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의 메카'로 불리는 대구·경북 지역의 설 민심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 '반(反) 이재명' 등 보수적인 목소리가 높았다. '12.3 비상계엄 사태'마저 옹호하는 지역민도 적지 않아 전국적인 여론 흐름과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이로 인해 제사, 가족 모임 등에서는 노년층과 젊은층이 탄핵을 놓고 설전을 벌이거나 충돌하는 풍경이 빚어지기도 했다.
김상수(64. 대구시 수성구) 씨는 "비상계엄은 잘못됐지만 민주당의 '입법 독재'로 인해 촉발된 사태"라면서 "윤 대통령이 구속까지 될 사안은 아닌데 '사법부의 정치화'가 심각한 것 같다"고 말했다.
김진용(59. 경북 포항시 두호동) 씨는 "비상계엄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인데 이재명 민주당 대표를 대통령으로 만들기 위해 공수처 수사가 불법적으로 이뤄졌고, 어처구니없게 현직 대통령이 구속됐다"면서 "윤 대통령은 즉각 석방돼야 하고, 탄핵도 기각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모(55. 대구시 달서구) 씨는 "설 제사상 앞에서 작은아버지가 서울에서 온 아들과 윤 대통령 탄핵을 놓고 설전을 벌이면서 분위기가 엉망이 됐다"면서 "젊은층은 대구의 보수적인 정서에 극단적인 거부감을 갖고 있고, 노년층은 자식 세대를 고생하지 않고 자란 '애국심 없는 아이'로 여기고 있다"고 말했다.
대구·경북 지역의 '윤 대통령 옹호' 현상은 설 전후에 벌어진 각종 여론조사에서도 확연하게 드러나고 있다. SBS가 여론조사기관 입소소에 의뢰한 여론조사(1월 23~25일, 전국 1004명, 무선전화, 표본오차 95%신뢰수준 ±3.1%p)에서 윤 대통령 탄핵심판과 관련해 전체적으로 '탄핵 인용해 대통령직 파면' 응답은 59%, '탄핵 기각 또는 각하해 대통령직 복귀'는 37%였다. 이중 대구·경북 지역만 보면 '대통령직 파면'은 38%, '대통령직 복귀'는 57%로 나타나 전국에서 유일하게 '대통령직 복귀' 응답이 많았다.
MBC가 여론조사기관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에 의뢰한 여론조사(1월 27~28일, 전국 1004명, 무선전화, 95%신뢰수준 ±3.1%p)에서 '비상계엄은 야당에 대한 경고성 계엄이었고, 탄핵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질문에 대해 전체적으로 '공감함' 응답은 41%, '공감하지 않음'은 58%였다. 이중 대구·경북 지역의 경우 '공감함'이 60%, '공감하지 않음'이 36%로 나타나 윤 대통령의 주장에 동조하는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탄핵사태가 가뜩이나 어려운 지역 경제 사정을 더 악화시켰다고 걱정하는 이들도 많았다.
경북 구미에서 만난 직장인 손영태(54) 씨는 "이번 설에는 특별상여금도 받지 못해 부모님께 용돈도 드리지 못해 마음이 아팠다"면서 "경제가 살아나려면 정치가 안정되어야 하는데 탄핵사태가 언제 끝날지 몰라 답답하기만 하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제사, 가족 모임 등에서는 노년층과 젊은층이 탄핵을 놓고 설전을 벌이거나 충돌하는 풍경이 빚어지기도 했다.
김상수(64. 대구시 수성구) 씨는 "비상계엄은 잘못됐지만 민주당의 '입법 독재'로 인해 촉발된 사태"라면서 "윤 대통령이 구속까지 될 사안은 아닌데 '사법부의 정치화'가 심각한 것 같다"고 말했다.
김진용(59. 경북 포항시 두호동) 씨는 "비상계엄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인데 이재명 민주당 대표를 대통령으로 만들기 위해 공수처 수사가 불법적으로 이뤄졌고, 어처구니없게 현직 대통령이 구속됐다"면서 "윤 대통령은 즉각 석방돼야 하고, 탄핵도 기각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모(55. 대구시 달서구) 씨는 "설 제사상 앞에서 작은아버지가 서울에서 온 아들과 윤 대통령 탄핵을 놓고 설전을 벌이면서 분위기가 엉망이 됐다"면서 "젊은층은 대구의 보수적인 정서에 극단적인 거부감을 갖고 있고, 노년층은 자식 세대를 고생하지 않고 자란 '애국심 없는 아이'로 여기고 있다"고 말했다.
대구·경북 지역의 '윤 대통령 옹호' 현상은 설 전후에 벌어진 각종 여론조사에서도 확연하게 드러나고 있다. SBS가 여론조사기관 입소소에 의뢰한 여론조사(1월 23~25일, 전국 1004명, 무선전화, 표본오차 95%신뢰수준 ±3.1%p)에서 윤 대통령 탄핵심판과 관련해 전체적으로 '탄핵 인용해 대통령직 파면' 응답은 59%, '탄핵 기각 또는 각하해 대통령직 복귀'는 37%였다. 이중 대구·경북 지역만 보면 '대통령직 파면'은 38%, '대통령직 복귀'는 57%로 나타나 전국에서 유일하게 '대통령직 복귀' 응답이 많았다.
MBC가 여론조사기관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에 의뢰한 여론조사(1월 27~28일, 전국 1004명, 무선전화, 95%신뢰수준 ±3.1%p)에서 '비상계엄은 야당에 대한 경고성 계엄이었고, 탄핵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질문에 대해 전체적으로 '공감함' 응답은 41%, '공감하지 않음'은 58%였다. 이중 대구·경북 지역의 경우 '공감함'이 60%, '공감하지 않음'이 36%로 나타나 윤 대통령의 주장에 동조하는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탄핵사태가 가뜩이나 어려운 지역 경제 사정을 더 악화시켰다고 걱정하는 이들도 많았다.
경북 구미에서 만난 직장인 손영태(54) 씨는 "이번 설에는 특별상여금도 받지 못해 부모님께 용돈도 드리지 못해 마음이 아팠다"면서 "경제가 살아나려면 정치가 안정되어야 하는데 탄핵사태가 언제 끝날지 몰라 답답하기만 하다"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29/0000360502?sid=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