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I17FACCx1qk?si=0Nitu6M3X9Jg_3bq
12·3 비상계엄 당시 동원된 군 병력은 지금까지 경찰 수사로 확인된 수만 1천 5백여 명에 달합니다.
육군 최정예 특수부대, 707특수임무단은 국회에 투입됐습니다.
그런데 군 당국이 비상계엄 해제 이후 복귀한 707 부대원들의 외출을 막고, 휴대전화까지 압수했다는 제보가 군인권센터에 접수됐습니다.
부대 전원이 아니라 계엄군으로 투입된 병력만 콕 집어 2주간 외부 접촉을 막았다는 겁니다.
[임태훈/군인권센터 소장]
"군이 계엄군 투입 인원들을 입막음하기 위해 부대 안에 가둬놓고 외부와 소통을 차단하는, 사실상의 감금을 자행한 것이다."
군인권센터는 "특전사 뿐 아니라 수도방위사령부 등에서도 유사한 조치가 이뤄진 것으로 파악된다"며, "내란의 실체를 은폐·축소하기 위해 누가 지시한 것인지 수사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비상계엄 당시 수상한 정황도 추가로 드러났습니다.
군인권센터는 복수의 현역 육군 간부 제보를 토대로 "계엄군이 충돌 전 유서 작성을 지시 받고 채혈도 했다"고 폭로했습니다.
국회 등을 강제 진압하는 과정에서 군이 '무력 충돌' 같은 최악의 상황까지 대비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됩니다.
"접경지로 간다"며 목적지를 알리지 않고, 이동 중 헬리콥터가 수차례 선회해 "방향 감각을 잃도록 했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비상계엄 후 기자회견을 자청한 707특임단장은 이같은 의혹에 대한 언급 없이 "무능한 지휘관의 지시를 따른 피해자"라고만 했습니다.
[김현태/707 특수임무단장(지난 9일)]
"전 김용현 국방장관에게 이용당한 가장 안타까운 피해자입니다. 부대원들은 죄가 없습니다."
육군은 이에 대해 "계엄 당시 투입된 병력을 강제로 부대 안에 대기시킨 적이 없다"며, "유서 작성과 채혈도 지시한 적이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MBC뉴스 변윤재 기자
영상취재: 김백승 / 영상편집: 허유빈
https://n.news.naver.com/article/214/0001394453?sid=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