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사/뉴스 [팩트체크] 연말정산은 정말 '13월의 월급'일까?
4,607 14
2025.01.08 09:54
4,607 14

10명 중 7명은 세금 환급…2명은 '추가 납부
월급 같아도 '공제액' 따라 환급액 달라져

 

 

(서울=연합뉴스) 박형빈 기자 = 2025년 새해가 밝은지도 일주일이 지났지만 직장인들은 아직 작년과 결별하기 이르다. 이른바 '13월의 월급'이라 불리는 연말정산이 곧 시작되기 때문이다.

 

연말연시 각종 모임이 잦고 설 명절 준비로 지출이 부담스러운 이들에게 연말정산 환급액은 달콤한 '용돈'처럼 여겨지곤 한다.

 

하지만 연말정산이 꼭 세금을 돌려받는 절차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적지 않은 직장인이 매년 연말정산에서 세금을 추가로 납부하고 있어 '13월의 월급'이 아닌 '13월의 세금'이기도 하다.

 

5명 중 1명은 연말정산서 '추가 납세'

 

국세청 국세통계포털(TASIS)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간 연말정산 근로소득 신고자 10명 중 2명은 세금을 환급받지 못하고 추가로 납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2019년 1천916만7천여명 중 380만명(19.8%), 2020년 1천949만5천명 중 351만1천명(18.0%), 2021년 1천995만9천명 중 393만4천명(19.7%), 2022년 2천53만4천명 중 398만2천명(19.4%), 2023년 2천85만2천명 중 354만4천명(17.0%)이 세금을 추가로 냈다.

 

반면 같은 기간 세금을 돌려받은 신고자는 1천283만9천명(67.0%), 1천345만5천명(69.0%), 1천351만1천명(67.7%), 1천408만7천명(68.6%), 1천489만9천명(71.5%)으로 10명 중 7명꼴이었다.

 

1인당 평균 연말정산 환급액과 추가 납부액은 근로소득 증가와 소비 패턴 변화 등 영향으로 나란히 증가세를 보였다.

 

2019년 1인당 평균 60만원이던 환급액은 지난해까지 63만5천원, 68만4천원, 77만원, 82만4천원으로 늘었다. 추가 납부액도 2019년 84만3천원에서 92만4천원, 97만5천원, 106만5천900원, 113만1천원으로 늘었다.

 

1975년 처음 시행된 연말정산은 2015년 '연말정산 파동'이라 불리는 초유의 사태를 일으키기도 했다.

 

세법 개정으로 교육비와 자녀 부양비 등이 소득공제에서 세액공제로 전환되며 연말정산 결과 일부 근로자의 세 부담이 증가해 반발을 사자 정부는 같은 해 5월 재정산을 실시했다.

 

연말정산은 내국인뿐만 아니라 외국인 근로자도 해야 한다. 지난해 외국인 근로자의 연말정산 신고 인원은 61만1천명으로, 국적별로 중국(19만명)이 31.1%를 차지했고 베트남(8.5%), 네팔(7.4%) 순으로 많았다.

 

월급 같아도 '공제액' 따라 천차만별
 

연말정산에서 누구는 세금을 돌려받고 누구는 추가로 납부할까? 이는 연말정산의 구조를 이해하면 알 수 있다.

 

국세청은 세수 누락을 방지하기 위해 월급에서 소득세와 지방소득세 등을 정해진 기준에 따라 미리 징수(원천징수)한다. 연말정산은 이처럼 한 해 동안 월급에서 미리 낸 세금과 실제로 내야 할 세금을 비교해 더 냈다면 돌려받고, 덜 냈다면 추가로 내는 절차다.

 

원천징수는 근로자의 급여액과 부양가족 수 및 자녀(8세 이상 20세 이하) 공제수 등을 반영한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에 따라 계산된다.
 

하지만 실제로는 월급 외의 근로 소득, 개개인의 상황에 맞는 지출 등을 고려한 각종 공제 혜택이 반영되어야 최종 결정세액이 산출돼 원천징수 세액과 차이가 난다.

 

같은 직장에서 동일한 임금을 받는 두 근로자라고 하더라도 합법적인 절세 수단인 '공제'를 얼마나 많이 받느냐에 따라 세금 환급 여부와 환급 금액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공제는 크게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로 나뉘는데, 소득공제는 세금을 매기는 기준(과세표준)이 되는 소득 금액을 줄여주는 항목으로, 근로소득공제, 부양가족에 대한 인적공제, 체크·신용카드 사용분에 대한 공제 등이 있다. 세액공제는 소득공제 이후 계산된 세금에서 일정 금액을 차감하는 항목으로, 자녀 세액공제, 의료비 공제, 월세 공제 등이 해당한다.

 

-생략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147430

목록 스크랩 (0)
댓글 14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코랄헤이즈x더쿠✨] 착붙 컬러+광채 코팅💋 봄 틴트 끝판왕🌸 글로우락 젤리 틴트 신 컬러 체험단 모집! 462 04.07 40,696
공지 [공지] 언금 공지 해제 24.12.06 1,622,254
공지 📢📢【매우중요】 비밀번호❗❗❗❗ 변경❗❗❗ 권장 (현재 팝업 알림중) 24.04.09 6,290,605
공지 공지가 길다면 한번씩 눌러서 읽어주시면 됩니다. 23.11.01 9,491,788
공지 ◤더쿠 이용 규칙◢ [스퀘어 정치글 금지관련 공지 상단 내용 확인] 20.04.29 28,622,946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66 21.08.23 6,613,054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43 20.09.29 5,556,418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492 20.05.17 6,279,462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98 20.04.30 6,591,617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9. 스퀘어 저격판 사용 금지(무통보 차단임)] 1236 18.08.31 11,605,742
모든 공지 확인하기()
2681755 기사/뉴스 [단독] 최현욱, 문가영 이어 수지X김선호 만난다..'현혹' 캐스팅 3 09:12 238
2681754 기사/뉴스 MLB닷컴, ‘리그 2루타 1위’ 이정후에 “이 기세라면 확실히 올스타” 2 09:10 101
2681753 이슈 트리플에스 디지털 포카라던데 그러면 예절샷은 어떻게 찍음?.twt 3 09:09 488
2681752 기사/뉴스 결혼 3개월 만에 “아내 죽었다” 상주 맡은 남편…장례식장서 긴급체포 13 09:08 1,417
2681751 기사/뉴스 [단독]윤 전 대통령, 나경원 만나 “나라 위해 역할 해 달라” 47 09:06 1,046
2681750 기사/뉴스 길고양이 사료 박스 쓰레기 처리한 30대 벌금형 집유 11 09:06 553
2681749 기사/뉴스 ‘군 복무’ 더보이즈 상연, 팬클럽 이름으로 3천만원 기부 [공식] 3 09:05 153
2681748 이슈 이번 시즌 프랑스 축구계의 새로운 신성으로 떠오른 선수 2 09:05 420
2681747 이슈 레드벨벳 수록곡 중에서 의외로 멜론 하트 수 가장 많은 노래.jpg 11 09:03 1,047
2681746 기사/뉴스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 이유 묻자 "사람들이 겁먹고 불안해해" 9 09:03 721
2681745 정보 토스 27 09:01 1,046
2681744 이슈 [🩹3분 하이라이트] 고윤정x신시아x강유석x한예지x정준원🚑 OBGY=산부인과 5인방의 좌충우돌 성장기💨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 09:01 154
2681743 이슈 블랙핑크 제니 인스타 업데이트 feat. 탬버린즈 6 09:01 921
2681742 이슈 [유퀴즈] 익명의 사이버 레카를 잡은 정경석 변호사 : 아무리 익명이라도 기록이 남기에 신원이 밝혀질 수 있음을 명심하셨으면 좋겠습니다. 1 08:58 852
2681741 유머 구도 진짜 과하다고 오타쿠들 사이에서 말 나왔던 애니...gif 17 08:57 2,319
2681740 이슈 넷플릭스 <러브데스로봇> 시즌 4 예고편 8 08:55 792
2681739 이슈 위기를 느끼는 것도 축복이다 왜냐면 위기감도 제정신일때 옴 1 08:54 1,061
2681738 기사/뉴스 '대선 출마 선언' 이철우 "윤 전 대통령, 주변 인사들 배신에 상처" 13 08:54 1,047
2681737 이슈 올림픽 축구 남자 12개국 여자 16개국 확정 6 08:53 686
2681736 기사/뉴스 “몰랐으면 100만원 낼 뻔했네”…6월부터 정식시행 된다는 이것은 3 08:52 3,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