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15년 전 자신의 블로그 글을 두고 여권에서 색깔론을 제기하자 ‘원문을 읽어보라’며 반박성 게시글을 에스엔에스(SNS)에 올렸다.
30일 문 대행의 페이스북을 보면, 문 대행은 전날 자신의 블로그 게시글 링크와 함께 “원문을 읽어보시죠”라고 적었다. 이 블로그 글은 문 대행이 부산지법 부장판사였던 2010년 9월11일에 쓴 ‘유엔묘지에서 이삭의 집까지’라는 제목이 달렸고, 당시 부산법원 봉사단체에서 유엔(UN)기념공원을 참배하고 아동·청소년 복지시설 등을 다녀온 뒤 소감을 담았다.
이 글을 두고 여권에서는 문 대행이 유엔군에 부정적 인식을 보이고 더 나아가 북침론에 동조했다는 색깔론을 제기했다.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28일 페이스북에 “16개국 출신 유엔군 참전용사들은 무엇을 위하여 이 땅에 왔을까? 전쟁의 방법으로 통일을 이루려는 자들은 제1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좋은 전쟁이란 낭만적 생각에 불과하다는 인류의 보편적인 깨달음을 몰랐을까”라는 부분을 문제 삼으며 “유엔참전용사에 대한 모독을 사과하라”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이날도 페이스북에 “헌법재판관이 북침론 동조? 실화냐?”라고 적힌 이미지를 거듭 올렸다.
문 대행의 글을 보면, 부산 남구 대연동에 있는 유엔기념공원과 아동·청소년 시설을 방문한 소감을 담고 있다. 문 대행은 글에서 “평화는 수단이자 목적이다. 전쟁이 없어야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평화를 달성할 수는 없다. 이삭의 집 같은 생활공동체가 여느 가정과 똑같아지고, 장애아동이나 시설아동이라 하여 차별을 받지 않는 세상, 바로 그런 세상이 진정한 평화의 모습이 아닐까? 어쩌면 유엔군으로 한국전쟁에 참여한 용사들이나 하느님의 이름으로 이삭의 집을 운영하는 주 원장이나 같은 꿈을 꾸고 있는 것이 아닐까?”라고 적었다. 유엔참전용사들을 추모하고 시설에 있는 아이들의 성장을 기원하며 평화를 강조한 것이다.
문 대행은 이 글에서 “전쟁의 방법으로 통일을 이루려는 자들은 북한을 가리키고, 통일을 핑계 댄 그들의 침략을 규탄한다는 뜻”이라는 내용을 덧붙였다. 또 “평화를 지키기 위해 참전한 유엔군을 기리기 위해 봉사활동을 하러 간 것”이라며 “원 문장에 ‘유엔군과 이삭의 집 주 원장이 같은 꿈을 꾸고 있는 것이 아닐까’에 제 생각이 드러나 있다”고 설명했다.
이슈 문형배 헌재 소장 대행, 블로그 글 비판에 “원문 읽어보시죠”
2,953 18
-
땡뀨ㅜ
-
눈물나네
-
고맙다.....
-
항상 연휴끝나는날 모닝콜 켜는 알람 해놓는데 오늘따라안해서 좃될뻔했어 덬은 내 은인이다,,,
-
흑흑 넵
새 댓글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