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사/뉴스 비상계엄 선포 전 국무회의, 檢 시각은… “의안 제출 않았고, 일방적 통보해”
3,131 0
2025.01.04 12:38
3,131 0
본지가 이날 국회를 통해 입수한 김 전 장관의 공소장에 따르면, 검찰은 비상계엄 전 국무회의에 절차상 하자가 있다고 봤다. 헌법에 따르면 국무회의는 헌법상 최고의 정책심의기관이다. 대통령과 국회의 동의를 얻어 대통령이 임명하는 국무총리 및 국무총리의 제청에 따라 임명된 국무위원으로 구성되며, 정부의 권한에 속하는 중요한 정책을 심의하는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계엄법 등에 따르면 계엄과 그 해제는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국무회의는 국가의 중요 정책이 전 정부적 차원에서 충분히 심의될 수 있도록 운영돼야 하고, 구성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구성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의결해야 한다. 대통령‧국무총리‧국무위원은 국무회의 심의사항을 의안으로 제출해야 하고, 국무회의에서 중점 심의되어야 하는 중요 사항에 대해서는 그 심의에 필요한 검토의견 등을 해당 의안에 분명히 밝혀 제출해야 하며 간사인 행정안전부 의정관이 국무회의록을 작성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윤석열 대통령과 김 전 장관은 비상계엄 선포 안건을 국무회의에 의안으로 제출하지 않았다는 것이 검찰 조사 결과다. 윤 대통령은 계엄 선포 당일 점심 무렵부터 오후 9시 33분까지 본인이 직접, 또는 대통령부속실을 통해 한덕수 국무총리 등 국무위원 및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을 소집했는데, 이 때 소집 이유를 알려주지 않고 ‘대통령실로 빨리 들어오라’는 취지로 지시했을 뿐이라고 한다.

한 총리는 국무회의 정족수가 채워지기 전인 오후 10시쯤 대통령집무실에서 윤 대통령과 만나 “비상계엄을 선포할 경우 경제가 아주 어려워진다. 대외신인도 하락이 우려된다”는 취지로 만류했다고 한다. 조태열 외교장관도 집무실로 향해 “비상계엄 선포는 외교적 영향뿐만 아니라 70년동안 대한민국이 쌓은 성취를 무너뜨리는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대통령 권한대행인 최상목 기재장관도 집무실에서 “비상계엄 선포는 경제와 국가신인도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안 된다”는 취지로 말렸다고 한다.

윤 대통령이 그러나 “종북 좌파들을 이 상태로 놔두면 나라가 거덜나고 경제든 외교든 아무 것도 안된다. 국무위원의 상황 인식과 대통령의 상황 인식은 다르다”며 “돌이킬 수 없다”고 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조 장관에게 ‘재외공관을 통해 대외 관계를 안정화 시켜라’라는 내용이 기재된 문서를 건네주면서 비상계엄 선포 이후의 조치사항을 지시했다고 한다.


오후 10시 17분쯤 오영주 중소벤처기업장관이 대통령실에 도착하자, 윤 대통령은 대접견실에서 국무회의를 열고 “지금 이 계획을 바꾸면 모든 게 다 틀어진다. 이미 언론에 다 얘기했고, 문의도 빗발치는 상황”이라며 “지금 계엄을 선포할 수밖에 없다. 대통령의 결단”이라고 말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국무회의 심의를 했고 발표를 해야 하니 나는 간다”며 오후 10시 22분쯤 대접견실을 떠난 뒤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했다는 것이다.

검찰은 이러한 ‘5분 국무회의’가 정상적인 심의가 아닌 윤 대통령의 일방적 통보라고 판단하고 있다.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이 비상계엄 선포를 국무회의 의안으로 제출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 국무회의 당시 구성원 11명이 모이기 전 일부 위원이 비공식적으로 의견을 교환했을 뿐, 국무회의 개회 이후엔 소집 이유와 안건 내용 파악조차 할 수 없는 상태였다고 검찰은 보고 있다. 행정안전부 의정관에 의한 국무회의록도 전혀 작성되지 않은 것으로 검찰은 파악했다.

김 전 장관이 한 총리를 거치지 않은 채 윤 대통령에게 비상계엄 선포 직접 건의해 계엄법을 위반한 점도 검찰은 공소장에 적었다. 또 윤 대통령이 선포한 비상계엄이 선포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점, 그 이유, 종류, 시행일시, 시행지역 및 계엄사령관을 공고하지 않은 점, 지체 없이 국회에 통고하지 않은 점, 국무회의 심의를 거치지 않은 채 박안수 전 육군참모총장을 계엄사령관으로 임명한 점을 절차상 하자로 적시했다.

검찰은 이 밖에도 비상계엄 선포 이후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및 국회 통고를 문서로써 하지 않아 헌법에 위배된다고 보고 있다. 헌법 82조는 대통령의 국법상 행위는 문서로써 하며, 이 문서에는 국무총리와 관계 국무위원이 부서(副署)하여 대통령의 권한 남용을 견제하고 국무위원의 책임을 명확히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문서가 만들어지지 않아 김 전 장관과 한 총리 등 국무위원들이 부서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880402?sid=102

목록 스크랩 (0)
댓글 0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AHC☀] 올 여름을 위해 폭삭 쟁였수다😎 선케어 맛집 AHC의 ‘블랙 선크림’ 체험 이벤트 🖤 479 04.10 23,101
공지 [공지] 언금 공지 해제 24.12.06 1,641,083
공지 📢📢【매우중요】 비밀번호❗❗❗❗ 변경❗❗❗ 권장 (현재 팝업 알림중) 24.04.09 6,314,553
공지 공지가 길다면 한번씩 눌러서 읽어주시면 됩니다. 23.11.01 9,507,127
공지 ◤더쿠 이용 규칙◢ [스퀘어 정치글 금지관련 공지 상단 내용 확인] 20.04.29 28,654,475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66 21.08.23 6,631,828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43 20.09.29 5,573,709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493 20.05.17 6,288,849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98 20.04.30 6,602,902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9. 스퀘어 저격판 사용 금지(무통보 차단임)] 1236 18.08.31 11,616,577
모든 공지 확인하기()
2683127 이슈 모르시는 분들 계실듯. 노무현 대통령은 자택 대문에서 나오는 순간부터 검찰까지 헬기띄워서 생중계했음. 검찰에 들어갈 때 포토라인에도 세웠음. 모욕을 주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자본과 정성을 들였었다. 14:01 52
2683126 이슈 모든 MBTI중 낯가림 제일 심한 INTJ가 용기 내서 먼저 말을 걸수 있었던 이유.JPG 2 14:00 276
2683125 팁/유용/추천 김세정 - Jenga (2023) 13:56 64
2683124 이슈 [뉴스공장] 강유정 : 법을 통한 쿠데타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고 보고 있어요. 3 13:56 395
2683123 유머 케톡에 나타난 ㅈㄴ 깜찍 커염 곰도리 강아지 출현 15 13:55 1,230
2683122 유머 라이벌로 칭하지만 솔직히 상대도 안 되는 후라이드 치킨 vs 양념 치킨 18 13:54 643
2683121 이슈 카리나 생일 기념 에스파 멤버들이 올려준 투샷 사진들ㅋㅋ 3 13:53 551
2683120 이슈 [KBO] [두산베어스 x 브롤스타즈] 어린이날 콜라보 : 보여줘, 너의 스타 플레이! 9 13:53 506
2683119 이슈 남한이랑 북한이 똑같은 언어 쓴다는게 너무 신기했다는 일본인.jpg 49 13:52 2,404
2683118 이슈 한옥 컨셉으로 반응 좋은 이준호 <아레나> 5월호 커버 10 13:52 721
2683117 이슈 경호원에게 호통치는 아이돌한테 한소리 하는 나나 50 13:50 3,067
2683116 이슈 촬영하다 비상계엄 선포에 놀란 정준하 7 13:50 1,362
2683115 유머 섭섭한데요.. 3 13:50 715
2683114 이슈 외국아이가 만든 떡볶이 47 13:50 2,334
2683113 유머 중국 천국의 다리 오르기 4 13:48 593
2683112 이슈 뉴욕 관광용 헬기 사고로 지멘스 CEO 본인 및 일가족 모두 사망 48 13:48 3,589
2683111 유머 분위기 있게 나온 목장사진(경주마) 2 13:47 241
2683110 유머 딸과 매번 싸운다는 고소영 10 13:47 1,784
2683109 이슈 라이즈, 엑소 카이, 에스파 윈터, 에스파 닝닝, 스트레이키즈 승민, 페기구 <W코리아> 커버 공개 51 13:47 1,075
2683108 이슈 명이나물, 산마늘이 비싼 이유 15 13:44 2,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