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사/뉴스 상법 개정도, 추경 편성도 오락가락…혼선 자초하는 정부
2,429 0
2024.11.25 16:02
2,429 0
대통령도, 부총리도 "개정 추진"했지만 입장 선회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지난 24일 KBS 《일요진단 라이브》에 출연해 민주당의 상법 개정안과 관련해 "자본시장 정책을 총괄하는 금융위원장으로서 기업 지배구조가 더욱 투명하게 돼야 한다는 데는 동의한다"면서도 "(기업 지배구조 개선) 방법이 상법 개정뿐이냐 하는 부분에선 짚어봐야 할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이 상법 개정안에 대해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 위원장은 "상법 전문가들이 지적하는 법리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기업 경영이나 자본시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까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의사결정이 굉장히 지연될 수 있고 재계에서는 소송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정부가 뒤늦게 상법 개정에 대한 의견을 밝혔지만 스스로 입장을 뒤집었다는 점에서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지적이다. 상법 개정에 불을 지핀 것은 윤석열 대통령이기 때문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1월2일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증권·파생상품시장 개장식에서 "이사회가 의사결정 과정에서 소액주주의 이익을 책임 있게 반영하도록 상법 개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시장 선진화를 위한 조치로 제도 개선을 약속한 것이다.


정부도 윤 대통령 발언에 힘을 실었다. 지난 2월26일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열어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발표한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윤석열 정부는 임기 내내 자본시장 선진화를 중점 과제로 삼아 상법 개정 추진과 추가적인 방안도 다각도로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밸류업 정책'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닦겠다는 의지였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적극적으로 상법 개정 필요성을 강조했다. 지난 6월 예정에 없던 상법 개정 관련 브리핑을 여는가 하면 관련 간담회에도 참석해 "자본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개선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며 정부 내 개정 공론화에 앞장서는 모습을 보였다. 그는 구체적으로 이사의 소액주주 보호 의무를 명문화하고, 그 대신 이들에게 과도한 책임을 묻는 배임죄는 폐지해야 한다며 구체적인 방향까지 제시해왔다.

하지만 9월 들어 기류가 바뀌었다. 부처 간 논의 중이라며 입장 표명을 유보하기 시작한 것이다. 정부 입장이 선회한 결정적 이유는 재계의 반발이다. 재계는 이사의 충실 의무 대상을 확대될 경우 외국 투기자본에 의해 경영권이 위협받을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문제는 정부가 이같은 재계의 입장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음에도 상법 개정을 추진하다 반대로 돌아섰다는 점이다. 결국 정부 내 엇박자 행보가 일 년 내내 이어지면서 개인은 물론 국내외 기관 투자자 등 시장의 신뢰를 잃어버리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추경' 논란에 "일반론적 언급" 진화 나서

경제정책 컨트롤타워 부재 우려는 추경 논란에서도 제기됐다. 지난 22일 대통령실은 "추경을 포함한 재정의 적극적 역할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다. 정책 성과를 내기 위해 추경을 통해 재원을 확보할 가능성을 내비친 것이다. 건전 재정을 표방하며 추경과 거리를 뒀던 것과는 다른 모습이었다.

그러나 재정당국은 바로 선을 그었다. 기재부는 즉각 보도설명자료를 내고 "현재 2025년 예산안은 국회 심사 중이며 내년 추경예산 편성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힌 것이다. 여당인 국민의힘도 "정부로부터 추경 편성에 대한 협의 요청이 없었다"며 "내년도 본예산 심의도 끝나지 않은 시점에 추경 가능성을 거론하는 것은 적절치 않을 뿐만 아니라, 국가재정법 취지에도 맞지 않다"고 알렸다.

이에 대통령실이 "일반론적 언급이었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논란은 여전하다. 재정 정책 기조를 바꿀 수 있는 사안에 대해 정부 내 소통이 없었다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어서다. 상법 논란처럼 대통령실이 화두를 던지고 부처가 수습하는 모양새가 반복되고 있다는 점도 부적절한 모습이라는 지적이다. 

특히 대통령실이 직접 추경을 언급하고 나섰다는 점에서 국민들의 불안감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그간의 성과를 '자화자찬'하며 경제가 살아나고 있다고 밝혀온 것과는 다른 선택이기 때문이다. 이에 일각에선 재정 확대가 필요한 경제 상황이라는 점을 투명하게 국민들에게 설명하고 추경 논의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586/0000091514?sid=101

목록 스크랩 (0)
댓글 0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티빙 오리지널 <내가 죽기 일주일 전> X 더쿠💗 1,2화 시청하고 스페셜 굿즈 받아가세요🎁 48 04.03 52,792
공지 [공지] 언금 공지 해제 24.12.06 1,591,494
공지 📢📢【매우중요】 비밀번호❗❗❗❗ 변경❗❗❗ 권장 (현재 팝업 알림중) 24.04.09 6,236,546
공지 공지가 길다면 한번씩 눌러서 읽어주시면 됩니다. 23.11.01 9,460,567
공지 ◤더쿠 이용 규칙◢ [스퀘어 정치글 금지관련 공지 상단 내용 확인] 20.04.29 28,561,200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66 21.08.23 6,597,529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43 20.09.29 5,540,415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492 20.05.17 6,261,513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98 20.04.30 6,568,001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9. 스퀘어 저격판 사용 금지(무통보 차단임)] 1236 18.08.31 11,582,252
모든 공지 확인하기()
344270 기사/뉴스 조기대선 쉬쉬하던 국민의힘, 탄핵 사흘 만에 선관위 출범 8 21:36 617
344269 기사/뉴스 “산사태 막아줄 나무 다 타버려… 복구 전 장마 오면 큰일” 2 21:33 443
344268 기사/뉴스 헌재, 박성재 법무장관 탄핵심판 10일 오후 2시 선고 8 21:05 1,031
344267 기사/뉴스 [단독] '공천 실패' 문자·계좌 입수…윤한홍 의원 보좌관이 3000만원 돌려줬다 6 21:03 1,109
344266 기사/뉴스 일 통일교, 해산명령에 불복‥고등법원에 항고 3 21:00 870
344265 기사/뉴스 대통령기록관, 윤석열 전 대통령 기록물 이관 위한 현장 점검 실시 15 20:59 1,461
344264 기사/뉴스 법원 ‘신동호 EBS 사장 임명’ 효력 정지…2인 방통위 의결 ‘하자’ 판단 3 20:58 749
344263 기사/뉴스 우원식발 '개헌' 하루만에 난관 봉착‥대선 전에 가능할까? 18 20:48 1,138
344262 기사/뉴스 "이제야 마음 놓고 봄 만끽"‥내일부터 여의도 '봄꽃 축제' 시작 20:43 651
344261 기사/뉴스 유승민 "완전 국민경선이 이재명 이기는 길" 186 20:38 13,195
344260 기사/뉴스 [단독] 이철규 의원 아들, 마약 정밀검사 '양성'‥'망신주기'라더니? 10 20:37 1,279
344259 기사/뉴스 뉴진스, 부모 분열 공식 반박… KBS 시청자 청원 등장 “악의적 보도 중단”  21 20:37 1,785
344258 기사/뉴스 줄소송 예고된 방통위 '2인 의결'‥세금 쓰며 폭주하는 이진숙 5 20:36 954
344257 기사/뉴스 코카-콜라사, 환타 새로운 맛 ‘환타 멜론’ 출시 18 20:32 2,139
344256 기사/뉴스 신동호 EBS 사장 임명도 '정지'‥또 불복하는 '2인 방통위' 12 20:31 1,285
344255 기사/뉴스 조갑제 “국민의힘, 21대 대선 필패 예상” 19 20:23 2,433
344254 기사/뉴스 조기대선 쉬쉬하던 국민의힘, 탄핵 사흘 만에 선관위 출범 9 20:22 1,011
344253 기사/뉴스 [단독] 신세계 대전에 루이비통 입점 확정… ‘충청 지역 1번지’ 굳힌다 8 20:19 1,053
344252 기사/뉴스 전임자 임기 마지막날 '청와대 방 빼라'더니‥"윤석열 당장 방 빼라" 22 20:18 1,166
344251 기사/뉴스 제이에스티나, 중국산→국내산으로 표기 판매… 사과문 발표 4 20:16 1,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