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사/뉴스 [단독] 노벨상 심사위원장 인터뷰…“한강 소설은 인간 고통에 대한 거대한 질문”
6,155 11
2024.12.04 18:28
6,155 11

노벨상 심사위원장 안데르스 올손 단독 인터뷰


wmAlUU


“한강의 소설은 인간의 고통에 대한 거대한 질문을 담고 있다.”

안데르스 올손 노벨문학상 심사위원장(노벨위원회 노벨문학상 의장·75)은 3일 매일경제와 단독 인터뷰에서 “한강의 작품에서 반복되는 것은 윤리적 차원과 인간의 고통에 대한 강한 감각”이라고 강조했다.


올손 위원장은 오는 10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콘서트홀에서 개최되는 한강 작가의 2024년 노벨문학상 시상식에서 심사위원회 전원을 대표해 스웨덴의 칼 구스타브 16세 국왕과 세계문학 독자들에게 ‘2024년 노벨문학상 한강 선정 사유’를 연설하는 인물이다. 노벨문학상 심사위원장이 한국 언론과 인터뷰를 진행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그는 7개의 질의로 진행한 문답에 앞서 “내 견해는 올해 노벨문학상 심사위원 중 한 명의 의견일 뿐”이라고 선을 그으면서도 “그러나 내 개인적 견해를 기꺼이 (한국 독자들과) 공유하겠다”며 입을 열었다.




대표작 ‘작별하지 않는다’

‘소년이 온다’는 증언문학
하나의 장르에 머물지 않고
‘흰’ 등 다양한 방향으로 전개




-한강 최근작은 ‘증언문학’의 결과물로 이해된다. 그런 점에서 한강 소설은 헤르타 뮐러, 케르테스 임레, 가오싱젠, 오에 겐자부로 등 인간의 악마성이 드러난 전쟁과 독재에 항거한 문학적 유산을 공유한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심사위원장으로서 한강 소설의 문학적 성취를 평가해달라.

▷한강의 대표적인 소설 ‘소년이 온다’ ‘작별하지 않는다’는 우리가 알고 있는 개념으로서의 증언문학과 유사성이 크다. 증언문학이란 개인, 집단이 경험한 고통, 트라우마에 대한 증언을 기록하는 문학의 형태를 뜻한다. 하지만 난 위대한 작가의 작품을 특정 장르로만 ‘축소’해 바라보는 일에 회의적이다. 한강의 다른 작품인 ‘채식주의자’ ‘흰’ ‘희랍어 시간’도 증언문학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을까. 오히려 (증언문학에 머무르기보다는) 난 한강 작가가 매우 다양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중이라고 느낀다. 그 이유는, 증언문학의 전통에 속한 여러 작가와 다르게 한강 작가가 매우 시적(詩的)이고 주관적인 목소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강 소설엔 윤리적 차원과 인간의 고통에 대한 강렬한 감각이 반복된다.




영문판 오역 논란 영향으로
‘채식주의자’ 4개 언어로 읽어
한국어 직역한 독일어판 우수
보수적 한국인, 역사왜곡 비판
중요한 건 현실 표현하는 능력



-증언문학으로서의 한강 소설을 질문한 이유는, 증언문학의 기본적 조건인 ‘사실성(factuality)’에 관한 논쟁이 현재 한국에서 발생해서다. 증언문학은 언제나 역사에서 잉태된 사실성에 기반하므로 반대 진영에서는 ‘역사 왜곡’ 비판이 제기되곤 한다. 한국의 일부 독자들은 한강 소설의 이념적 편향성을 주장하고 있기도 하다.

▷노벨문학상 심사위원으로서 나 역시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발표 후 보수적인 한국인으로부터 한강 작가를 ‘이데올로기적 작가(an ideological writer)’로 바라보는 비판적 시선의 이메일을 받았다. 그러나 이는 내게 완전히 잘못된 주장이다(To me this is all together false). 한강 작가가 특정 이데올로기를 갖고 있을 수도 있겠고, 물론 그에 대해 난 확신할 수 없지만, 문학에서 중요한 건 특정 문제에 대한 의견이 아니라 예술적으로 설득력 있게 현실을 표현해내는 능력이다.

-한강 소설은 ‘타인의 고통’을 이야기한다. 하지만 자전 소설이 아닌 이상 소설을 쓰는 작가는 관찰자 자리에 서게 된다. 고통을 당사자가 아닌 작가가 경험하고 서술하는 일은 불가능하다. 관찰자로서의 시선이 담긴 문학은 독자에게 의미를 형성할까.

▷한강 소설 ‘작별하지 않는다’와 같은 위대한 작품(a great work)에서 일어나는 일은 고통이 재현되고 (소설 속 두 친구 간의 긴밀한 관계를 통해) 그 고통이 새로운 현실이 된다는 점이다. 그 소설을 읽으면 과거는 더 이상 과거로만 남지 않는다. 이 점에서 난 증언문학의 개념을 확장해야 한다고도 생각한다. 비록 허구적 요소가 강하지만 말이다.

-주로 한강 작가의 소설은 개인과 시대의 고통에 대한 질문으로 평가받는다. 노벨문학상 심사위원으로서 한강 작가의 어떤 작품을 얼마나 깊게 읽었는지, 또 어떤 작품을 눈여겨봤는지 궁금하다.

▷스웨덴어,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 ‘읽을 수 있는 모든 언어’로 번역된 한강의 작품을 읽었다. 불행히도 한국어를 알지 못한다. 한국어로 한강 소설을 읽지 못한 건 아쉬운 일이다. 참고로, 나를 비롯한 심사위원들은 소설 ‘채식주의자’의 영어 번역이 부족하다는 점(deficiencies)을 심사 초기에 보고받았다. 스웨덴어 번역도 영문판 번역을 기반으로 했기 때문이다(중역). 따라서 우리 심사위원들은 ‘채식주의자’를 세 가지 언어 버전(스웨덴어, 독일어, 프랑스어)으로 읽어야 했다. 한국어를 직접 독일어로 번역한 독일어 번역본(직역)이 다른 언어 번역본보다 우수하다고 판단했다.

-한국 작가가 처음으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하면서 한국 독자들 역시 거대한 감동을 받았다. 난 역으로 질문해보고 싶다. 한강의 노벨상 수상은 스웨덴 한림원엔 어떠한 의미를 가질까.

▷노벨문학상은 작가 개인에게 수여되지, 국가에 주는 상은 아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수상의 범위(수상 작가의 국적)를 넓힐 수 있음을 기쁘게 생각한다. 노벨문학상은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장에 명시된 대로 세계적인 상으로 의도되었지만 1986년 노벨문학상을 받은 나이지리아의 월레 소잉카가 상을 받기 전까지 본질적으로는 ‘유럽 중심’의 상으로 비쳤다. 우리는 새로운 정책(지역적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

-노벨문학상 심사에 깊이 참여한 당사자로서 ‘21세기 문학’을 정의해달라. 윤리적 관점에서 소설 장르가 미래에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까 한다고 보는지, 또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가장 이상적인 문학’이란 어떤 형상이어야 한다고 믿는지도 궁금하다(두 개의 질문을 아래 하나의 질문으로 통합해 답변함).

▷향후 몇 년간의 급진적 변화에 대해 우리는 열린 마음을 가져야 한다. 특정한 윤리적 동기를 가진 글쓰기만을 주장하는 건 현명하지 않다. 1901년에 시작된 노벨문학상의 첫 100년간 스웨덴 한림원은 도덕적이며 보수적인 가치관 때문에 레프 톨스토이, 헨리크 입센, 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베리와 같은 작가들을 ‘부도덕하거나 이상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간과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지난 20세기 동안 스웨덴 한림원이 이전과는 달리 ‘문학적 가치’를 중심으로 상을 수여한 건 올바른 일이다. 그렇다고 해서 한강 작가의 작품에 담긴 윤리적 차원을 평가하지 않았다는 의미는 아니다. 오히려 그 반대다. 그러나 한강 작가가 올해 노벨문학상을 받은 주된 이유는 분명하게도 ‘문학적 가치’ 때문이다.


https://naver.me/FTXAsQrY

목록 스크랩 (4)
댓글 11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농심X더쿠] 매콤꾸덕한 신라면툼바의 특별한 매력!🔥 농심 신라면툼바 큰사발면 체험 이벤트 626 04.02 36,932
공지 [공지] 언금 공지 해제 24.12.06 1,554,716
공지 📢📢【매우중요】 비밀번호❗❗❗❗ 변경❗❗❗ 권장 (현재 팝업 알림중) 24.04.09 6,176,360
공지 공지가 길다면 한번씩 눌러서 읽어주시면 됩니다. 23.11.01 9,434,917
공지 ◤더쿠 이용 규칙◢ [스퀘어 정치글 금지관련 공지 상단 내용 확인] 20.04.29 28,504,531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66 21.08.23 6,572,641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42 20.09.29 5,520,515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488 20.05.17 6,230,476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98 20.04.30 6,544,235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9. 스퀘어 저격판 사용 금지(무통보 차단임)] 1236 18.08.31 11,559,195
모든 공지 확인하기()
2676436 이슈 올해도 풀소유 땡기고 있다는 서울 불교박람회 근황 00:57 255
2676435 이슈 노무현) 노무현의 시대가 오겠어요? 유시민) 아, 오지요. 100% 오지요. 그거는 반드시 올 수밖에 없죠. 노무현) 근데, 그런 시대가 오면 나는 없을 것 같아요. 00:57 102
2676434 이슈 현재 스타쉽 연생들한테 너무한다고 말 나오는 스타쉽 서바 미션......jpg 2 00:56 346
2676433 기사/뉴스 파면된 尹, 관저 즉시 떠나야…경호 빼고 전직 대통령 예우 전부 '박탈' 6 00:56 241
2676432 이슈 교도소에 노래방 설치 논란.jpg 3 00:56 152
2676431 이슈 요리왕비룡에 나왔던 의외의 한식 2 00:55 396
2676430 이슈 수조원의 돈을 썻던데 우크라를 돕긴 도왔을까? 이 사안도 철저히 검증해야 한다. 2 00:54 389
2676429 이슈 여름에 극락가는 음료 3 00:54 679
2676428 이슈 미친건 미쳤다고 말하고 싶다는 세븐틴 민규 11 00:53 543
2676427 유머 블라인드에서 난리난 직장내 왕따 사유 23 00:51 1,944
2676426 이슈 19년 전 오늘 발매♬ SEAMO 'マタアイマショウ' 00:51 26
2676425 이슈 비트박스 배우는 박보검 3 00:51 135
2676424 이슈 로이킴 - 있는 모습 그대로 [더 시즌즈] 00:49 69
2676423 이슈 케이티 페리 Firework 뮤비 근황.jpg 2 00:47 727
2676422 이슈 사귄지 1주일 됐는데 장문으로 모텔비 남자가 다 내는 거 싫다고 하는 남자 어떤데.. 31 00:47 2,392
2676421 이슈 오늘자 최대 망상글 13 00:47 2,130
2676420 이슈 외형이 또 다시 바꼈다는 공룡 근황.jpg 20 00:46 1,433
2676419 이슈 맛있는데 살 안 찌는 음식 8가지 15 00:45 1,709
2676418 이슈 ?? : 갑자기 자기가 계엄 때 바로 달려가서 탱크 앞에 누웠다는 거임ㅋㅋ 국회 이사를 많이 해서 정문을 안다고 ㅋㅋ 8 00:44 1,806
2676417 이슈 츄 인스타그램 업로드 3 00:44 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