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포스트시즌은 와일드카드 결정전 2경기, 준플레이오프 5경기, 플레이오프 4경기 한국시리즈 5경기 등 총 16경기가 치러졌습니다. 이 경기들은 모두 매진됐으며 동원 관중만 35만 3550명에 이릅니다.
입장권 수익으로 KBO는 약 146억원을 기록했습니다. KBO 규정상 포스트시즌 입장 수익은 운영비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이 가을야구에 나선 상위 5개팀에 분배됩니다.
먼저 정규시즌 우승팀 KIA가 먼저 20%를 받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금액의 50%를 한국시리즈 우승팀이 가져갑니다. 그리고 준우승팀인 삼성에 24%,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한 LG에 14%가 돌아갑니다. 준플레이오프에서 패한 KT는 9% 그리고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 탈락한 두산은 3%를 받습니다.
제반 비용 40%를 제외한 금액 87억 5000만원을 5개팀이 나눠갖게 됩니다. 여기서 KIA는 정규시즌 `1위를 차지해 17억 5000만원을 받고 한국시리즈 우승으로 70억의 절반인 35억원을 더 받습니다. 총 52억 5000만원을 받습니다.
준우승팀인 삼성은 16억 8000만원, 플레이오프에서 패한 LG는 9억 8천만원, 준플레이오프에서 패한 KT 위즈는 6억 3000만원,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 패배한 두산은 2억 1000만원을 배당금으로 받을 예정입니다.
+모기업 보너스
KBO 사무국과 10개 구단의 보너스 규정을 보면, 우승팀의 모기업은 야구단이 받는 전체 배당금의 최대 50%를 우승 보너스로 줄 수 있습니다. 모기업이 상한선만큼 보너스를 주면 KIA 구단은 PS 배당금에 약 26억 3000만 원을 추가로 보탤 수 있습니다. 이를 합하면 보너스 총액은 78억8000만 원으로 늘어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