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임광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0일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해 12월 금융불안지수는 전월보다 1.1포인트 오른 19.2로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레고랜드 사태로 채권시장에 대혼란이 벌어진 2022년 9월(19.7)에 육박하는 수치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 11월(76.9), 코로나19 팬데믹 때인 2020년 4월(25.1)보다 낮지만,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때인 2016년 12월(9.5)의 두 배 수준이었다.
금융불안지수는 한은이 금융과 실물 부문에서 나타나는 금융불안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 매달 작성하는 종합지수로, 금융시장·대외·실물·은행·비은행 등 5개 부문별 20개 세부 지표를 반영한다.
한은은 지난해 12월 금융불안지수가 급등한 원인으로 주가 하락, 신용 스프레드 상승, 경제심리지수 하락 등을 꼽았다.
한은은 금융불안지수 12 이상을 ‘주의단계’, 24 이상을 ‘위험단계’로 각각 분류하며, 현 수준은 주의단계에 해당한다.
임 의원은 “계엄 사태가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에 미친 충격이 구체적인 지표로 확인됐다”며 “정치 불확실성을 조속히 끝내고, 내수 활성화와 민생 안정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안 편성에도 정부가 적극 협조해야 한다”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348205?sid=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