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사/뉴스 저소득층 10명 중 7명 빈곤 탈출 못했다…소득하위 20% 머물러
1,800 7
2024.12.18 11:26
1,800 7

통계청, 2017~2022년 소득이동통계 발표
35%는 소득이동 경험…여자·노년층·청년 이동성↑
소득하위 20%, 3명 중 1명 1분위 탈출…7명은 유지

 


[세종=뉴시스]임하은 기자 = 2022년 기준 저소득층 10명 중 7명은 다른 소득분위로 이동하지 못하고 소득 하위 20%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소득층은 대다수인 86%가 상위 20% 소득을 견고히 유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은 18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7~2022년 소득이동통계'를 발표했다.

 

작년부터 개발을 시작한 이번 통계는 인구주택총조사 등록센서스와 국세청 소득자료를 연계해 처음 공표됐다. 가구단위의 20% 표본 중 가구원 개인에 대한 소득 이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패널형태의 데이터로, 쉽게 말해 6년간 같은 사람의 소득이 상향이동했는지, 하향이동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소득은 노동을 통해 번 근로·사업소득이 대상이다.

 

최바울 통계개발원 사회통계연구실장은 배경브리핑에서 "소득이동통계는 개인의 사회계층 이동성 파악을 통해 노동시장에서 경제적 성취를 볼 수 있는 기회의 평등을 보는 통계다. 가계금융복지조사는 정부의 재분배에 따른 결과의 평등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35%는 소득이동 경험…여자·노년층·청년 이동성↑

 

2022년에 전년과 비교해 소득분위의 상승이나 하락을 경험한 사람은 34.9%로 집계됐다. 소득분위를 유지한 사람은 65.1%다.

 

상향이동한 사람은 17.6%로 하향이동한 사람(17.4%)보다 소폭 많았다.

 

남자(34.0%)보다 여자(36.0%)가, 노년층(25.7%)보다 청년층(41.0%)이 소득이동성이 높게 나타났다.

 

남자는 상향이동(17.2%)이 하향이동(16.8%)보다 소폭 높았다. 여자는 상향과 하향 모두 18.0%로 동일했다.

 

청년은 상향 이동비율(23.0%)이 하향 이동비율(18.0%)보다 높았다.

 

65세 이상 노년층은 하향이동이 15.7%로 상향이동(10.0%)과 간극이 컸다.

 

소득이동성은 2020년 35.8% 증가한 이후 꾸준히 감소했다. 2020년은 코로나19 팬데믹이 확산하면서 소득·고용 충격이 커 변화가 일어났던 해다.

 

남자의 상향이동은 2020년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한 상태를 유지 중이고, 하향이동성은 감소세다. 여자의 상향이동은 2020년을 제외하고 감소세이며, 하향이동은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20년 청년층의 하향 이동비율이 특히 증가했고, 중장년층과 노년층에서는 감소했다.

 

시도별로 보면 2022년 기준 소득이 상향이동하는 비율이 높은 지역은 인천, 제주, 경기였고, 낮은 지역은 세종, 전남, 전북으로 나타났다.

 

2022년 소득분위별 이동비율을 보면 2분위가 50.1%로 가장 높았다. 이 가운데 21.3%는 1분위로 떨어졌고, 28.8%는 3분위 이상으로 상승했다.

 

소득 1분위의 69.1%, 5분위의 86.0%는 분위 변동이 없었다.

 

소득하위 20%, 10명 중 3명만 1분위 탈출…7명은 유지

 

2021년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운데 30.9%는 2022년에 1분위를 탈출했다. 나머지 69.1%는 1분위를 그대로 유지했다.

 

5분위 유지율은 86.0%로 1분위보다 높았다. 고소득층이 소득 수준을 유지하는 게 상대적으로 견고한 것으로 풀이된다.

 

소득 1분위를 유지한 비율은 2020년 한해 감소한 이후 점차 증가해 70%에 육박했다.

 

2017년 소득 1분위에 속한 사람 10명 중 7명은 2022년까지 1분위를 탈출했다. 3명은 지속적으로 1분위 유지했다.

 

여자보다는 남자가, 노년층보다는 청년층이 1분위에서 빨리 벗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년층 남자의 1분위 지속기간 비율이 가장 빨리 감소했다.
 

소득 금액의 증감을 나타내는 절대적 이동성을 보면, 2022년 소득금액이 전년보다 상승한 사람은 64.4%로 하락한 사람(32.9%)보다 많았다.
 

-생략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968697?sid=101

 



 

목록 스크랩 (0)
댓글 7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퍼셀X더쿠💎] #빈틈없는쫀쫀결광 NEW 화잘먹치트키 ✨글로우 배리어 세럼✨ 체험 이벤트 453 04.09 38,591
공지 [공지] 언금 공지 해제 24.12.06 1,648,579
공지 📢📢【매우중요】 비밀번호❗❗❗❗ 변경❗❗❗ 권장 (현재 팝업 알림중) 24.04.09 6,326,430
공지 공지가 길다면 한번씩 눌러서 읽어주시면 됩니다. 23.11.01 9,519,054
공지 ◤더쿠 이용 규칙◢ [스퀘어 정치글 금지관련 공지 상단 내용 확인] 20.04.29 28,674,185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66 21.08.23 6,634,468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43 20.09.29 5,576,627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493 20.05.17 6,294,541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98 20.04.30 6,610,496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9. 스퀘어 저격판 사용 금지(무통보 차단임)] 1236 18.08.31 11,627,124
모든 공지 확인하기()
2683963 이슈 2년 전 오늘 발매♬ 스핏츠 '美しい鰭' 06:43 27
2683962 이슈 부모님픽 과자들 호불호 글 7 06:40 427
2683961 이슈 다이쇼시대 굿즈가 나와버린 일본 애니 사카모토데이즈 8 06:38 663
2683960 이슈 엔하이픈 - 지미 키멜 라이브(Jimmy Kimmel Live) 출연 영상 06:37 109
2683959 기사/뉴스 민주, ‘경선 룰’ 진통 속 오늘 최종 의결 11 06:36 454
2683958 이슈 오늘날까지도 치료법이 발견되지 않은 치사율 100%의 전염병 11 06:32 1,560
2683957 이슈 힘들었던 지난 3년동안 고마운 사람이 많이 생겼다는 가인.jpg (ft.임슬옹) 9 06:29 1,001
2683956 유머 놀라운 식기세척기...twt 4 06:26 928
2683955 이슈 초코맛 아이스크림 근본은 뭘까.jpg 24 06:14 1,046
2683954 이슈 8년 전 오늘 발매♬ 쿠라키 마이 '渡月橋 ~君 想ふ~' 4 05:45 317
2683953 정보 최근 유행한 "🍭루비쨩~💕🍦나니가스키~?" 주인공을 데뷔썰부터 알아보는 글.jpg 3 05:43 874
2683952 이슈 덱스가 누나들이랑 놀아서 사실 섭섭했다는 기안... 25 04:45 4,856
2683951 기사/뉴스 [속보] '광명 붕괴' 고립자 1명 구조 완료…사고 발생 13시간 여만 52 04:45 4,261
2683950 유머 새벽에 보면 완전 추워지는 괴담 및 소름돋는 썰 모음 199편 2 04:44 791
2683949 이슈 [KBO] 야구팀이 아니라 쇼핑몰 창업하는거 아니냐고 말 나오는 야구팀 32 04:41 3,432
2683948 이슈 수지 브이로그 분위기...🫧 14 04:27 3,207
2683947 이슈 2년 전 오늘 발매♬ SixTONES 'ABARERO' 04:24 666
2683946 이슈 "아이들 어떡해!" 불 보자마자 각 반으로 흩어져 구출한 교사들, 냅다 안고 뛴 시민들 (현장영상) 16 04:22 3,442
2683945 이슈 스퀘어에 올라오는 글 중 덬들이 가장 관심있는 카테고리는? 34 04:19 1,675
2683944 이슈 뭔가 탐나는 쏟아진 커피........jpg 11 04:12 4,9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