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연속 매출 역신장
갤러리아백화점이 2023년에 이어 작년까지 2년 연속 전 점포 역성장을 기록했다. 소비심리 악화에도 롯데·신세계·현대백화점의 주력 점포 매출이 오른 것과 대조적이다. 명품 수요가 꺾이자 상대적으로 명품의존도가 높았던 갤러리아백화점이 큰 타격을 입었다는 분석이다.
1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전국에 5개 점포를 보유한 갤러리아백화점의 지난해 매출은 2조7991억원으로, 전년 대비 3.8% 줄었다. 갤러리아백화점의 유일한 '1조 백화점'인 서울 명품관은 지난해 1조1725억원어치를 팔았다. 2023년보다 1.5% 적은 액수다. 대전 타임월드점(6237억원,-7.5%), 경기 광교점(5255억원,-12.9%), 천안 센터시티점(3287억원,-2.9%), 경남 진주점(1459억원,-3.2%)까지 모든 점포의 실적이 악화했다.
갤러리아백화점의 전 점포 매출이 하락한 건 2023년에 이어 두번째다. 코로나 보복 소비가 정점에 달하던 지난 2022년, 개점 이래 처음으로 통합 매출 3조원을 돌파한 후 2년 연속 하락세다. 불황으로 백화점 업황이 침체했지만, 롯데백화점 잠실점,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더현대서울 등 경쟁사 주력 점포들의 지난해 매출 증가율은 7~10%에 달한다.
갤러리아백화점이 부진의 늪에 빠진 가장 큰 원인은 '명품 수요 감소'다. 갤러리아백화점 전체 매출의 약 40%가 명품에서 나온다. 경쟁사의 명품 비중이 20%대라는 점을 고려하면 명품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주력 점포인 서울 명품관의 경우 입점 브랜드 대부분이 명품일 정도다. 백화점업계 관계자는 "보복 소비 당시 명품 매출이 30~40%씩 올랐는데, 지금은 한자리수에 그치는 수준"이라며 "매출의 상당수가 명품에서 나오는 갤러리아백화점의 타격이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점포에 대한 투자도 부족했다. 지난해 롯데·신세계·현대백화점은 여러 점포에 대한 재단장 공사를 진행했다. 특히 불경기가 이어지는 만큼 집객 효과가 높은 식품관을 대대적으로 개편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의 스위트파크다. 반면 현재 갤러리아백화점은 서울 명품관 한 곳을 제외하고는 리뉴얼을 추진하지 않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불황에 대비해 경쟁사들은 식음료, 영패션, 키즈 등 명품 외 다양한 카테고리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점포를 리뉴얼한 반면 갤러리아백화점은 상대적으로 점포에 대한 투자가 적었다"고 설명했다.
(후략)
.
.
.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83135?sid=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