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사/뉴스 노인 일자리도 ‘오픈런’···짠물 연금이 만든 취업난[일하는 노인②]
3,952 8
2025.01.13 09:02
3,952 8

“지금 접수하면 4시간은 기다려야 된대.”

 

번호표를 뽑아 든 백발의 남성이 뒤따라 온 친구에게 손을 내저었다. 2025년도 노인 일자리 모집 첫 날인 지난해 12월5일 서울 동대문구 시니어클럽. 신청서 접수 10분 전부터 비좁은 복도가 인파로 가득 찼다. 지난해 관내 한 초등학교에서 교통안전도우미로 일했다가, 올해도 ‘재취업’에 나섰다는 박경자씨(가명·79)도 그 중 한 명이다.

 

“솔직히 생계 때문이 크지. 자식들도 잘 안 풀리는데 용돈 달라고 하기 그렇잖아.” 일주일에 5일, 하루에 1시간을 일하고 손에 쥐는 돈은 월 27만9000원(지난해 기준). 생계를 유지하기엔 턱없이 부족하지만, 식당 일을 오래 하느라 국민연금을 들지 못했던 박씨에겐 기초연금(30만원)과 함께 최소한의 생활을 가능하게 해주는 소중한 소득원이다.

 

2025년 노인일자리 모집 신청 첫 날인 지난달 5일 서울 동대문시니어클럽에서 어르신들이 일자리 신청을 위해 줄을 서 있다. 서성일 선임기자

2025년 노인일자리 모집 신청 첫 날인 지난달 5일 서울 동대문시니어클럽에서 어르신들이 일자리 신청을 위해 줄을 서 있다. 서성일 선임기자

 


문제는 노인들의 취업 경쟁이 점점 더 치열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일하고자 하는 노인은 많은데 노인을 원하는 곳은 적다보니 노인들의 노동 환경은 갈수록 불안정해지고 있다.

 

취업난이 만든 노인일자리 ‘짠물 임금’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65세 이상 노년층 등록취업자는 312만2000명으로, 또다시 역대 최대치를 갱신했다. 전체 노년층 인구(949만7000명) 중 33%에 달한다. 일하는 노인이 급증하는 건, 은퇴 후 받는 연금 소득만으로는 생계를 이어가기 어려운 탓이다. 2022년 65세 이상 연금수급자들의 월평균 연금액은 65만원으로 노후 최소 생계비(124만원)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연금 수급 개시 연령을 이미 지나버린 노령층의 소득 보장을 위해 정부가 꺼내든 카드는 ‘노인 일자리 대폭 확대’다. 지난해 노인 일자리는 103만개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20년 전 사업 첫 해(2만5000개)와 비교하면 41.2배가 늘었다. 그러나 지난해 노인일자리 사업에 참여를 희망한 노인은 224만명으로 일자리 수를 한참 뛰어넘었다. 노인 2명 중 1명은 탈락의 고배를 마신 셈이다.

 

일하고자 하는 노인들은 많고, 예산은 한정적인 상황. 이때 정부가 취할 수 있는 선택지는 일자리를 최대한 잘게 쪼개는 것이다. 정부의 노인 일자리는 크게 세 가지 유형(공공형·사회서비스형·시장형)으로 나뉘는데, 이 중 70% 이상이 공공형 일자리다.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은 일을 하고 월 29만원의 수당이 지급되는 구조인데, 수당은 100% 공공의 재원으로 지급된다.

 

 

2025년 노인일자리 모집 신청 첫 날인 지난달 5일 서울 동대문시니어클럽에서 어르신들이 일자리 신청을 위해 줄을 서 있다. 서성일 선임기자

2025년 노인일자리 모집 신청 첫 날인 지난달 5일 서울 동대문시니어클럽에서 어르신들이 일자리 신청을 위해 줄을 서 있다. 서성일 선임기자

 


일각에서는 공공형 일자리 확대가 세금으로 ‘질 낮은 일자리’만 양산하는 것이라 비판하기도 한다. 이에 윤석열 정부는 시장형 일자리를 더 늘리겠다는 기조를 세웠다. 노인 일자리의 생산성을 높여 더 많은 수익을 내고, 임금도 더 많이 받을 수 있게 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시장형 일자리에 종사하는 노인들 역시 적정 소득을 보장받지 못하는 것은 마찬가지다. 노인인력개발원이 실시한 2022년 노인일자리 실태조사에 따르면 시장형사업단의 급여수준은 27만원 이하가 38.5%로 가장 많았다.

 

5년째 서울의 한 자치구에서 노인일자리 업무를 하고 있는 담당자는 “노인들에게 세금을 퍼주지 말자는 논리로 생긴 것이 시장형 일자리지만, 정부 보조금 없이는 기업들이 수익을 낼 방법이 없다”고 했다. 또 다른 담당자도 “더 많은 수익을 내려면 그만큼 노인들의 작업량이나 강도가 올라가야 하지만 체력적·정신적 한계로 인해 이를 버거워하는 참여자들이 적지 않다”며 “노인 일자리에 ‘자립’을 요구하는 것이 정책 목표가 되어야 하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일하는 사람’ 인정 못 받는 ‘일하는 노인’


시장형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들은 노인들을 고용했다는 이유만으로 정부로부터 각종 지원금을 받는다. 그러면서도 최저임금 보장이나 4대 보험 가입같은 각종 노동법의 적용은 예외를 인정받는다. 사회서비스형을 제외한 노인일자리 종사자의 신분이 ‘근로자’가 아니기에 가능한 일이다.

 

실버택배 일을 5년째 하고 있는 정찬우씨(가명·81)는 한 달에 40만원을 번다. 매일 아침 6시에 출근해 서울 광진구에 있는 회사와 경기도 남양주에 있는 치과 십여곳을 지하철로 오간 뒤, 오후 12시가 넘어서야 퇴근한다. 하루에 2만 보 이상을 걸어야 하는 ‘중노동’이다.

 

하지만 그렇게 주6일을 일하고 손에 쥐는 하루 일당은 고작 1만6000원. 정씨는 “아무리 노인이라고 해도 들이는 노력에 비해 돈을 너무 적게 받는 것 같다”며 “최저임금만큼 달라는 말이 아니다. 반나절을 꼬박 일하는데 적어도 생활이 가능한 수준은 되어야 하지 않냐”고 반문했다.

 

서울 종로구 동대문종합시장 인근에서 노인들이 택배 일감을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권도현 기자

서울 종로구 동대문종합시장 인근에서 노인들이 택배 일감을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권도현 기자

 


공공의 지원이 없는 민간 노동시장은 사정이 더 열악하다. 경기도의 한 요양병원에서 요양보호사로 일하는 박태정씨(가명·68)는 “2025년이 아니라 1970년대 근무환경”이라고 했다. 젊은 사람들도 체력적으로 힘에 부치는 3교대 근무, 8시간 근무 기준 10분이 채 안되는 식사시간, 100㎏이 넘는 와상 환자를 돌보는 고강도 업무까지… 이 모든 것을 견디고 받는 돈은 193만원에 불과하다.

 

박씨는 “딱 법에 걸리지 않을 정도의 최저임금만 주는 것”이라며 “젊은 사람 중엔 이 돈 받고 일하겠다고 하지 않으니 건강한 노인이 병든 노인을 돌보는 구조”라고 했다. 노인들을 고용한 병원은 고용보험을 비롯한 4대보험 가입 의무도 지지 않는다. 현행 고용법 상 만 65세 이후 신규취업자는 실업급여 적용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일을 하고 있지만 일하는 사람의 권리는 누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오건호 내가만드는복지국가 정책위원장은 “정부나 기업이 노인들을 ‘고용해준다’는 시혜적인 시선으로 보기엔, 이미 이들은 노동 시장에서 굉장히 중요한 세력”이라며 “노인 대부분이 불안정한 저소득 일자리에 종사하고 있는 만큼 이들의 노동권을 보장할 수 있는 의무 조항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여기가 밑바닥” 그래도 일을 놓지 못한다

 

2023년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일하는 노인 3명 중 1명(33%)은 단순노무 종사자였다. 분야별로는 농림축산어업 종사자(24.5%)가 가장 많았고, 경비·수위·시설관리·청소(18.1%)와 가사·조리·음식·돌봄(14.3%)이 뒤를 이었다. 종사상 지위는 자영업자(37.3%)와 임시근로자(22.2%), 상용근로자(17.2%) 순으로 많았다. 월 평균 근로소득은 192만4000원으로 집계됐다.

 

서울의 작은 아파트 단지에서 청소 일을 하는 유민숙씨(가명·81)는 하루에 4시간 정도를 일하고 월 120만원을 번다. 10년 전 처음 청소 일을 시작했던 건 상가 건물이었지만, 나이가 들면서 1000세대 이상 대단지, 300세대 이상 소규모 아파트로 일터를 옮겨야 했다. 그 과정에서 급여는 깎이고 노동 강도는 세졌다. 1년이던 계약 기간도 3개월 간격으로 줄었다.
 

노인빈곤율

 

유씨는 “작은 단지는 일하는 사람끼리 뭉치기 힘들다보니 무리한 지시를 하거나, 계약 조건을 악화시켜도 대응하기 힘들다. 여기(지금 일하는 소규모 아파트)가 제일 밑바닥인 것 같다”고 했다. 그럼에도 유씨는 일을 그만두는 자신을 상상하지 못했다. “아침마다 버스를 타고 출근할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뿌듯한 기분이 들어서”다.
 

-생략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344931

목록 스크랩 (1)
댓글 8
댓글 더 보기
  • 501. 무명의 더쿠 2023-07-22 22:35:11
    ㅅㅂ 나는 갤럭시쓰는 여자 처음본다는 소리도 들어봤다.....
  • 502. 무명의 더쿠 2023-07-22 22:38:30
    30대인데도 내주변 다 아이폰임
  • 503. 무명의 더쿠 = 502덬 2023-07-22 22:40:23
    ☞490덬 2222 직장에서도 아이폰 비율 꽤 높음 ㅇㅇ 통녹도 당당히 내밀수있는 상황이 있나싶음.. 뭐 직장 분위기마다 다르겠지만
  • 504. 무명의 더쿠 2023-07-22 23:25:32
    폰 요즘 부서져서 바꾸는 사람 없잖아 부모님 아이폰 공기계 멀쩡하니까 그거 잼민이들한테 쓰라고 주는 느낌이던데? 숙모 나한테 연락와서 공기계 사가심ㅋㅋ 특히 화이트면 외관도 똑같으니까 장기적으로보면 유행 민감한 애들 사이에서 그럭저럭 가성비로 몇년ㄱㅊ다 생각..
  • 505. 무명의 더쿠 2023-07-22 23:42:53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3/08/29 22:34:06)
  • 506. 무명의 더쿠 2023-07-23 00:03:09
    그냥 포기하고 직장인 이상부터 노리는게 낫지않나
  • 507. 무명의 더쿠 2023-07-23 00:03:15
    우리는 녹취가 꼭 필요해서 갤럭시는 다 씀 개인폰 아이폰이여도 업무폰은 갤럭시 쓰는 경우도 많고 ㅋㅋㅋ업무상 녹취필요한 상황이 종종있기때문에 본인이 아니라면 아닌건가 ㅋ
  • 508. 무명의 더쿠 2023-07-23 00:12:01
    페이는 이제 그렇다쳐도 10대들은 통화녹음을 할 일이 없음. 자기가 한 통화내용에 책임질 일도 없으니까.. 나처럼 갤럭시 통화녹음 때문에 아이폰이랑 iOS가 궁금해도 못 넘어가는 직장인들 많을 것 같음.
  • 509. 무명의 더쿠 2023-07-23 01:03:16
    아이폰쓰다가 갤럭시 넘어왔는데 개편함..... 좋은게 한두개가 아닌데 이래서 갤럭시 좋다 이러면 아이폰도 이렇게이렇게하면 그거 된다고 하는거 웃김ㅋㅋㅋㅋㅋㅋ 이렇게이렇게 뭔가 더 하는게 귀찮은건데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나는 아이폰 다시 넘어갈 생각 절대 없음
  • 510. 무명의 더쿠 2023-07-23 01:16:06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3/10/11 13:42:57)
  • 511. 무명의 더쿠 2023-07-23 01:29:50
    아이폰 쓰다 넘어왔는데 개편함 생태계 어쩌구 하는데 갤럭시로 연동해도 구글생태계 쓰면 쌉가능이라 뭐
  • 512. 무명의 더쿠 2023-07-23 02:15:04

    아이폰 쓰다가 갤럭시 왔는데 쓰러 왔는데 이미 많네 ㅋㅋㅋ 솔직히 진짜 편함 ㅋ 나도 안돌아갈 듯 근데 패드는 아이패드 

  • 513. 무명의 더쿠 2023-07-23 02:42:56
    갤럭시 기본 앱이 너므 많음
    그래서 싫음
  • 514. 무명의 더쿠 2023-07-23 03:41:05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3/07/24 09:09:06)
  • 515. 무명의 더쿠 2023-07-23 03:57:35
    아이폰 쓰다 갤럭시 넘어왔는데 애플페이 보편화되면 다시 넘어갈거임 이전 아이폰 5년썼고 지금 갤럭시 3년 썼는데 확실히 아이폰이 오래쓰기 좋아 갤럭시 슬슬 맛탱이 가는게 느껴짐
  • 516. 무명의 더쿠 2023-07-23 05:25:10
    아이폰 쓰다 갤럭시 쓰는데 너무 편함 특히 덕질 ㅋㅋㅋㅋ
  • 517. 무명의 더쿠 2023-07-23 06:20:08
    근데 10대애들은 진짜 아이폰동경 심하더라 왜일까...?
  • 518. 무명의 더쿠 2023-07-24 17:44:29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3/08/25 19:32:13)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더쿠단독🐧] 핑구X투스티 콜라보 캔디 등장❄️ 당 0% 유산균 100억, 귀여운 입속 상쾌템 체험단 (50명)💙 547 04.25 21,625
공지 [공지] 언금 공지 해제 24.12.06 1,807,984
공지 📢📢【매우중요】 비밀번호❗❗❗❗ 변경❗❗❗ 권장 (현재 팝업 알림중) 24.04.09 6,612,792
공지 공지가 길다면 한번씩 눌러서 읽어주시면 됩니다. 23.11.01 9,725,945
공지 ◤더쿠 이용 규칙◢ [스퀘어 정치글 금지관련 공지 상단 내용 확인] 20.04.29 29,026,494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66 21.08.23 6,780,354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44 20.09.29 5,687,191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496 20.05.17 6,446,851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98 20.04.30 6,747,287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9. 스퀘어 저격판 사용 금지(무통보 차단임)] 1236 18.08.31 11,815,014
2698977 이슈 생각보다 퀄 좋은 존잼 일드.jpgif 5 03:01 281
2698976 유머 통신사 선택의 새로운 기준 8 02:51 1,105
2698975 기사/뉴스 제베원 성한빈,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 MC 각오..올라운더 활약(일문일답) 02:50 142
2698974 기사/뉴스 젤렌스키 "러 공습 北미사일서 美 부품 다수 확인" 02:45 189
2698973 정보 케이팝 아이돌이 악령 퇴마하는 애니가 나온다고 함 13 02:45 751
2698972 이슈 19년 전 오늘 발매♬ 케츠메이시 '旅人' 02:43 75
2698971 이슈 3년 전 디즈니의 백설공주가 위선적이라고 비판했던 왜소증 배우 피터 딘클리지 6 02:43 760
2698970 이슈 [네이트판] 배달 음식 리뷰때문에 싸웠는데, 제 잘못인가요? 18 02:37 1,104
2698969 정보 원덬 기준 성형잘한 캐릭터 1위.jpg 14 02:35 1,394
2698968 유머 나도 이러고 싶은데 불안해서 못함 7 02:33 846
2698967 이슈 또다른 불참이슈로 현지에서 말나오고 있는 레알마드리드 해외축구팀 9 02:30 861
2698966 이슈 서브스턴스 데미무어 리즈시절 6 02:26 1,339
2698965 이슈 무묭이는 승관인가 정한인가 도겸인가? 4 02:22 591
2698964 이슈 영화 백설공주가 존나 재미없는 이유 27 02:17 2,212
2698963 유머 직장인들 일주일 유형 1이다 vs 2이다 19 02:15 957
2698962 이슈 네이트판) 9월에 헤어진 전남친 아이가 3월에 태어났어요. 22 02:05 2,349
2698961 이슈 키스오브라이프 KISS ROAD in 싱가포르 🇸🇬 02:04 456
2698960 이슈 프랑스 연예계에서 제일 멀쩡하게 잘 살고 있는 커플 12 01:53 4,424
2698959 이슈 잘 만나고 있는 팀 버튼 감독❤️배우 모니카 벨루치 13 01:47 3,779
2698958 이슈 커프 지금 볼 때 최한성-한유주 극명하게 갈리는 점 (스압) 32 01:45 1,944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