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사/뉴스 15년 농심 연구원이 추천한 ‘라면 가장 맛있게 먹는 법’
4,044 7
2024.12.03 10:01
4,044 7
지난달 12일 한겨레는 농심 연구소를 찾아 감각평가를 체험했다. 종이컵 3개에 각기 담긴 라면 국물을 맛보고 맛을 묘사하는 평가가 진행됐다. 농심 제공
지난달 12일 한겨레는 농심 연구소를 찾아 감각평가를 체험했다. 종이컵 3개에 각기 담긴 라면 국물을 맛보고 맛을 묘사하는 평가가 진행됐다. 농심 제공
농심에는 라면 맛을 풀어내는 이들이 있다. 맛을 묘사하고 분석해 전체적인 라면 맛의 ‘방향’을 잡는 일을 한다. 언제 어디서나 꾸준한 라면 품질을 유지하고, 소비자 입맛을 사로잡는 제품 개발을 위해 이들은 업무와 별도로 일주일에 두 번 ‘감각평가’도 받는다. 일종의 미각 특별 훈련이다. 지난달 12일 한겨레는 농심 연구소를 찾아, 라면 ‘맛잘알(맛을 잘 아는 사람들)’인 이들과 함께 감각평가를 체험했다.

(한겨레 ‘오늘의 스페셜’ 연재 구독하기)

‘전자 혀’ 넘어 입안서 ‘어우러지는 맛’ 분석
지난달 12일 서울 동작구 농심 본사에서 만난 스프개발1팀 소속 마유현 책임(왼쪽)과 서영주 선임(오른쪽). 이날 한겨레는 농심 연구소를 찾아 감각평가를 체험했다. 농심 제공
지난달 12일 서울 동작구 농심 본사에서 만난 스프개발1팀 소속 마유현 책임(왼쪽)과 서영주 선임(오른쪽). 이날 한겨레는 농심 연구소를 찾아 감각평가를 체험했다. 농심 제공
“청양고추, 베트남 고추 등 재료에 따라 입안에서 느껴지는 매운맛 패턴이 모두 달라요. 혀 안에서 (매운맛이) 치고 올라오는 게 달라요.”

서울 동작구 농심 본사에 자리 잡은 연구소에서 만난 스프개발1팀 소속 마유현 책임과 서영주 선임이 이구동성으로 말했다. 이들을 포함해 모두 16명의 연구원이 ‘전문 패널’로 선정돼 일주일에 두 번 30분씩 감각평가를 받는다. 라면·스낵·음료 등 농심 제품의 정확한 맛 분석을 위해 미각 훈련을 수시로 받는 것이다.

연구소 사무실 한가운데 놓인 책상에는 각기 다른 숫자가 적힌 종이컵 3개가 놓여있었다. 종이컵에는 겉보기에 모두 비슷한 라면 국물이 담겨 있었다. ‘세 가지 국물을 맛보고 맛을 묘사하라’는 감각평가 첫 과제를 받았다. 마 책임과 서 선임과 함께 국물을 들이켰다.

‘이것도 라면 맛이고, 저것도 라면 맛인데?’ 순간 당황했다. 평소 라면을 즐겨 먹지 않지만, 세 가지 국물 맛이 모두 다름을 ‘느낄 수는’ 있었다. 하지만 맛을 어떻게 묘사해야 할지 막막했다. 일단 느끼는 대로 ‘사골국물 느낌이 난다’, ‘버섯의 고소함이 느껴진다’ 라고 적었다.

반면 마 책임과 서 선임은 재료와 조리 방법, 향을 중심으로 묘사했다. 이들은 ‘우려낸 표고버섯 풍미’, ‘고추 볶음 향’, ‘간장과 고춧가루 끓인 맛’ 등 식재료와 요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표현했다.

“모두 다 같은 신라면 브랜드입니다.” 알고보니 3개의 국물은 봉지·큰 사발·작은 사발(컵) 등 용기만 다른 모두 같은 신라면 국물이었다. 감각평가 진행 담당인 농심 고객가치연구팀 소속 하효정 책임은 “용기 특성에 따라 면의 중량이 달라 스프 맛이 다르다“며 “기본적으로는 봉지 신라면 기준으로 같은 맛이 날 수 있도록 개발됐다”고 했다. 제품마다 달리 조미된 면이 스프와 어우러졌을 땐 모두 엇비슷한 ‘신라면 맛’을 낸다는 설명이 뒤따랐다.

서 선임은 “제품 개발 때는 면, 스프 담당자들끼리 개발 완성될 때까지 계속 소통한다. 면에 따라서 똑같은 스프여도 완전히 조리 후에 맛이 달라진다. 스프와 잘 어울릴 수 있도록 면에도 조미한다. 그래서 라면 제품마다 면수의 맛이 모두 다르다”고 했다.

사람의 미각을 모방한 ‘전자 혀’가 등장했지만, 여전히 사람의 미각은 따라잡을 수 없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기술적인 한계도 있지만, 결국 ‘맛있다’고 느끼는 건 사람, 소비자이기 때문에 사람이 내린 종합적인 맛 평가가 필요하단다.

‘맛을 어떻게 표현하는지’도 중요하다고 이들은 강조한다. 마 책임은 “단맛의 경우에도 ‘달달하다’, ‘달큰하다’ 처럼 다양한 표현이 있다. 어떻게든 제품의 특성을 하나의 통일된 단어로 만드는 게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점 중 하나”라고 말했다.

매우면 잘 팔린다? 경쟁 치열 라면시장, 1등 농심의 고민
‘케이(K)-매운맛’이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도 인기를 끌면서 매운 라면 시장도 커지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닐슨코리아 자료를 보면, 지난해 스코빌 지수(SHU) 5000 이상의 매운 국물 라면 시장 규모는 2076억원으로, 2021년 1905억원 대비 8.9% 늘었다. 매운 국물 라면의 명확한 기준은 없지만, 업계에선 신라면(스코빌 지수 3400)만큼 또는 그 이상 매운 제품을 매운 국물 라면으로 분류한다. 스코빌 지수는 캡사이신 농도를 보여주는 지표다. 청양고추의 이 지수는 4000~1만2000 정도다.

신라면보다 더 매운 라면 제품들이 등장하면서 농심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사나이 울리는 매운맛’으로 라면 시장에서 1등을 차지하고 있지만, 빠르게 변하는 매운맛 트렌드를 따라잡지 못하면 뒤처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매운맛 열풍과 더불어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매운맛의 범주 또한 넓어진 점도 농심이 안은 과제다.
 
농심은 10월31일, 11월1일 이틀간 신라면 푸드트럭이 워싱턴스퀘어파크, 뉴욕대학교, 타임스퀘어 등 뉴욕 주요 명소를 누비며 신라면을 홍보하는 ‘SHIN RAMYUN Food Truck’ 행사를 진행했다. 농심 제
농심은 10월31일, 11월1일 이틀간 신라면 푸드트럭이 워싱턴스퀘어파크, 뉴욕대학교, 타임스퀘어 등 뉴욕 주요 명소를 누비며 신라면을 홍보하는 ‘SHIN RAMYUN Food Truck’ 행사를 진행했다. 농심 제공
마 책임은 “예전에는 청양고추, 고춧가루 같은 재료로 칼칼한 매운맛을 즐겼다면, 요즘 소비자들은 마라·페페론치노·베트남 고추 같은 다양한 재료들을 섞어서 매운맛을 즐기고 있다”고 했다. 이어 “옛날에는 5단계 맵기를 두고 사람들이 ‘정말 맵다’고 느꼈지만, 이젠 5단계가 하나도 안 매운맛이 되어 버렸다. 소비자들의 매운맛 기준이 더 높아져서 그 기준을 맞추기 위해 신라면도 매운맛 강도를 약간 조정했다”고 했다. 이날 농심 쪽은 ‘언제 신라면 맵기를 올렸는지’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밝히진 않았다. 다만, 업계에선 2017년 이전 신라면의 스코빌 지수가 지금보다 낮은 2900 정도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15년 넘게 미각 훈련을 받아 온 이들에겐 나름의 고충도 있다. 서 선임은 “흔히 라면 회사 다닌다고 하면 맛있는 것만 먹는다고들 생각하는데, 그게 아니다. 매운맛, 쓴맛 등 다양한 맛을 강도별로 훈련한다. 제품이 많으면 중간에 입도 헹구고 물도 마시면서 배부른 걸 참고 계속 맛을 봐야 한다”고 했다. 마 책임은 “음식 개발하는 일을 하다 보니, 시어머니께서 종종 ‘음식 괜찮냐’고 물어보신다. 나도 모르게 ‘간이 좀 안 맞네요’라고 하면 굉장히 예민해지신다. 식구들한테 섣불리 맛에 관해 말하는 게 힘들어졌다”고 했다.

“수백번 테스트…조리법 꼭 지켜라”
가장 맛있게 라면 먹는 방법은 무엇일까. 이들은 대번에 “조리 방법대로 먹어달라”고 말했다. 특히 선첨, 후첨 스프 넣는 ‘순서’를 꼭 지켜달라고 당부했다.

“라면 스프를 선첨, 후첨으로 따로 나눈 이유가 다 있거든요. 면이랑 어우러져서 열을 받았을 때 맛이 제일 잘 발현되는 원료들로 구성한 스프는 선첨이고, 후첨에는 나중에 넣었을 때 향이 잘 보존되는 원료들이 담겨 있어요. 정말 ‘소비자들이 맛있게 먹었으면 좋겠다’는 마음에서 봉지에 수백번 테스트한 조리방법을 크게 써놓는 것이니 꼭 지켜서 드셔줬으면 좋겠어요.”
 
지난달 12일 서울 동작구 농심 본사에서 만난 스프개발1팀 소속 마유현 책임(왼쪽)과 서영주 선임(오른쪽). 이날 한겨레는 농심 연구소를 찾아 감각평가를 체험했다. 농심 제공
지난달 12일 서울 동작구 농심 본사에서 만난 스프개발1팀 소속 마유현 책임(왼쪽)과 서영주 선임(오른쪽). 이날 한겨레는 농심 연구소를 찾아 감각평가를 체험했다. 농심 제공

박지영 기자 jyp@hani.co.kr

https://n.news.naver.com/article/028/0002718958?ntype=RANKING

목록 스크랩 (0)
댓글 7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농심X더쿠] 짜파게티에 얼얼한 마라맛을 더하다! 농심 마라짜파게티 큰사발면 체험 이벤트 917 03.26 74,276
공지 [공지] 언금 공지 해제 24.12.06 1,506,013
공지 📢📢【매우중요】 비밀번호❗❗❗❗ 변경❗❗❗ 권장 (현재 팝업 알림중) 24.04.09 6,112,667
공지 공지가 길다면 한번씩 눌러서 읽어주시면 됩니다. 23.11.01 9,401,845
공지 ◤더쿠 이용 규칙◢ [스퀘어 정치글 금지관련 공지 상단 내용 확인] 20.04.29 28,431,631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66 21.08.23 6,542,210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42 20.09.29 5,493,210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488 20.05.17 6,188,550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98 20.04.30 6,513,832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9. 스퀘어 저격판 사용 금지(무통보 차단임)] 1236 18.08.31 11,518,253
모든 공지 확인하기()
2671571 유머 오늘자 트위터에서 만우절 장난치던 사람들 근황 12:20 221
2671570 기사/뉴스 '나가면 무조건 득점' 이정후, 2루타+볼넷+2득점 맹활약…SF 7-2 승리 견인 12:20 15
2671569 이슈 문수아X시윤 (Billlie) | ‘SNAP (feat. ?)’ | 작곡&작사 참여진 🤺 2025. 04. 07 6PM (KST) 12:19 23
2671568 이슈 키가 너무 커서 무릎 꿇고 키스신 했다는 이조녁 아들 10준수 근황 (+ 지아, 윤후) 12:19 509
2671567 이슈 [속보] 헌법재판소 인근 3호선 안국역, 정오부터 일부 출구 폐쇄 17 12:16 1,381
2671566 이슈 남자가 노안인 건지 여자가 동안인 건지 둘 다인 건지 헷갈리는 할리우드 커플 9 12:16 1,011
2671565 이슈 윤석열의 가톨릭 세례명인 성 암브로시오의 사망일 30 12:15 2,040
2671564 이슈 SBS 새 금토드라마 <귀궁> 캐릭터 포스터 공개 9 12:14 920
2671563 유머 만우절에 아이브 리즈 홈마가 올린 사진 4 12:14 865
2671562 유머 김수현 카톡 말투 플에 저격 당한 이재명.....jpg 32 12:13 3,547
2671561 이슈 '스타' 김수현, '나르시시스트'라 불러요"..주요 외신 대서특필 10 12:12 1,084
2671560 기사/뉴스 "1위하고 싶습니다!"…이즈나, 루키의 자신감 1 12:12 128
2671559 정보 만우절 처럼 공개된 스파이더맨 비욘드 더 유니버스 2 12:12 459
2671558 유머 위헌정당 해산 청구 절차 33 12:11 2,191
2671557 이슈 6년전 오늘 발매된 <첸 - 사월이 지나면 우리 헤어져요> 2 12:10 198
2671556 유머 김수현 기자회견 보는게 너무 괴로운 변호사 28 12:10 3,153
2671555 이슈 4월4일 탄핵선고 발표 후 환율 22 12:10 3,180
2671554 이슈 주인공 커플이 제일 무능하고 무매력이라는 만화책.jpg 12 12:09 1,956
2671553 기사/뉴스 [단독] ‘태계일주’ 시즌4 시작…오늘(1일) 기안84 출국 36 12:08 1,227
2671552 이슈 올해 선거방송 카운트다운도 기대되는 MBC 선거방송 출구조사 카운트다운 영상 3 12:07 6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