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소방재난본부 협조 공문
시위대 충돌·인명사고 대비
서울대병원 등 종합병원에
사고시 의료지원팀 운영 요청
협조 요청을 받은 병원들은 주로 탄핵 찬반 집회가 집중되는 곳이다. 여의도대로와 국회의사당이 있는 영등포구 내 병원이 6곳으로 가장 많았고 광화문, 경복궁, 동십자각, 안국역 등이 위치한 종로구 내 병원도 4곳에 달했다. 이 밖에 대통령 관저가 있는 용산구를 비롯해 중구, 동대문구, 은평구, 서대문구 등 강북 지역에 위치한 병원도 포함됐다.
본부는 해당 병원들에 병상 확보와 원활한 환자 처치를 위한 신속한 인수인계 등을 요청했다. 또 다수 사상자 발생 시 디맷 운영도 협조를 요청했다. 디맷은 다수의 환자가 발생하는 사고나 재난 현장에 의료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의료팀을 말한다. 2022년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시스템이 개선되면서 중증환자 5명 이상 발생 우려만 생겨도 디맷이 즉시 출동하며, 출동 의사도 '응급의학과 등 전문의'로 한정된다.
본부 관계자는 "지역 응급의료기관병원을 선정해 협조를 요청했다"며 "선조치 필요 시 다른 병원에도 협조를 요청하는 등 유동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형병원은 디맷도 모두 운영 가능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정부 당국은 가능한 대책을 총동원해 8년 전 참극을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각오다. 2017년 3월 10일에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후폭풍으로 시위대를 비롯해 총 4명이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