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용산역 인근 홈리스 대상 혐오·폭력 콘텐츠 실태 심각
SNS 영상 보고 찾아오는 학생도 다수…조롱하거나 폭력 행사
콘텐츠로 소비되며 폭력의 대상 된 홈리스, 관할 부처는 방관
"내 박스를 뺏고 도망가서 쫓아가니 (유튜버들이) 영상으로 찍었다. 거지 분장을 하고 와서는 '우리도 거지에요'라고 하거나, 이불을 훔쳐가놓고 '내 이불 왜 훔쳐갔냐'며 쇼를 하기도 한다. 모자이크를 안 해서 얼굴도 다 노출된다. 몇 명씩 같이 오는데 일주일에 한 팀은 꼭 온다. 막차 시간이 다 될때 와서 새벽까지 돌고 가기도 한다. '길 좀 물어본다'고 하거나 빵을 하나 툭 던지고선 눈 뭉치를 던진 적도 있다. 늘상 겪는 일이다."
지난 9일 오전 미디어오늘이 서울역 지하보도에서 만난 A씨는 유튜버 등 인터넷 방송인들에게 당한 일들을 털어놨다. 서울역에서 거리 생활을 한 지 1년 가량 된 A씨는 올해 6월부터 본격적으로 인터넷 방송인들이 찾아왔다고 전했다. 특히 A씨를 집중적으로 찾아와 공격하는 이는 '신태일'이다. 신태일은 자해, 집 방화 등 선정적 방송이나 사회적 약자를 찾아가 괴롭히는 방송을 주로 해오던 인물로, 유튜브 등에서 영구 퇴출돼 현재는 인스타그램에 영상을 내보내고 있다. 이들의 영상 조회수와 팔로워 수는 곧 돈이 된다. 빈곤 혐오 산업이다.
신태일의 영상이 나간 후 중·고등학생들도 찾아와 A씨를 조롱하기 시작했다. 신태일은 A씨가 '올리브영' 박스를 자리에 가져다 놨다는 이유로 그를 '올리브영 할매'라고 불렀는데, 학생들은 A씨의 자리를 '성지'로 삼아 '인증샷'을 찍거나 소리 지르고 뛰어가기도 한다. A씨가 반발할수록 그들은 더 재미있어하며 그를 조롱한다. A씨의 보금자리엔 유튜버 등 인터넷 방송인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우산 세 개가 펼쳐져 있었다.
▲ 지난 9일 오전 미디어오늘이 서울역 지하보도에서 만난 A씨의 보금자리. A씨의 보금자리엔 유튜버 등 인터넷 방송인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우산 세 개가 펼쳐져 있었다. 사진=윤유경 기자.
"어제(8일)도 중·고등학생 6명이 왔다. 요즘은 내가 없어도 (내 자리를) 사진을 찍고 나를 찾는다고 하더라. 비아냥거리고 조롱하러 오는 거다. 내가 욕을 하고 쫓아내도 학생들은 '아줌마는 왜 거지 생활해?'라고 말한다. 다른 노숙자들이 누워있는 걸 보고도 킥킥거리고 사진 찍고 간다."
이는 강씨만의 경험은 아니다. 일주일에 한 번씩 서울역과 용산역 근방에서 거리상담을 하는 빈곤사회연대와 홈리스행동 활동가들은 몇 년 사이 노숙인 대상 혐오성 콘텐츠가 월등히 늘어난 것을 체감했다. 발언과 폭력의 수위도 훨씬 심각해졌다. 홈리스행동에서 지난 7월 발행한 '홈리스뉴스' 제126호에도 서울역 서부 텐트촌에 거주하는 정씨(가명)와 최씨(가명)의 유사한 경험이 실려있다.
(중략)
▲ 신태일(@shintaeil12) 인스타그램에 공개된 영상 중 노숙인 혐오성 콘텐츠 일부 갈무리. 주변 배경은 노숙인 신원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모자이크 처리했다.
유튜브 촬영으로 인해 노숙인들의 얼굴과 거주지는 그대로 노출된다. 벽이 없는 곳에 거주하는 노숙인들은 유튜버들의 촬영을 막기 어렵다. 텐트를 치고 거리에서 생활하던 A씨는 2년 간 일주일에 한 번 가량씩 젊은 남성 무리로부터 폭행을 당하다 재작년 말 사망했다. 김 활동가는 "한두 번 당하고 나면 텐트를 치고 누워있는 게 불안해져 신경이 쇠약해진다"며 "건강했던 분이었는데 2년 사이 몸이 많이 상했다. 사망하기 이틀 전에도 텐트가 망가지는 사고가 있었고, 일련의 일들에 절망해 밖에서 주무시다가 한파에 돌아가셨다"고 말했다.
혐오성 콘텐츠를 제작하는 주 목적은 돈이다. 자극적인 콘텐츠에 대한 조회수나 후원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김 활동가는 "과거 아프리카TV BJ들이 서울역 광장에 와서 노숙인들 사이에 들어가 자는 모습을 카메라로 찍고, 장애를 가진 사람의 신체를 흉내냈다. 신고가 이어져 경찰이 제지하니 화를 내면서 '나도 가난해서 먹고 살려고 하는 건데 뭔데 나를 제지하냐'고 말해 황당했던 기억이 있다"고 말했다. 홍 활동가도 "영상의 댓글을 보면 '난 저렇게 살지 말아야지'라는 식으로 사람들이 안심이나 위안을 얻으며 홈리스에 대한 혐오가 재생산된다. 홈리스를 소비하는 방식"이라고 지적했다.
전문 출처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6/00001276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