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이 노벨문학상을 받은 해, 윤석열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소년이 온다>가 세계의 지표가 된 시대에, 민주공화국의 대통령이 쿠데타를 시도했다.
하지만 민주공화국의 시민은 힘이 셌다. 군인과 장갑차를 눈으로 보고도 국회로 향했다. 대통령의 입과 계엄군의 포고령에서 독재의 언어가 아득바득 기어 나오던 중에도 민의의 전당으로 향했다. 국회 앞에 모여 한 손에 카메라를 들었다. 또 주먹을 쥐었다. 그 손들이 총을 압도했다.국회가 움직였다. 국회 문이 막혔지만 국회의원이 국회 담을 넘었다. 담을 넘으려는 의원에게 시민들이 등과 무릎을 기꺼이 내줬다. 190명이 모였다. 헌법기관 190개가 '지금 이게 맞는지' 대통령에게 물었다. 정당성을 잃은, 아니 애초에 그런 거라곤 없었던 공권력이 문(門)을 막았을지언정, 문(問)을 막진 못했다.
민주공화국은 힘이 셌다. 1980년 5월 17일~1980년 1월 24일, 직전 비상계엄이 9개월간 지속됐던 데 반해 44년 후인 오늘, 암흑의 시간은 6시간으로 줄었다. 헌법 1조 1항(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은 단단했고, 그 단단함을 믿은 시민이 움직였고, 그 움직임을 등에 업은 국회가 움직였다.
이제 책임질 시간이다. 윤석열과 국무회의에 모였던 이들을 '내란수괴' 전두환·노태우에 준해 수사해야 한다. 헌법과 계엄법을 덮어둔 채 왜 "이유와 시행일시·지역 등을 공고"하지 않았는지, 왜 "지체 없이 국회에 통고"하지 않았는지, 왜 "지체 없이 국회에 집회를 요구"하지 않았는지, 왜 "국회의 요구에 지체 없이 해제"하지 않았는지 대통령에 따져야 한다.
국회를 막아선, 나아가 국회 본청의 창문까지 깨부순, 심지어 국회의장과 여야 당대표를 체포하려고 한 군인과 경찰의 행동이 누구의 지시인지도 밝혀야 한다. 국민에 의해 선출된 존재임에도, 국민이 피를 흘릴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좌고우면한 여당 의원들 또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https://naver.me/xmxJH3g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