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별로 딥이 나올 순 있지만,
시장 전체가 치고 오를 모멘텀이나 딥이 나오는건 어려운 상황.
올초 주식시장에 개인이 가장 비싼 3100정도에
시장의 30퍼센트 정도가 유입되었기때문에
이때 산것들이 해소가 되어야 (외인,기관이 이 물건을 사줘야) 올라갈 수 있음.
결국 개인들만 사고, 외인기관은 파는 장이 지속 될경우
전고점을 되찾기도 힘들것.
뭔가 새로운 트라이가 생겨서 외인이 들어온다면
(예.공매도 재개, 달러 약세, 기관 포폴 조정 등)
전고점 트라이, 멀티플 확장으로 올라갈수도 있을것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수출 늘때 주식이 올라감. 수출이 주식을 결정.
그러나 올해 5월부터 수출증가율이 꺾이므로
올 연말 실적을 좋게 예측 할 순 없음, 좋게 볼 모멘텀이 없음 ㅠ
2분기부터 코스피 영업이익 추정치가 떨어지는걸로 예측중
예를 들면 삼성전자
영업이익 컨센서스가 제일 잘 나왔던 1분기 8조 정도를 넘어야 재평가 될 수 있음. 모멘텀이 약화된걸로 파악하고 외국인들이 파는 이유임
이익만 가지고는 5-6월 이후 올라갈 모멘텀이라고 볼 수 없을듯.
전체적인 펀더멘탈은 올해 미국이 가장 좋을것
그러나 바이든이 민주당, 전통적으로 증세를 하려 하기때문에
작년같은 상당한 고점은 어려울것
백신 이후 작년같은 주식 상황은 어려울것 (예.아크etf같은게 치고 올라가긴 힘들듯..아ㅠ)
미국 7월 독립기념일을 기점으로 펜데믹에서 벗어날걸 기대중 소비관련이 오를것으로 봄.
"러셀2000"을 나스닥이랑 비교해서 볼것
테크쪽은 한동안 쉬어 갈 것(ㅅㅂ...)
미국과 반대로 다른 나라는 포스트 코로나를 맞는 상황
미국도 우리나라도 소비(백화점,의류),호텔,항공 등이 좋을것.
종목별로 위에 종목들 중에 딥이 살짝 나오면 들어가는게 좋을수도 있음
너무 미래를 내다보는 종목에 목 매지말고
현재 내수에 활기를 주는 종목들,
우리가 별로 안 좋아하는 위의 내수 종목과 소재,철강 등에 눈을 돌려라 (싫어요 ㅜㅠ)
산업이 재편되는 지금과같은 시기에는
비싼 주식을 사면 안됨 (♦중요♦)
급락한걸 줍거나, 무조건 싼걸 사야 잃지 않는 장이 될것.
목표수익률 자체를 작년같이 높게 가지지말길 권함.
단기매매라기보다는 변동성 장으로 이해하고 들어가야함.
비자발적 장기투자가 되버린 주린이들은
참여빈도를 높이지 말아라. 오히려 더 잃게됨.
현금 비중을 높여서 딥이 나올때만 주워라.
성장주중에 비싼것들에 물려있다면,
앞으로 실적을 체크하지 않고 들고만 있다면
그건 주식사고 기도하는거나 마찬가지임..
다같이 오르던 성장주들이 다같이 오르는 장은 끝남.
실적이 좋지 못하면 결국 사라지는 애들이 생길것.
비싼주식은 그만 사길 ㅠ
10년보고 주식사라고는 권하지 않음..
애들아 오늘 내용 좋았어!
다른분들이랑 다른방향으로 시야를 넓혀준 분인거같애.
부정적일 수는 있지만 들어서 나쁠거 없는거같아!
방송을 보면서 써가지구 내 글에 모자란 부분이 많을거야
자세히 알고 싶다면 오늘 삼프로tv보는걸 추천!
시장 전체가 치고 오를 모멘텀이나 딥이 나오는건 어려운 상황.
올초 주식시장에 개인이 가장 비싼 3100정도에
시장의 30퍼센트 정도가 유입되었기때문에
이때 산것들이 해소가 되어야 (외인,기관이 이 물건을 사줘야) 올라갈 수 있음.
결국 개인들만 사고, 외인기관은 파는 장이 지속 될경우
전고점을 되찾기도 힘들것.
뭔가 새로운 트라이가 생겨서 외인이 들어온다면
(예.공매도 재개, 달러 약세, 기관 포폴 조정 등)
전고점 트라이, 멀티플 확장으로 올라갈수도 있을것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수출 늘때 주식이 올라감. 수출이 주식을 결정.
그러나 올해 5월부터 수출증가율이 꺾이므로
올 연말 실적을 좋게 예측 할 순 없음, 좋게 볼 모멘텀이 없음 ㅠ
2분기부터 코스피 영업이익 추정치가 떨어지는걸로 예측중
예를 들면 삼성전자
영업이익 컨센서스가 제일 잘 나왔던 1분기 8조 정도를 넘어야 재평가 될 수 있음. 모멘텀이 약화된걸로 파악하고 외국인들이 파는 이유임
이익만 가지고는 5-6월 이후 올라갈 모멘텀이라고 볼 수 없을듯.
전체적인 펀더멘탈은 올해 미국이 가장 좋을것
그러나 바이든이 민주당, 전통적으로 증세를 하려 하기때문에
작년같은 상당한 고점은 어려울것
백신 이후 작년같은 주식 상황은 어려울것 (예.아크etf같은게 치고 올라가긴 힘들듯..아ㅠ)
미국 7월 독립기념일을 기점으로 펜데믹에서 벗어날걸 기대중 소비관련이 오를것으로 봄.
"러셀2000"을 나스닥이랑 비교해서 볼것
테크쪽은 한동안 쉬어 갈 것(ㅅㅂ...)
미국과 반대로 다른 나라는 포스트 코로나를 맞는 상황
미국도 우리나라도 소비(백화점,의류),호텔,항공 등이 좋을것.
종목별로 위에 종목들 중에 딥이 살짝 나오면 들어가는게 좋을수도 있음
너무 미래를 내다보는 종목에 목 매지말고
현재 내수에 활기를 주는 종목들,
우리가 별로 안 좋아하는 위의 내수 종목과 소재,철강 등에 눈을 돌려라 (싫어요 ㅜㅠ)
산업이 재편되는 지금과같은 시기에는
비싼 주식을 사면 안됨 (♦중요♦)
급락한걸 줍거나, 무조건 싼걸 사야 잃지 않는 장이 될것.
목표수익률 자체를 작년같이 높게 가지지말길 권함.
단기매매라기보다는 변동성 장으로 이해하고 들어가야함.
비자발적 장기투자가 되버린 주린이들은
참여빈도를 높이지 말아라. 오히려 더 잃게됨.
현금 비중을 높여서 딥이 나올때만 주워라.
성장주중에 비싼것들에 물려있다면,
앞으로 실적을 체크하지 않고 들고만 있다면
그건 주식사고 기도하는거나 마찬가지임..
다같이 오르던 성장주들이 다같이 오르는 장은 끝남.
실적이 좋지 못하면 결국 사라지는 애들이 생길것.
비싼주식은 그만 사길 ㅠ
10년보고 주식사라고는 권하지 않음..
애들아 오늘 내용 좋았어!
다른분들이랑 다른방향으로 시야를 넓혀준 분인거같애.
부정적일 수는 있지만 들어서 나쁠거 없는거같아!
방송을 보면서 써가지구 내 글에 모자란 부분이 많을거야
자세히 알고 싶다면 오늘 삼프로tv보는걸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