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스퀘어 코인 알고보면 쓸모있는 정보- 6월 16일 오늘의 정오 조금 지난 뉴스
324 4
2021.06.16 12:35
324 4
오늘의 정오 조금 지난 뉴스

1. 코인빗, 토큰 8종 거래지원 종료·28종 유의종목 지정

연합뉴스에 따르면 코인빗이 15일 밤늦은 시각에 토큰 8종의 거래 지원 종료 및 28종의 유의종목 지정을 알렸다. 상장폐지 대상 토큰은 렉스(LEX), 이오(IO), 판테온(PTO), 유피(UPT), 덱스(DEX), 프로토(PROTO), 덱스터(DXR), 넥스트(NET) 등 8개로, 오는 23일 오후8시 거래지원이 종료된다. 이들은 현재 입금이 중단된 상태로, 출금 서비스는 6월 29일 오후 8시 중단된다. 이밖에 코인빗은 메트로로드(MEL), 서베이블록(SBC) 등 28개 토큰을 유의종목으로 지정했다. 최종 거래 심사는 23일 진행된다. 미디어는 "9월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 시행을 앞두고 대대적인 코인정리에 나선 것"이라며 "코인빗 원화마켓에 상장된 토큰이 총 70개인데, 그 중 절반이 넘는 토큰(36개)에 대한 중대 결정이 내려진 것"이라고 평가했다.

2. 마이크로스트레티지 CEO "BTC는 가치 저장, ETH는 전통 금융 해체"

뉴욕 증시 상장사 마이크로스트레티지의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 CEO가 CNBC와의 인터뷰에서 암호화폐마다 각기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비트코인은 가치 저장을 위한 디지털 자산"이라며 "이더리움은 전통 금융을 방해하기 위한, 거래소 및 금융기관을 해체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와 ETH는 현재 각각 0.22% 내린 40,283.60 달러, 0.65% 내린 2,556.00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3. 스트림 프로토콜, 클레이스왑 ‘KLAY/KSTPL 풀’ KSP 채굴 시작

스트림 프로토콜(Stream Protocol)은 클레이스왑 내 형성된 ‘KLAY/KSTPL풀’에서 KSP 토큰 채굴을 시작했다고 16일 밝혔다. 채굴을 통해 유저들은 KLAY, KSP 및 STPL 토큰을 모두 얻을 수 있게 된다. 해당 풀에 유동성을 공급한 유저들은 풀 정책에 따른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첫날 KSP 보상 수익률(APY)은 969%를 기록했다. 지난 26일 스트림 프로토콜은 오르빗 브릿지 추가를 통해 클레이스왑에 ‘KLAY-KSTPL풀’을 형성하고, 디파이 시장에 참여했다. 15일부터는 에어드랍 이벤트를 시작하여 하루 62,500개씩, 한달간 총 1,875,000 STPL이 에어드랍된다.

4. 캐나다 소재 럭스폴리오, 미 암호화폐 채굴 업체 인수

캐나다 소재 암호화폐 인프라 제공 업체 럭스폴리오(LUXXFOLIO)가 미국 암호화폐 채굴 업체 웨스트블록(WestBlock)을 인수했다고 15일(현지시간) 밝혔다. 구체적인 인수액은 알려지지 않았다. 럭스폴리오는 블록체인을 활용해 사용자발행 자산(UIA)을 비트코인이나 대체불가토큰(NFT) 등 거래 가능한 디지털 자산으로 전환하는 기술 인프라를 제공하는 회사다.

5. "가상화폐도 공직자 재산신고 해야" 72.7% 압도적

오마이뉴스 여론조사에 따르면 가상화폐에 대해 우리 국민 10명 중 7명은 공직자 재산신고 대상에 포함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마이뉴스는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15일 전국 만18세 이상 남녀 500명(총 통화 9190명, 응답률 5.4%)을 대상으로 가상화폐를 공직자 재산신고 대상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는지 물었다. 조사 결과, "신고해야 한다"는 응답이 72.7%로 압도적이었다. "신고할 필요가 없다"는 응답은 20.0%에 그쳤다. "잘 모르겠다"는 7.3%였다. 세대별 분석에서 20대는 다소 온도차를 나타냈다. "신고해야 한다"는 응답이 50대 81.5%를 비롯해 60대 79.7%, 40대 76.0%, 30대 72.2%, 70세 이상 70.5% 등 압도적이었는데, 20대(18·19세 포함)의 경우는 55.4%였다(신고 불필요 35.5%).

6. 스트라이프 공동 창업자 "암호화폐, 해외자금 이동 용이하게 만들어"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글로벌 온라인 결제기업 스트라이프(Stripe) 공동 창업자 존 콜리슨(John Collison)이 "오늘날 기업의 5분의 1이 글로벌 기업으로, 국경 간 거래를 추진하고 있다.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는 소비자가 해외에서 물건 및 서비스를 구매할 때 사용하는 일종의 결제 방식으로, 해외자금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스트라이프는 미국 최대 유니콘 기업 중 하나로, 최근 6억 달러의 펀딩 라운드에서 기업가치를 950억 달러로 평가 받은 바 있다

7. 美 하원 핀테크 TF "연준 CBDC,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더블록에 따르면, 미국 하원 핀테크 태스크포스(Fintech Task Force)의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 청문회에서 CBDC가 현금 수준의 프라이버시와 금융 포괄성을 지니는지 여부가 중점으로 논의됐다. 대표적인 암호화폐 반대파인 브래드셔먼(Brad Sherman) 하원의원은 강화된 KYC 관리에 동의하며 "연준은 디지털 달러가 탈세 수단인지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네하 나룰라(Neha Narula) MIT 공대 디지털 화폐 책임은 "커피 한잔을 살때마다 정부가 모든 기록을 갖고 있지 않더라도 범죄자를 잡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토니 곤잘레즈(Anthony Gonzalez), 프렌츠 힐(French Hill) 하원의원은 "연준이 소매 고객 계좌를 개설하고 상업은행의 역할을 하길 원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톰 에머(Tom Emmer) 하원의원은 "CBDC는 실제로 연준을 상업은행으로 변모시킬 것"이라며 "이러한 시스템은 비트코인처럼 개방된, 무허가의, 프라이빗한 네트워크여야만 결실을 맺는다"고 덧붙였다.

8. 엘살바도르 노동부 장관 "비트코인 급여 지급, 아직은 시기상조"

16일 체인뉴스에 따르면 롤란도 카스트로(Rolando Castro) 엘살바도르 노동사회복지부 장관이 오늘 이른 오전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으로 근로자의 급여를 지급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하지 않고 있다. 아직은 시기상조다"라고 말했다. 앞서 엘살바도르 현지 매체는 이달 초 엘살바도르가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인정한 뒤 정부가 비트코인으로 급여를 지급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 중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카스트로 장관은 "(비트코인 급여 지급에 대해) 언급한 적도 없고, 관련 질문을 받았을 때 시기상조라는 답만 했을 뿐이다. 화폐 문제는 우리 주관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9. 모건스탠리 애널리스트 "디지털 유로, 유로존 은행 예금의 8% 가져올 듯"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미국 월스트리트 대형 투자 은행 모건 스탠리(Morgan Stanley) 소속 애널리스트들이 디지털 유로가 유로존 은행 고객 예금의 8%를 가져갈 수 있다고 예측했다. 이는 약 8730억 유로(1183조 원) 규모다. 유로존 19개국 중 작은 국가일 수록 해당 비율이 높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애널리스트들은 "앞으로 몇 달 안에 유럽 중앙은행이 디지털 유로 작업을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전 세계 중앙은행의 90%가 디지털통화 작업을 하고 있는 가운데, 가장 중요한 문제는 하이 스트리트 뱅크(high street bank, 대형 소매은행) 계좌에서 사라지게 될 돈이다"고 평가했다.

10. 페이코인, 빗썸 상장 소식에···“논의중인 바 없다” 일축

뉴스웨이에 따르면 페이코인(PCI)이 업비트에서 상장폐지 된 가운데, 빗썸에 상장 협의를 진행중이라는 보도가 나온 가운데, 페이코인 측은 이에 대해 “논의중인 바가 없다”며 일축했다. 페이코인은 16일 공지를 통해 “빗썸과 상장일정 관련해 논의가 진행된 바 없다”며 “다수의 거래소와 논의 중에 있으나, 상장 논의의 특성 상 상장이 이뤄지기 전 까지 팀은 알 수 없으며 확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페이코인은 지난 11일 업비트의 원화마켓에서 상장폐지 된 바 있다. 예정일은 오는 18일 12시다. 페이코인 측은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업비트 원화 마켓 복귀 추진, 타 거래소 상장 추진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상장 일정에 관한 추측성 기사 및 컨텐츠는 절대 신뢰할 수 없다”고 밝혔다.

11. 코인베이스 공동설립자 "암호화폐, 인터넷 업계보다 더 많은 일자리 창출 예상"

프레드 에르삼(Fred Ehrsam) 코인베이스 공동설립자가 16일 블룸버그통신과 인터뷰에서 "암호화폐 분야는 인터넷 업계보다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며 "암호화 기술은 오늘날 과학기술이 직면한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미국은 현재 중대 기로에 와 있다"며 "미 당국이 올바른 정책을 내놔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12. 팀 드레이퍼, 2022년 말 BTC 25만 달러 전망 유지

실리콘밸리 유명 벤처 투자자이자 대표적인 비트코인 강세론자인 팀 드레이퍼(Tim Draper)가 CNBC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 가격이 2022년 말 혹은 2023년 초까지 25만 달러로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 문제에 있어서 내가 옳았음이 판명날 것"이라며 "전망이 들어맞을 수도 있고 완전히 틀릴수도 있다. 다만, 나는 비트코인이 이러한 방향으로 가고있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어 "비트코인에게 1년 반의 시간을 주면 소매업체들은 오픈노드(비트코인 결제 프로세서)를 도입하게 될 것이며, 모두가 비트코인을 결제수단으로 받아들이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앞서 2018년 처음 '비트코인 25만 달러' 전망을 내놓았다. 당시 BTC는 8,000 달러 선으로 거래됐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현재 0.62% 내린 39,945.00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13. 데이터 "NFT 주간 매출, 전달 대비 95% 급감"

15일(현지시간) 데일리호들이 대체불가토큰(NFT) 분석 사이트 넌펀저블닷컴 자료를 인용, NFT 주간 매출이 920만 달러로 전달 대비 95% 급감했다고 전했다. NFT 주간 매출은 5월 9일 1억7600만 달러로 정점을 찍은 뒤 한 달여 간 하락세를 지속했다. NFT 앱 S!NG의 조프 오슬러 최고경영자(CEO)는 "앞서 NFT 열풍은 암호화폐 가격 상승에 기인했을 가능성이 크다"며 "5월 들어 암호화폐 가격이 50% 넘게 급락하자 NFT 시장도 부진하게 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14. 민주당, 내주 초 가상자산특위 구성 완료

뉴스핌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이 이 주 정부의 가상자산에 대한 입장을 확인한 뒤 내주 초 가상자산특위의 구성을 완료한다. 10인 이내로 구성될 특위에는 외부 인사 유입 가능성도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내주 출범할 특위는 가상자산의 제도권 편입과 투자자 보호책, 과세 문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관련 입법 처리를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특위 위원장으로 임명된 유동수 민주당 의원은 16일 오전 기자와 통화에서 "내일까지 정부가 가상자산에 대해서 어떠한 입장을 가지고 있는지 들은 뒤 다음주 초에 특위를 출범시킬 예정"이라고 밝혔다. 가상자산특위의 명단이 아직 확정되진 않았지만 관련법을 발의한 정무위원회 소속 김병욱 의원과 이용우 의원은 위원으로서 활동할 것으로 보인다.

15. 데이터 "BTC 1년 이상 보유 주소 비중 58%"

데이터 업체 인투더블록(IntoTheBlock)이 트위터를 통해 "올해 들어 BTC 1년 이상 보유 주소가 3.9% 증가했다"며 "현재 BTC 주소 중 비트코인 보유 1년 이상된 주소 수는 2216만 개(58.52%)"라고 전했다.

16. 실시간 암호화폐 자금 흐름 - 오전11시기준

-최근 10시간 자금 순유입 TOP 3
1위. BTC(+1.12억 달러)
2위. SHIB(+4573.26만 달러)
3위. CHZ(+1636.24만 달러)
-최근 10시간 자금 순유출 TOP 3
1위. MATIC(-5467.97만 달러)
2위. ETH(-4638.78만 달러)
3위. FIL(-2254.62만 달러)

17. 캐나다 자산운용사 퍼포스 운용 ETF, BTC 추가 매입

캐나다 자산운용회사 퍼포스 인베스트먼트(Purpose Investments)가 운용하는 비트코인 ETF의 BTC 보유량은 19,800.7308개로 전날 대비 54.946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8. 쿠사마 슬롯 경매 크라우드론 58만 KSM 락업

OKLink에 따르면 폴카닷 테스트넷격인 쿠사마의 슬롯 경매 크라우드론 락업 규모가 오전 11시(한국시간) 기준 58만6746KSM을 기록했다. 이중 38만개 이상의 KSM가 카루라에, 8.9만 KSM가 문리버에, 7.4만 KSM가 Shiden에 투표됐다. 앞서 15일 쿠사마는 첫 파라체인 슬롯 경매를 시작했다.

19. 오늘의 선물차트
https://img.theqoo.net/HwsUk


글로벌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와이즈비트코인(Wisebitcoin) 리서치 센터 샤디 애널리스트가 BTCUSDT 무기한 선물이 41,000 달러의 강한 저항선 아래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해당 저항선 아래 가격이 유지되는 한 약세 관점이 우세하다고 분석했다.
.
BTCUSDT 무기한 선물은 41,000 달러선에 강력한 저항 레벨이 존재하며, 저항선 상향 돌파까지 약세 관점이 우세하다. 숏 타깃은 37,000 달러다. 반면 41,000 달러선을 상향 돌파할 경우 BTC 가격은 단기적으로 43,300, 45,000 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
.
ETHUSDT 무기한 선물은 지지선 테스트를 위해 2,250 달러까지 하락할 수 있다. 현재 2,300 달러선의 강한 지지선 위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강세 관점이 우세하다. 롱 타깃은 2,800 달러다. 반대로 2,300 달러선이 붕괴될 경우 2,200, 2,100 달러까지 하락할 수 있다.
.
XRPUSDT 무기한 선물은 지지선 테스트를 위해 0.8000 달러까지 하락할 수 있다. 현재 0.8000 달러선의 강한 지지선 위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강세 관점이 우세하다. 롱 타깃은 0.9000, 1.0000 달러다. 반대로 0.8000 달러선이 붕괴될 경우 0.7500 달러까지 하락할 수 있다.

20. 리볼트, OGN 거래 지원

영국 금융 애플리케이션 리볼트(Revolut)가 탈중앙화 P2P 마켓 플레이스 오리진 프로토콜의 OGN 토큰을 지원한다고 16일 밝혔다. 리볼트는 현재 1500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한 금융 서비스로 매월 1억 건 이상의 거래가 발생하고 있다. 리볼트는 오리진 프로토콜과 협업해 NFT 플랫폼과 같은 소비자 친화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한편 오리진 프로토콜은 탈중앙화 온라인 상거래 플랫폼 ‘오리진 디샵(Dshop)’과 NFT 경매 서비스 ‘오리진 NFT 런치패드’ 를 출시한 바 있다.

21.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33... 투심 위축

22. 유명 애널리스트 "BTC 두번째 불마켓 진행 중"

유명 크립토 애널리스트 플랜비(PlanB)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S2FX(Stock-to-Flow Cross-Asset, 자체 개발 BTC 가격 예측 모델) 및 온체인 시그널 포인트가 모두 불마켓 세컨런 진행을 가리키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그는 비트코인 가격이 3년 내 28.8만 달러를 돌파할 것이라는 기존 관점은 아직 유효하다고 밝힌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0.37% 내린 40,162.9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https://img.theqoo.net/yZVPR

23. DAOventures, 알파 버전 서비스 공개

지난 2월 폴카스타터(Polkastater) 플랫폼에 소개된 디파이(DeFi) 로보 어드바이저 자산운용사인 DAOventures가 6월 16일자로 알파 버전 서비스를 정식 공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런칭에서는 UI를 업그레이드, The DAO Citadel 등 3가지 주요 디파이 투자 전략을 소개했다. DAOventures는 디파이 투자를 더 쉽고, 다양하게 즐길 수 있는 크로스체인 플랫폼이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Certik, Beosin, Zokyo로부터 외부 감사를 마친 상태다. 런칭을 기념해 6월 말에는 디파이 유저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에어드랍과 함께 가스비 없이 거래하는 해피아워(Happy Hour)를 준비 중이다.

24. 중남미 통신사, 비트페이 통한 암호화폐 결제 도입

16일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중남미 통신사 골드커넥트가 비트페이를 통한 암호화폐 결제 서비스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이용자는 비트페이와 연동되는 플랫폼 라탐커넥트(LatamConnect)를 통해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 결제를 할 수 있다. 해당 서비스는 중남미 17개국 골드커넥트 이용자에게 제공될 것으로 전망된다.
목록 스크랩 (0)
댓글 4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오드타입X더쿠💙]무신사 랭킹 1위 립! 언씬 벌룬 틴트&언씬 듀 글로우밤 체험 이벤트 411 06.17 26,790
공지 공지접기 기능 개선안내 [📢4월 1일 부로 공지 접힘 기능의 공지 읽음 여부 저장방식이 변경되어서 새로 읽어줘야 접힙니다.📢] 23.11.01 4,368,302
공지 비밀번호 초기화 관련 안내 23.06.25 5,133,290
공지 ◤더쿠 이용 규칙◢ 20.04.29 21,606,319
공지 성별관련 공지 (언급금지단어 필수!! 확인) 16.05.21 22,824,330
공지 알림/결과 주식의 시작 - 증권 계좌 개설하기 34 23.07.25 27,947
공지 알림/결과 주식 처음이라서 매도매수 1도 모르겠는 주린이 들어와봐 주식 사팔하는 법 알랴줌 77 22.01.20 76,161
공지 알림/결과 ★주린이를 위한 LG에너지솔루션 질문/답변★ 190 22.01.14 72,494
공지 스퀘어 📈🔺쥬쥬 슬로건 및 짤모음🔺📈 86 21.02.01 105,367
공지 알림/결과 💍👠👑👸쥬쥬님덜 명단👸👑👠👛 1280 21.01.31 101,232
공지 알림/결과 주식 카테고리 오픈 33 21.01.31 85,931
모든 공지 확인하기()
199 스퀘어 코인 이란 이스라엘 공격 개시 9 04.14 1,535
198 스퀘어 코인 [단독] 가상자산거래소 코인 90% 거래 금지되나..금융위 '증권형코인' 규제 추진 5 22.06.28 989
197 스퀘어 코인 권도형 '테라 부활' 발언…도지코인 개발자 "업계 떠나라" 2 22.05.16 952
196 스퀘어 코인 바이낸스 테라 루나 상장폐지 23 22.05.13 2,924
195 스퀘어 코인 한은, 디지털화폐 갤럭시에 심는다…"아이폰에는 계획 없다" 22.01.24 312
194 스퀘어 코인 그레이스케일 "SEC, 비트코인 현물 ETF 계속 거부하는 건 위법" 21.12.01 167
193 스퀘어 코인 영원한 1등은 없다?…예사롭지 않은 빗썸의 업비트 추격 1 21.11.29 762
192 스퀘어 코인 가상자산 과세 1년 유예·양도세 완화 잠정 합의…오후 기재소위 21.11.29 190
191 스퀘어 코인 카카오의 그라운드X, "NFT-글로벌로 '클레이튼 2.0' 도약" 1 21.11.22 221
190 스퀘어 코인 카카오, 블록체인 개발사 휴먼스케이프 인수…이르면 오늘 계약 2 21.11.18 356
189 스퀘어 코인 클레이냐, 보라냐…카카오 NFT 코인 누가 웃을까? “경쟁과 협력 관계” 맞나? 1 21.11.05 485
188 스퀘어 코인 하이브 방시혁 "두나무와 합작법인 통해 팬 대상 NFT 사업 전개" 2 21.11.04 334
187 스퀘어 코인 [단독] 신한은행, 코인빗 계좌 입금정지 "초읽기"…회원 이탈 불가피 3 21.08.24 680
186 스퀘어 코인 알고보면 쓸모있는 정보- 7월 6일 오늘의 아침뉴스 3 21.07.06 424
185 스퀘어 코인 알고보면 쓸모있는 정보 - 7월 5일 오늘의 마감 뉴스 2 21.07.05 402
184 스퀘어 코인 알고보면 쓸모있는 정보 - 7월 5일 오늘의 저녁 뉴스 2 21.07.05 322
183 스퀘어 코인 알고보면 쓸모있는 정보 - 7월 5일 오늘의 정오 조금 지난 뉴스 3 21.07.05 393
182 스퀘어 코인 알고보면 쓸모있는 정보- 7월 5일 오늘의 아침뉴스 1 21.07.05 224
181 스퀘어 코인 알고보면 쓸모있는 정보 - 7월 3일 오늘의 마감 뉴스 6 21.07.03 461
180 스퀘어 코인 알고보면 쓸모있는 정보 - 7월 3일 오늘의 아침뉴스 2 21.07.03 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