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사/뉴스 "사람 대우 해달라" 거리로 나온 직원들…'신의 직장'에 무슨 일
8,978 6
2024.12.30 08:30
8,978 6

IBK기업은행 노동조합원들이 2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금융위원회 앞에서 열린 총파업 집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기업은행 노조가 총파업을 단행한 것은 1973년 노조 설립 이래 최초다./사진=뉴스1

IBK기업은행 노동조합원들이 2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금융위원회 앞에서 열린 총파업 집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기업은행 노조가 총파업을 단행한 것은 1973년 노조 설립 이래 최초다./사진=뉴스1

 


한때 '신의 직장'으로 불리던 금융공공기관의 임금과 처우가 민간 금융회사에 크게 뒤처지고 있다. 업무는 늘었지만 정부가 인력과 예산을 통제하는 바람에 '초과근무수당'조차 제대로 지급하지 못하는 금융공공기관이 늘고 있다. IBK기업은행이 처음으로 단독 총파업에 나선 배경도 처우개선이 목적이다. 특히 재취업이 쉽지 않은 상태에서 급격한 세대교체까지 진행된 금융감독원은 150명 내외의 직원이 보직 없이 후선으로 밀려 인력 비효율이 심각하단 우려도 나온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의 무보직 직원(임금피크제 적용 포함)은 최근 150명 내외로 대폭 늘어난 것으로 전해졌다. 금감원 전체 직원 2100명 중 7%에 해당하는 숫자다. 국·실장 등 부서장 직함을 달았거나 팀장 보직을 맡아 일하다가 정기인사에서 뒤로 밀린 직원이 사상 최대로 늘어났다.

 

이는 지난 연말 이뤄진 대대적인 '세대교체'가 일차적 원인으로 지목된다. 금감원은 국·실장 75명 중에서 74명을 교체하는 대대적 인사를 단행했다. 1977년생 부서장도 나왔다. 과거에는 임금피크제 적용 1년여를 앞둔 부서장 위주로 보직을 내려놓는 관행이 있었지만 최근 세대교체가 빨라지면서 이 시기가 2~3년 단축된 것이다.

 

퇴직도 쉽지 않다. 재취업 문턱이 높지만 명예퇴직제도가 없다. 금감원 직원들은 5급으로 출발해 4급부터 업무연관성이 있는 기업에는 3년간 취업이 제한된다. 30대 초반부터 재취업 길이 막히는 셈이다. 무보직 직원의 경우 팀장급은 민원상담 위주로, 국·실장급은 금융교육 위주로 업무지원을 해오고 있지만 전금융권 업무연관성이 있는 후선업무는 대부분 꺼린다. 재취업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서다.

 

한 금감원 관계자는 "직급수당이 없어 소득이 연간 수천만 원씩 깎이는 데다 임금피크제가 적용되면 기본급도 급격히 줄어드는 상황에서 재취업에 문제가 되는 업무를 꺼릴 수밖에 없다"며 "인력효율화를 위해선 특별명예퇴직을 도입해 퇴로를 열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금감원뿐 아니라 한국은행, KDB산업은행, 기업은행 등 다른 금융공공기관들도 같은 문제를 겪고 있다. 정부가 예산과 인력을 통제하는 금융공공기관의 경우 명예퇴직제도도 유명무실해 사실상 '퇴로'가 막힌 상태다. 명예퇴직이 막히다 보니 신규인력 채용을 확 늘리기가 어렵다. 금감원은 전체 부서의 절반가량이 정원 대비 인력이 부족해 인력운용의 비효율이 심각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늘어나는 업무량에 비례해 예산과 정원을 탄력적으로 적용해야 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최근 총파업에 나선 기업은행을 비롯해 한은과 금감원은 올 들어 '시간외수당'이나 '초과수당'을 제대로 지급하지 못해 직원들의 반발이 거세다. 기업은행은 임금차별과 임금체불 등을 주장하며 지난 27일 사상 첫 단독 총파업을 했다. 민간 금융회사 수준으로 업무영역이 늘어난 반면 임금은 공무원 수준에 묶여 있다 보니 노사갈등이 격화한다. 기업은행 측은 자체적으로 노조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 요구사항 대부분이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등 정부승인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금융위는 조만간 내년도 금감원의 정원과 예상임금 등을 확정한다.

 

-생략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34594

목록 스크랩 (0)
댓글 6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코스알엑스 체험단 100명 모집💙 신입 코스알엑스 보습제 더쿠 선생님들께 인사드립니다! 593 04.18 38,164
공지 [공지] 언금 공지 해제 24.12.06 1,750,507
공지 📢📢【매우중요】 비밀번호❗❗❗❗ 변경❗❗❗ 권장 (현재 팝업 알림중) 24.04.09 6,508,822
공지 공지가 길다면 한번씩 눌러서 읽어주시면 됩니다. 23.11.01 9,631,117
공지 ◤더쿠 이용 규칙◢ [스퀘어 정치글 금지관련 공지 상단 내용 확인] 20.04.29 28,875,858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66 21.08.23 6,718,848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43 20.09.29 5,645,755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494 20.05.17 6,388,670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98 20.04.30 6,691,646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9. 스퀘어 저격판 사용 금지(무통보 차단임)] 1236 18.08.31 11,736,488
모든 공지 확인하기()
347583 기사/뉴스 김응수, 김희철 게임 현질에 "이혼 사유…심각하다" (미우새) 31 23:37 2,188
347582 기사/뉴스 홍준표: "옆에서 보니까 맞기는 맞드만" 12 23:33 1,914
347581 기사/뉴스 신은경, 故김수미 비보에 쇼크까지 “이틀간 못 일어나” 결국 눈물 (백반기행) 5 23:31 2,857
347580 기사/뉴스 ‘윤 어게인’에 전광훈까지… 국힘에 날아온 ‘극우 청구서’ 23:25 673
347579 기사/뉴스 신지, 김종민·에일리 결혼식 모두 참석 인증 "진심 축하해" 9 22:42 4,682
347578 기사/뉴스 르세라핌 옆 훈남 누군가 봤더니…방시혁, 다이어트 성공 후 '깜짝' 435 22:36 33,854
347577 기사/뉴스 [단독] “유튜브에 신상공개하면 스토킹”…법원 첫 판결 12 22:32 2,003
347576 기사/뉴스 “0명, 이건 너무 심했다” 줄폐업 속출 ‘비명’…충격에 빠진 국민 영화관 397 22:19 35,597
347575 기사/뉴스 ‘1억 유튜버’ 김프로 “하루 수익만 7억” 29 22:11 5,458
347574 기사/뉴스 배우 유호정, 33억 한남 오피스텔 분양받았다…광희·김나영도 산 그곳 [부동산360] 6 22:09 3,238
347573 기사/뉴스 하루 16시간씩 운전하다가 운행중에 쓰러진 버스기사님 3 22:06 2,387
347572 기사/뉴스 친구에게 돌 던진 초등생…법원 "학생·부모 2천200만원 배상" 11 21:59 1,942
347571 기사/뉴스 한동훈 "비동의강간죄, 억울한 사람 많이 만들 수 있어…강력 반대" 26 21:43 2,693
347570 기사/뉴스 [속보] "우리가 뭘 그리 잘못했나"…의사·의대생, 서울 도심서 대규모 집회 138 21:38 9,409
347569 기사/뉴스 95년 사법시험 수석, 26살 정계선 양(현재 헌법재판관).shorts 27 21:17 4,757
347568 기사/뉴스 오늘 MBC 뉴스데스크 앵커 클로징 멘트🗞️ 8 21:15 1,944
347567 기사/뉴스 [KBL] ‘심판 오심이 명승부 망쳤다!’ 한국가스공사 불리한 오심 두 개나 나왔다...해당심판 강력 징계해야 [서정환의 사자후] 11 21:09 886
347566 기사/뉴스 '전장연 때리던' 국민의힘, 대선 직전 장애인의 날에 '침묵' 21:00 737
347565 기사/뉴스 ‘억까’였나. 롯데-한화, ‘절대 1강’ LG 처음 만나 2연패-3연패…어느새 2위-3위로 올라오다 5 20:52 1,131
347564 기사/뉴스 "고인돌 사이로 날아다니는 골프공?"‥불법 파크골프장 난립 9 20:48 1,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