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서 받은 고교 한국사 교과서 채택 현황을 보면, 전날 오후 6시 기준 내년 한국사 교과서를 채택한 고등학교 2084곳 중 한국학력평가원 한국사 1·2를 고른 학교는 경기 소재 고등학교 1곳뿐이었다. 한국사 교과서 채택 여부가 아직 취합되지 않은 전남 소재 고등학교 10곳은 이번 조사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는 일반 공사립 고등학교 채택률이 사실상 ‘0%’ 수준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교과서 채택을 논의하는 학교운영위원회 등에서도 그동안 불거진 각종 논란을 의식해 이 같은 결정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한국학력평가원 교과서를 채택한 곳은 일반 공사립 고등학교가 아닌 특성화학교로 분류되는 대안학교인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학력평가원 교과서는 교과서 내용, 필진 구성, 검정 과정 등에서 논란이 됐다. 친일 인사를 옹호하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축소했다는 지적도 받았다. 한국학력평가원 필진은 친일파 인사들에 대한 직접적 평가는 유보하고, 주제탐구 형식으로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지’를 학생들에게 물었다. 중립적인 서술로 보이지만 역사학계는 이 같은 접근 방식이 친일파의 책임을 희석시킨다고 비판했다.
한국학력평가원 교과서는 이승만 정부의 독재를 ‘장기 집권’으로 표현하는 등 독재 정권을 옹호했다는 지적도 받았다. 역사왜곡 논란이 일었던 교과서포럼의 <한국현대사>가 주제탐구 자료로 인용됐으며, 제주 4·3사건과 여수·순천 10·19사건 희생자를 ‘반란군’으로 서술한 뒤 문제가 되자 반란군이란 표현을 삭제하기도 했다.
이 교과서의 필진 일부는 뉴라이트 성향에 가깝다는 의혹도 받았다. 김건호 교육부 청년보좌역은 필진에 참여하고도 교육부에 겸직 신청을 하지 않다 검정 결과 발표일이 다가와서야 필진에서 사퇴하기도 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329346?sid=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