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사/뉴스 은퇴해도 "처자식 먹여 살려야"…가장은 '정년 연장' 절실했다
3,959 2
2025.01.07 08:36
3,959 2

[소득 크레바스] (하) 1편
 

국민 20%, 노인인데 '60세 정년'…10명 중 9명 "더 일하고파"


①법정 정년 이후 근로 희망 비율 87%

 

그래픽=이지혜

 

국민 10명중 9명은 법정 정년인 만 60세를 넘겨서도 일하고 싶다는 의사를 나타났다. 정년 연장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고 생각하는 국민들도 많다. '초고령사회' 진입과 맞물려 노인 연령을 올려야 한다는 여론 역시 힘을 얻고 있다.

 

머니투데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전국 만 30~59세 정규직 상용근로자 100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년 퇴직 후 일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87%다. '어느 정도 있다'와 '많이 있다'는 비율이 각각 47%, 40%다.

 

연령별로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정년 퇴직 후 일할 의향이 '많이 있다'고 응답한 50대의 비율은 45%다. 30대(37%)와 40대(37%)보다 높다. 정년에 가까워질수록 60대에도 일하고 싶어하는 이들이 많다는 의미다. 정년 이후 일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들의 희망 근무 연령은 평균 69세다.

 

정년 연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비율도 높았다. '어느 정도 필요하다'(52%)와 '매우 필요하다'(39%)를 합할 경우 정년 연장이 필요하다는 응답률은 91%에 이른다.

 

 

그래픽=이지혜

 

정년 연장이 필요하다고 본 응답자들은 정년을 만 65세로 연장해야 한다고 답한 비율이 51%로 가장 높았다. 만 66세 이상이라고 답한 비율(37%)도 높은 편이다. 반면 만 61세(1%), 만 62세(3%), 만 63세(6%), 만 64세(2%)로 답한 비율은 낮았다. 상당수 응답자들이 과감한 정년 연장이 필요하다고 본 것이다.

 

정년 연장과 정년 폐지, 퇴직 후 재고용 등 포괄적인 의미에서 정년 후 계속고용에 대해선 필요하다고 판단한 비율이 93%다. 선호하는 계속고용 방식으로는 정년 연장(43%), 재고용(36%), 정년 폐지(20%) 순으로 집계됐다.

 

정년을 연장할 경우 우려되는 사항으로는 '청년층 신규 채용감소'(27%), '인건비 부담'(19%), '고령화로 인한 생산성 저하'(18%) 등이 꼽혔다. 반면 정년 연장이 고령화 사회 해결에 도움이 된다고 본 비율은 89%로 긍정적인 면도 부각됐다.

 

현재 만 65세인 노인연령에 대해선 기준을 높이는 것에 찬성한다는 비율(77%)이 반대 비율(23%)보다 월등히 높았다. 특히 찬성 비율은 30대(82%), 40대(76%), 50대(74%) 등 비교적 젊은 세대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적정 노인 연령은 70세라고 답한 비율이 62%로 가장 높았다.

 

이번 조사는 성별, 연령별, 직업별 가중치를 부여한 뒤 온라인 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처자식 먹여 살려야…"늙어서도 일하고 싶어" 정년연장 원했다

 

②짙어진 정년연장 목소리
 

정년(만 60세) 퇴직 이후에도 일하고 싶다는 응답은 약 90%에 달했다. 늙어서도 일하겠단 의지는 정년에 가까워질수록, 부양해야할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강하게 나타났다.

 

65세 이상에도 일하고 싶단 비중은 94%다. 그러기 위해선 계속고용 제도를 도입해야 한단 비중이 90%를 넘었다. 계속고용 방식으론 1년 이상 정년연장이 40%대로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머니투데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전국 만 30~59세 정규직 상용근로자 100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년 퇴직 이후에도 근무할 의향이 있는 비율은 87%다.

 

세부적으로 '어느 정도 있다' 47%, '많이 있다' 40% 등으로 일할 의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정년 이후 근무할 의향이 있다는 답변 비중이 높게 나왔다. 정년에 가까워진 50대는 88%, 40대 87%, 30대 83% 등 순이었다.

 

자녀 유무 등으로도 답변이 갈렸다. 자녀가 있을 경우 정년 이후 근무할 의향이 있다는 비중이 89%로 가장 높았고 자녀가 없거나 미혼·비혼인 경우는 83%였다. 특히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근무할 의향은 더욱 짙었다. 4명 이상은 89%, 3명 87%, 2명 85%, 1명 81% 등이었다.

 

정년 퇴직 이후 희망 근무 연령은 만 65세 이상 70세 미만이 44%, 70세 이상 75세 미만 36% 등 순으로 나타났다. 눈여겨 볼 점은 75세 이상 80세 미만이 8%로 61세 이상 65세 미만(6%)보다 비중이 컸단 것이다. 80세 이상도 6%였다.

 

역시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70세 이상에도 일하겠단 의지가 강했다. 가령 가구원 수 4명의 경우 54%로 절반을 넘어섰다. 가구원 수 3명과 2명은 47%, 1명은 45% 등 순이었다.

 

정년 연장을 희망하는 비중은 91%였다. 세부적으로 '어느 정도 필요하다'가 52%, '매우 필요하다'가 39%였다. 반대로 '별로 필요하지 않다'가 7%, '전혀 필요하지 않다'는 2% 등이었다.

 

희망하는 정년연장 연령은 만 65세가 51%로 가장 비중이 컸다. 이어 66세 이상이 37%였다. 이어 63세 6%, 62세 3%, 64세 2%, 61세 1% 등 순이었다.
 

직장 내 계속고용제도 운영 여부를 보면 운영하지 않는단 응답이 64%로 우세했지만 계속고용제도 도입을 희망한다는 응답은 93%나 차지했다.

 

계속고용제도 도입 시 선호하는 방식은 정년 연장(1년 이상 연장)이 43%로 가장 비중이 컸다. 이어 정년은 바꾸지 않고 정년에 도달한 근로자 재고용 (퇴직 후 6개월 이내, 1년 이상 근로계약)이 36%, 정년폐지 20% 등 순이었다.

 

특히 월 평균 수입이 높을수록 정년연장을 선호했다. 900만원 이상과 600~899만원인 응답자의 비율은 46%로 가장 높았다.

 

또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정년연장을 높은 비중으로 원했다. 4년제 대학 재학/졸업 이상은 45%, 전문대 재학/졸업은 44%, 고졸이하는 34% 등 순이었다.

 

또 정년 시 미성년 자녀 유무에 따라 응답이 갈렸다. 미성년 자녀가 있는 응답자중 49%가 정년연장을 선호했다. 절반 수준이 정년을 늘려야 한다고 답한 것이다. 이어 미성년 자녀 없음은 43%, 자녀 없음은 38% 등 이었다.
 

-생략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37711

목록 스크랩 (0)
댓글 2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믹순X더쿠🌞] 피부는 촉촉, 메이크업은 밀림 없는 #콩선세럼 체험 (100인) 301 04.05 13,766
공지 [공지] 언금 공지 해제 24.12.06 1,566,206
공지 📢📢【매우중요】 비밀번호❗❗❗❗ 변경❗❗❗ 권장 (현재 팝업 알림중) 24.04.09 6,197,354
공지 공지가 길다면 한번씩 눌러서 읽어주시면 됩니다. 23.11.01 9,446,004
공지 ◤더쿠 이용 규칙◢ [스퀘어 정치글 금지관련 공지 상단 내용 확인] 20.04.29 28,526,084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66 21.08.23 6,581,102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43 20.09.29 5,529,360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488 20.05.17 6,242,432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98 20.04.30 6,552,717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9. 스퀘어 저격판 사용 금지(무통보 차단임)] 1236 18.08.31 11,567,784
모든 공지 확인하기()
343862 기사/뉴스 '악연' 씹어먹은 박해수의 미친 열연, 끝까지 방심 금물 5 02:25 899
343861 기사/뉴스 풍자, 랄랄 ‘임신 비밀’ 시절 태몽 대신 꿨다 “생생해서 새벽에 전화” (아는형님) 10 01:30 2,015
343860 기사/뉴스 “사람 죽여 가둬놨다” 신고받고 출동해 문 열었더니… 6 01:26 3,065
343859 기사/뉴스 <소년의 시간> 비극은 이미 진행되는 중이다, 당신 아들의 방과 스마트폰 속에서 [위근우의 리플레이] 8 01:13 1,704
343858 기사/뉴스 尹 파면날 ‘놀라운 일’… 15m 대형 고래, 광양항 연안 출몰 “극히 이례적” 5 01:12 1,701
343857 기사/뉴스 “대전에서만 파는데…” 전국민 달려가더니 ‘역대급 매출’ 찍은 성심당 7 01:06 2,485
343856 기사/뉴스 한국·일본 등 6개국, 아동포르노 떼거리 적발…최다 국가는? 11 00:54 1,533
343855 기사/뉴스 1경 증발한 미국 증시 452 00:30 39,096
343854 기사/뉴스 "트럼프 취임 후 시총 1경4천조 원 증발"...공포지수 5년 만에 최악 15 04.05 1,960
343853 기사/뉴스 '독수리 5형제를 부탁해!' 상사병 걸린 안재욱, 콩나물국에도 엄지원 아른거려 6 04.05 1,718
343852 기사/뉴스 30대 해경, 한쪽 다리 잃었다…부두서 선박 사이에 다리 끼임 사고 15 04.05 2,975
343851 기사/뉴스 밴디트 출신 승은, 男아이돌 양다리 폭로 "현재도 활발히 활동 중" 4 04.05 5,140
343850 기사/뉴스 윤석열, 파면 이틀째 ‘관저정치’ 중…“대통령 아니라 집단 보스” 20 04.05 3,586
343849 기사/뉴스 [MBC 100분토론] 유시민 “尹, 재구속되는 행위 스스로 할 것” 11 04.05 3,236
343848 기사/뉴스 박서진 여동생 “엉덩이 만지거나 꼬집고 냅다 욕” 오빠가 스타라 눈물만 (살림남) 6 04.05 3,935
343847 기사/뉴스 🍞전국민 빵 먹으러 대전 달려 가더니…성심당 "매출 장난 아니네"🍞 18 04.05 2,919
343846 기사/뉴스 “닥터페퍼에도 밀리다니”...음료사업 美점유율 3위로 떨어진 ‘펩시’ 11 04.05 1,862
343845 기사/뉴스 쓰레기 줍는 등산객 0명···하하 “기적 만들어 보자” (놀뭐) 12 04.05 2,518
343844 기사/뉴스 대전서 60대 남성 숨진 채 발견…경찰 수사 중 18 04.05 5,373
343843 기사/뉴스 48명 살해한 러시아 살인범 “추가 11건 자백 준비” 4 04.05 2,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