중국 당국이 비트코인 채굴 업체에 대한 강도 높은 규제에 돌입한 게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11. 그레이스케일 비트코인 신탁, 20~21일 18,462 BTC 락업 해제
AICoin에 따르면, 20일~21일(현지 시간) 그레이스케일 비트코인 신탁 GBTC에서 각각 10,763 BTC, 7,699 BTC가 락업 해제됐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7.40% 내린 33,035.1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12. 크립토퀀트 대표 "채굴자들, BTC 매도 대신 보유"
21일 주기영 크립토퀀트 대표가 트위터를 통해 "지난 3월부터 채굴자들이 거래소에 주기적으로 보내는 비트코인 수량이 감소하는 추세"라며 "이는 채굴자들이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최근 중국의 채굴업 규제는 채굴자들로 하여금 비트코인 대신 채굴기를 내다팔도록 강제할 수 있다"고 관측했다.
13. 콘텐츠 IP 육성 플랫폼 엑스피어, 클레이튼과 기술 통합
콘텐츠 IP 육성 플랫폼 엑스피어(XPeare)가 카카오 블록체인 기술 계열사 그라운드X의 클레이튼(Klaytn)과 통합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기술 통합을 통해 엑스피어 플랫폼은 클레이튼 기반의 비앱(BApp)으로 출시된다. 엑스피어는 클레이튼 기반의 지갑을 출시하고 향후 지갑에는 엑스피어의 콘텐츠 IP를 활용한 NFT가 탑재될 예정이다. 또한 엑스피어는 콘텐츠 및 캐릭터 IP를 활용한 클레이튼 기반 NFT 플랫폼을 개발해 작가와 독자를 위한 NFT를 발행할 예정이다. 엑스피어는 AI 및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이다.
14. 中 매체 "인민은행, 가상화폐 거래·투기 관련 일부 은행·결제기관 '약담' 진행"
중국 미디어 jin10에 따르면 중국 인민은행이 최근 가상화폐 거래, 투기와 연관된 서비스 제공 문제와 관련 일부 은행과 결제기관에 대해 약담(사전 약속을 잡아 진행하는 조사와 교육)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약담 대상은 중국 대형 은행인 공상은행, 농업은행, 건설은행, 우정저축은행, 흥업은행, 알리페이 등으로 전해졌다. 앞서 코인니스는 농업은행이 고객 암호화폐 거래 금지 성명을 게재했다 삭제했다고 전한 바 있다.
15. 에이다 창시자 "비트코인vs이더리움, 이더리움 승리에 베팅"
유투데이에 따르면 카르다노(에이다) 창시자 찰스 호스킨슨이 렉스 프리드먼 팟캐스트에 출연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중 승리자를 꼽아야 한다면 이더리움을 선택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더리움에 비해 비트코인 네트워크가 지나치게 느리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비트코인은 네트워크 효과, 브랜드, 규제 승인 등이 있지만, 시스템을 바꿀 방법이 없고 심지어 명백하게 드러난 결함을 수정할 수도 없다고 지적했다. 반면 이더리움에 대해서는 유연한 개발 문화와 진화의 깊이를 장점으로 꼽았다.
16. [실시간 암호화폐 자금 흐름] - 저녁 7시 기준
-최근 18시간 자금 순유입 TOP 3
1위. EUR(+2039.02만 달러)
2위. DOGE(+1216.12만 달러)
3위. 1INCH(+611.95만 달러)
-최근 18시간 자금 순유출 TOP 3
1위. BTC(-3.5억 달러)
2위. ETH(-6275.17만 달러)
3위. DOT(-4866.77만 달러)
17. 플랜비 올해 비트코인 가격 전망 설문, 40% "10만 달러 미만"
유명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플랜비가 트위터에서 2021년 12월 이전 비트코인 가격 전망 설문조사를 진행 중이다. 현재까지 39655명이 참여했으며, 39.9%가 10만 달러 미만에 투표했다. 이어 10만 달러(S2F 모델, 36.5%), 28.8만 달러(S2FX 모델, 17.4%), 50만 달러(6.2%) 순이다. 투표 종료까지 22시간 남았다.
18. 中 은행·알리페이, 일제히 가상화폐 거래 금지 공지문 게시
오늘 중국 인민은행이 가상화폐 거래, 투기와 연관된 서비스 제공 문제와 관련 일부 은행과 결제기관에 대해 약담(사전 약속을 잡아 진행하는 조사와 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힌 가운데, 중국 대형 은행인 공상은행, 건설은행, 우정저축은행, 알리페이(중국 최대 간편결제 서비스)가 일제히 가상화폐 거래 금지 공지문을 올렸다. 건설은행은 모든 기관 및 개인은 가상화폐 거래용 계좌를 개설할 수 없으며, 건설은행 계좌를 통한 가상화폐 관련 자금 이체가 불가하다고 밝혔다. 공상은행, 우정저축은행도 이와 유사한 내용의 공지문을 올렸으며, 알리페이는 가상화폐 거래 행위 발견 즉시 차단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민은행의 이번 약담 대상은 중국 대형 은행인 공상은행, 농업은행, 건설은행, 우정저축은행, 흥업은행, 알리페이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