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사/뉴스 밥 먹을 돈 있어도 ‘무료 급식’ 줄 서는 노인들…왜?
47,348 261
2024.12.01 14:13
47,348 261

ㅊㅊ ㄷㅁㅌㄹ

 

https://v.daum.net/v/20241201070006464



월요일 아침 서울 종로.

탑골공원 앞을 지나다보니, 출근길 시민들 사이로 주인 모를 가방들이 일렬로 길게 늘어선 광경을 볼 수 있었습니다.

 


오전 11시 30분부터 한 단체가 나눠주는 점심 도시락을 받기 위해, 사람들이 일찌감치 가방으로 줄을 선 겁니다.

11시가 넘어 나타나기 시작한 가방 주인들. 거의 대부분이 70대 이상 노인이었습니다.

점심 식사를 제공하는 근처 다른 무료 급식소 두 곳까지 포함하면, 하루 1천 명에 가까운 노인들이 탑골공원 근처에서 민간 무료 급식으로 점심 한 끼를 해결하고 있었습니다.


무료 급식을 이용하는 이유, 돈 때문일 것 같지만 얘기를 들어보니 전부 그런 것만은 아니었습니다.

서울 동작구에서 첫차를 타고 와 줄을 섰다는 70세 노인은 "보통 5백 명 정도 줄을 서는데 나는 오늘로 아홉 번째 왔다"라며 "집에서 밥을 먹어도 되지만 도시락이 먹을 만하고, 외로워서 시간도 보낼 겸 오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무료 급식소 앞에서 만난 한 70대 노인은 "집에서 먹으면 보통 한 가지 반찬하고 밥을 먹지 않냐. 찌개 하나 놓고, 김치 놓고 먹거나. 근데 여기 오면 서너 가지 반찬을 주니까 먹고 들어가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급식소 단골이라는 한 90대 노인도 "혼자 사니까 집에서 먹기 힘들어서 운동 삼아 여기까지 와서 점심 한 끼를 먹고 가곤 한다"면서 "아침 저녁은 집에서 먹는데, 애들이 해온 음식을 먹거나 반찬을 사다 먹는다. 그렇게 사는 거지"라며 웃어보였습니다.

혼자 집밥을 먹을 수는 있지만 외롭고, 제대로 챙겨 먹을 수도 없으니 급식소를 찾게 된다는 얘기였습니다.

탑골공원 근처에서 32년간 무료 급식소를 운영해온 사회복지원각의 대표 원경 스님은 "식판에 밥을 산처럼 쌓아서 드시는 분, 한 끼로 24시간을 견디시는 분도 계시지만, 수급자도 아니고 자녀가 있는 어르신들도 많이 오신다"며 "조미료를 쓰지 않고 적어도 3찬 이상은 드리려고 하기 때문에, 이 무료 급식소가 맛집으로 유명해졌다"고 했습니다.



■ 노인의 한 끼, '소득' 기준이 최선?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한국의 노인 식사 지원 정책은 줄곧 '저소득층'에 집중돼 왔습니다.


KBS가 226개 기초자치단체 결산서 등을 통해 파악한 결과, 지난해 노인 무료 식사 지원에 들어간 예산은 경기도 455억 원, 서울시 403억 원 등 총 1천787억 원가량이었습니다. 서울시 강동구가 지난해 전체 노인 복지 분야에 쓴 예산(1천788억 원)과 비슷한 규모입니다. 이 예산으로 지난해 저소득층 노인 15만 7천여 명이 무료로 식사를 제공 받았습니다.



문제는 결식이나 부실한 식사가 저소득 노인만 겪는 어려움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2023년 노인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소득이 중위소득 대비 150% 이상인 노인의 30.7%가 영양관리에 주의 또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저소득층(중위소득 대비 50% 미만) 노인의 경우 이 비율이 40%로 다소 높았지만, 큰 차이가 나진 않는 수준입니다.

구슬이 국회입법조사처 보건복지여성팀장은 "소득 수준에 상관없이 노년기에는 음식을 부실하게 먹는 경향이 나타난다"며 "빵, 떡, 누룽지 등 탄수화물 위주의 간편식으로 때우는 걸 선호하기 때문에 영양 결핍이나 만성질환 악화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일정 소득 수준을 넘은 노인층이 이용할 수 있는 공공 식사 서비스는 거의 없는 실정입니다. 집에서 밥을 먹을 형편이 되는 노인들이 탑골공원 앞 '맛집'으로 유명해진 무료 급식소까지 오게 되는 배경입니다.



20%를 넘어선 우리나라의 독거노인 비율도 식사 지원 확대의 필요성을 키우고 있습니다. 2023년 노인실태조사 결과, 노인 1인가구의 45.6%가 영양관리에 주의나 개선이 필요한 상태에 있었습니다.

김정현 한경국립대 교수는 "노인기에 접어들면 장을 보거나 음식을 조리하는 능력이 크게 떨어지게 되는데, 특히 혼자 사는 가구는 누군가의 도움이 없으면 먹는 것 자체가 힘들어진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미국은 노인에게 식사 지원을 함에 있어 소득 기준이 아닌, 조리 능력과 식품 접근성 등을 따진다"며 "그 기준으로 본다면 우리나라도 65세 이상의 최소 30~40%는 식사 지원 수요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 "노인 식사 지원 다양화, '비용' 아닌 '투자'"

우리나라에서도 소득 기준을 벗어난 노인 '먹거리 돌봄' 실험이 하나둘씩 진행 중입니다. 서울 마포구는 지난해부터 소득 수준과 무관하게 75세 이상 주민에게 무료 점심 식사를 제공하는 '효도밥상' 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부산진구에서는 자치단체와 지역 대학이 함께 운영하는 커뮤니티 키친에서, 저소득층이 아니지만 스스로 식사를 해결하기 어려운 노인들에게도 한 끼에 5~9천 원을 받고 맞춤형 식사를 제공하는 사업을 벌였습니다.


구슬이 국회입법조사처 보건복지여성팀장은 "민간의 노인 대상 식사 서비스는 고소득층만 이용 가능한 수준이기 때문에 결국 공공이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면서 "지속 가능하고 대상자를 확대할 수 있는 사업으로 만들려면, 감당 가능한 노인은 실비 수준의 이용료를 내고 식사를 하는 방식도 열어주면서 선택지를 다양화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노인 식사 지원을 더 큰 사회적 돌봄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기적 '투자'로 봐야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정현 한경국립대 교수는 "대부분의 어르신들이 식사 등 일상생활 기능이 조금만 무너져도 요양병원이나 요양원으로 가시게 되는데, 1인당 들어가는 건강보험 재정이 어마어마하다"며 "식생활 지원을 통해 노인들이 시설로 가지 않고 지역 사회에서 오래 머물 수 있도록 한다면 투자 대비 효과가 굉장히 클 것으로 생각한다. 식사 지원을 더이상 시혜적 관점이 아니라, 건강한 노후를 위한 통합 돌봄의 한 축으로 보고 접근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https://program.kbs.co.kr/1tv/culture/look/pc/board.html?smenu=9725de&bbs_loc=T2024-0017-02-480685,read,,36,168738



//

자식들이 있고 소득이 있어도 무료급식 오는게

사람들 만날 수 있고 식단이 균형잡혀서 

목록 스크랩 (1)
댓글 261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 어반트라이브X더쿠 🩵] 10초면 끝! 매일 헤어샵 간 듯 찰랑이는 머릿결의 비밀 <하이드레이트 리브 인 폼> 체험 이벤트 417 04.11 19,887
공지 [공지] 언금 공지 해제 24.12.06 1,658,529
공지 📢📢【매우중요】 비밀번호❗❗❗❗ 변경❗❗❗ 권장 (현재 팝업 알림중) 24.04.09 6,336,195
공지 공지가 길다면 한번씩 눌러서 읽어주시면 됩니다. 23.11.01 9,521,710
공지 ◤더쿠 이용 규칙◢ [스퀘어 정치글 금지관련 공지 상단 내용 확인] 20.04.29 28,686,221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66 21.08.23 6,636,644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43 20.09.29 5,578,744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493 20.05.17 6,298,813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98 20.04.30 6,611,796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9. 스퀘어 저격판 사용 금지(무통보 차단임)] 1236 18.08.31 11,632,358
모든 공지 확인하기()
345617 기사/뉴스 尹 파면에 BBC가 "좌파 때문에 한국 망한다"고 했다고? 3 17:34 1,116
345616 기사/뉴스 이재명, 고향 안동 찾아 부모 선영 참배…두봉 주교 조문도 17:31 539
345615 기사/뉴스 날개 접은 오세훈…지지율 정체·韓 차출론·명태균·토허제 '발목' 12 17:30 342
345614 기사/뉴스 의대생들 '수능 다시 치면 그만' 26 17:30 1,582
345613 기사/뉴스 강하늘 "父와 '아침마당' 노래자랑 출연했다 데뷔...큰아버지가 몰래 신청" (핑계고) 2 17:20 1,001
345612 기사/뉴스 부천 대장·하남 교산·남양주 왕숙 등 3기 신도시 본 청약 돌입 17:18 534
345611 기사/뉴스 민주, '당원투표 50%·국민여론조사 50%'로 대선 후보 선출키로 28 17:12 1,136
345610 기사/뉴스 이재명 후원회장으로 '비상계엄 저항한 5·18 유가족' 김송희씨 임명 10 17:12 751
345609 기사/뉴스 "3천만 더 주세요"… 박해수가 완성한 궁극의 '악' 1 17:04 994
345608 기사/뉴스 [LCK 현장] 속도의 한화생명, T1과의 2세트마저 승리 2:0 6 16:57 927
345607 기사/뉴스 김동연 측 "당원 50%·여조 50% 확정 땐 경선 불출마 검토" 511 16:54 11,364
345606 기사/뉴스 “정대리도 극우야?” 쏟아지는 질문에 답답한 ‘이대남’ [세상&] 349 16:45 15,289
345605 기사/뉴스 민주 경선룰 잠정 확정…"당원 50%·여조 50% 국민참여경선" 204 16:41 10,094
345604 기사/뉴스 “돈 벌고 싶으면 오세요”...격변기 맞이하는 재테크 시장, 전략은 16:16 1,456
345603 기사/뉴스 기안84, 네팔 용병 언급에 "군생활 체험도 재밌을 듯"...덱스 '동공지진' (태계일주) 2 16:11 1,236
345602 기사/뉴스 생두값 3배 폭등...한국인 '아메리카노 사랑' 식을라 4 16:10 1,422
345601 기사/뉴스 "기분 좋아져요"…MZ 직장인은 다 있다는 '효자 아이템' 93 16:06 13,154
345600 기사/뉴스 명품 불황이라더니…'에루샤' 작년 한국서 매출 4.5조 '신기록' 11 16:03 1,454
345599 기사/뉴스 김부선, 여전한 한동훈 바라기 “공격하면 李한테 잡아먹혀” 15 15:42 1,292
345598 기사/뉴스 “한국 AI 대도약 기로…인재·데이터·인프라 3박자에 달렸다” 2 15:34 6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