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진스의 문화적 성취·하이브와의 갈등 등으로 주목
'지속 가능한 K팝 생태계'에 대한 질문 던져
역사는 선이 아닌 점으로 기억된다. 굵직한 사건들이 알알이 점으로 찍혀 한 해를 기록한다. 2024년에 찍힌 점들은 어느 때보다 크다. 대한민국 역사상 44년 만에 비상계엄이 다시 선포된 해이자, 세계인의 자랑거리인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나온 해이기도 하다.
2024년은 역사에 길이 남을 대형 사건들이 줄줄이 이어졌다. 흘러간 역사를 어떻게 기억할지는 후세대에 달려 있다. 시사저널은 1989년 창간 이후 매년 12월 송년호에 올해의 인물을 선정해 발표해 오고 있다. 시사저널 편집국 기자들의 투표와 정기독자들에 대한 설문조사 등을 토대로, 우리 사회에 미친 영향력이 가장 컸던 인물을 선정하는 작업이다.
-
2024년에도 뉴진스는 K팝에서 독보적인 존재감을 보이며 새로운 트렌드를 주도했다. 시대를 초월한 감성을 지녔지만 어떤 그룹보다 신선한 뉴진스의 뒤에는 이 매력을 디자인한 '민희진'이라는 존재가 있었다. 올해는 민희진 전 어도어 대표의 '문화적 성과'를 재확인한 한 해였지만, 동시에 민 전 대표와 하이브 간 첨예한 갈등으로 K팝의 '성장의 그늘'이 대중에게 드러난 한 해이기도 했다. 대중문화계를 뒤흔든, 소속사와 레이블 간 전례 없는 갈등의 중심에 선 민 전 대표가 올해의 문화 인물로 선정됐다.
대중문화계 흔든 '파격 기자회견'의 주인공
경영권 탈취 시도 의혹으로 시작돼 7개월간 이어진 다툼은 법적 공방으로까지 번졌다. 지난 4월, 130분이 넘는 시간 동안 진행된 민 전 대표의 기자회견은 진행 시간과 형식, 내용 등 모든 부분이 파격적이었다. 미끼상품 문제나 음반 판매량 밀어내기 등 업계의 병폐들이 민 전 대표의 입을 통해 거침없이 언급됐다. 뉴진스로 혁신을 보여준 제작자의 말은 파급효과가 컸다.
그가 제기한 '카피 의혹' 속에서 아이돌 양산 문제까지 고개를 들었다. 업계의 고질적인 문제를 해소해 지속 가능한 K팝 생태계를 만드는 계기가 돼야 한다는 고민도 생겨났다. 양측 갈등의 진행 상황을 떠나, 화려한 K팝 산업에 가려진 그늘이 있다는 사실을 대중이 자각하는 계기가 된 것이다. 뉴진스로 입증된 유례없는 문화적 성취에 더해 K팝의 위기의식과 방향성에 대한 질문을 띄운 민 전 대표의 행보는 올해 대중문화계의 가장 거대한 이슈로 자리매김했다.
-
뉴진스로 재입증한 혁신적 디렉팅 능력
2022년 전형적인 걸그룹의 문법을 깨고 등장한 뉴진스는 마치 1세대 걸그룹 S.E.S가 첫 등장했을 때와 비슷한 충격을 K팝 신에 던졌다. 이지리스닝 팝 형태의 곡과 자연스러운 콘셉트뿐 아니라 데뷔 전 뮤직비디오 공개 방식, 기존에 볼 수 없었던 앨범의 형식도 업계에 파란을 일으켰다.
-
짧은 시간에 무서운 영향력을 보여준 뉴진스를 통해 민 전 대표의 기획력과 실력은 다시 조명됐다. 민 전 대표는 "뉴진스에는 매일 찾게 되고 언제 입어도 질리지 않는 진(Jean)처럼 시대의 아이콘이 되겠다는 포부와, '뉴 진스(New Gens)가 되겠다는 각오가 담겨 있다"고 설명한 바 있다. 실제로 뉴진스는 시대의 아이콘으로 올라섰고, 그 영향력은 2년이 지난 지금도 지속되고 있다. 최근 일본을 뒤흔든 하니의 《푸른 산호초》 공연 등 도쿄돔 팬미팅 공연에 대한 호평까지 이어지면서, 민 전 대표의 탁월한 콘서트 기획력도 입증됐다는 평가다.
민 전 대표와 하이브 간 갈등사는 기획사의 K팝 시스템을 넘어, 1인 기획자가 아티스트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에 대해 들여다보게 되는 계기가 됐다. 뉴진스 멤버들은 민 전 대표와 하이브의 갈등 국면 초기부터 민 전 대표를 지지하는 의사를 밝혀온 바 있다. 이들은 민 전 대표를 뉴진스의 정체성을 만들어낸 인물로 규정하고, 어도어에 내용증명을 보내 민 전 대표의 복귀를 요구하기도 했다. 뉴진스 팬덤도 민 전 대표에 대해 '뉴진스를 기획하고, 장기적인 전략과 브랜딩으로 멤버들과 협업해 지금의 성과를 만들어낸 인물'로 평가했다.
-
조유빈 기자 you@sisajournal.com
https://m.entertain.naver.com/article/586/00000939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