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시 2024년 추석 명절 연휴에 대작 대결은 없다. 영화 ‘베테랑 2’의 기세는 대단하다. 류승완 감독 작품인 데다가 배우 황정민의 의기투합은 정해인의 합류로 더욱 힘을 받았다.
아무리 배우들의 티켓 파워가 없더라도, 연작 시리즈가 갖는 프리미엄이 관객을 움직인다. 이는 ‘범죄도시’에서 잘 보였다. 물론, ‘서울의 봄’이나 ‘파묘’처럼 오리지널 영화도 흥행할 수 있다. 비수기에 경쟁작이 없었기 때문이며 범죄도시 시리즈와 같은 프랜차이즈 영화와 맞붙지 않았기 때문에 흥행을 크게 할 수 있었다.
대작들의 향연이 없으므로 극장가가 썰렁하다는 표현을 하는 것이 적절한지 의문이다. 어느 때보다 작은 영화들이 극장가에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10년간 발달 장애아들과 엄마의 여정을 그린 ‘그녀에게’, 3대 대가족 70년사를 통해 우리 사회를 성찰하는 ‘장손’, 대학가의 촌극 축제를 둘러싼 에피소드를 다룬 ‘수유천’, 성소수자 딸을 둔 중년 요양보호사가 주인공인 ‘딸들에게’, 40대 중반 중년의 로맨스를 담은 ‘라트라비아타’ 등 주로 저예산 독립영화가 추석 연휴에 극장가를 장식한다.
이외에도 음악 영화도 여럿인데 방탄소년단 정국과 남진의 콘서트 영화도 있고, 이미 개봉한 임영웅의 콘서트 영화도 추석 연휴에 관람할 수 있다. 팬들의 성원이 이어질 영화로는 ‘안녕, 할부지’도 스크린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8월 7일에 개봉한 국산 애니메이션 ‘사랑의 하츄핑’은 아이는 물론 어른 관객까지 불러 모으면서 추석 연휴에 흥행 가도를 달릴 것으로 보인다. ‘마당을 나온 암탉’ 뒤를 이을 흥행작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가족, 로맨스, 액션, 퀴어, 장애, 다큐, 음악, 애니메이션 등 영화의 장르만을 놓고 볼 때는 어느 때보다 다양한 연휴 극장가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세간의 분석대로 이런 영화들이 관객들을 대규모로 동원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적어도 영화의 다양성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비난을 받을 여지는 없게 되었다. 어떻게 보면 이런 상황이 한국 극장가의 바람직한 모습이라고 간주할 수도 있다.
하지만 최악의 경우 ‘베테랑 2’가 스크린을 독식할 수 있다. 이런 스크린 독점 논란은 ‘서울의 봄’이나 ‘파묘’에서도 비슷하게 있었다. 침체한 극장가를 살리려면 어쩔 수 없는 일이라는 옹호의 주장도 있었다. ‘서울의 봄’이나 ‘파묘’가 관객을 더 불러 모은 것은 사실이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의 상황으로 되돌리지는 못했다.
이제 영화관의 역할 정립과 그에 따른 한국 영화의 성공 기준을 자리매김해야 할 것이다. 위기의 징조는 언제나 사전에 있는 법이다. 극장가의 징조도 마찬가지였다. 코로나19 이전의 멀티플렉스 시절은 잊어야 한다. OTT 플랫폼에 익숙한 관객들에게 영화는 더 거리가 멀어졌다. 외형적 성장 중심의 평가 기준이 변화해야 한다. 천만 관객 동원의 영화 편수보다는 손익분기점을 넘긴 사례들이 더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https://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3178280
기사/뉴스 [대중문화칼럼] 명절 극장가 썰렁? 나쁜 걸까 좋은 걸까
1,718 1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